DOI QR코드

DOI QR Code

Information Components of Social Commerce Websites -Focusing on Product, Price, Service, and Seller Information-

소셜커머스 웹사이트의 정보구성요소 -상품, 가격, 서비스, 판매원 정보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8.01
  • Accepted : 2013.09.03
  • Published : 2013.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vide social commerce websites' information into components of product, price, service, and seller information, and to systematically analyze each component of information. A content analysi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and 100 webpages from social commerce websites were analyzed. As results, the social commerce websites provided basic information (front view, fabric contents, country of origin, care, color, size) for product information and emphasized price information, including discount rates, sales dues, product quantity, and the amount of products sold. They basically provided expected delivery date, delivery company, Q&A, and return/refund service for servi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y basically presented brand logo and brand name but need to add information about brand concepts, history and volume as seller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ed divers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social commerce inform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커머스의 정보구성요소를 상품정보, 가격정보, 서비스정보, 판매원정보로 나누고 각 요소를 체계화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였고, 소셜커머스 웹사이트에서 100개 페이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상품정보에서 정면사진 제시, 소재구성정보, 원산지, 관리, 색상, 사이즈 등 기본정보는 대부분 제시되었으나, 후면/옆면사진, 스와치, 스타일이나 소재 설명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가격정보에서는 소셜커머스의 제약조건과 관련된 할인율, 할인판매마감시간, 제한된 상품보유량, 판매제품개수 등은 강조되어 제시되었다. 서비스정보는 배송예정일, 배송사, 상품문의서비스, 교환/반품서비스가 대부분 제시되었다. 판매원정보는 브랜드로고나 브랜드네임은 다수 제시되었으나 구체적인 브랜드 컨셉, 역사, 규모에 대한 정보의 보완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 정보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정해동, "Social Commerce는 전형적인 양면시장이다", 마케팅, 제45권, 제9호, pp.36-41, 2011.
  2. http://www.lgeri.co.kr
  3. 이지은, 최인석, "소셜커머스 서비스 실패에 따른 소비자의 신뢰도 변화 -서비스 실패의 주체와 실패의 심각성 및 브랜드 에쿼티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4호, pp.800-801, 2011.
  4. http://www.trendmonitor.co.kr
  5. 공영일, "데일리 딜 서비스(Daily Deal Service) 시장 동향과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제22권, 제18호, pp.65-74, 2010.
  6. 김국선, 이종호, "소셜커머스의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품질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311-32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3.311
  7. 박민정, "온라인 제품정보와 시각적 심상: 감정과 제품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7권, 제5호, pp.23-34, 2009.
  8. M. Park and M. Kim, "A Cross-cultural Analysis of Online Satisfaction,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An E-A-S-QUAL Approach," J.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5, No.6, pp.700-711, 2011. https://doi.org/10.5850/JKSCT.2011.35.6.700
  9. J. Park and L. Stoel, "Apparel Shopping on The Internet: Information Availability on US Apparel Merchant Web Sites," J.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6, No.2, pp.158-176, 2002. https://doi.org/10.1108/13612020210429908
  10. 이경탁, 노미진, "소셜커머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지각된 위험과 기술수용모형 간의 관계", 소비문화연구, 제14권, 제4호, pp.168-169, 2011.
  11. 이상구, "모바일 기반 소셜커머스 UI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1권, 제4호, pp.267-277, 2011.
  12. 임지연, 김이준, "PMI-IP을 이용한 국내 소셜커머스 상품 평가",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8권, 제1호, pp.161-163, 2011.
  13. M. Kim, J. Kim, and S. J. Lennon, "Online Service Attributes Available on Apparel Retail Websites: an E-S-QUAL Approach," Managing Service Quality, Vol.16, No.1, pp.51-77, 2006. https://doi.org/10.1108/09604520610639964
  14. Y, Ha, W. Kwon, and S. J. Lennon, "Online Visual Merchandising(VMD) of Apparel Web Sites," J.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11, No.4, pp.477-493, 2007. https://doi.org/10.1108/13612020710824553
  15. 붕위, 소셜커머스의 정보품질이 고객만족과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품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6. 이세진, 배소희, 박혜연, "소셜커머스에서 조절초점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의도 분석", 광고연구, 제92호, 봄, pp.415-439, 2012.
  17. Jin Jing, 공동구매 소셜커머스의 지각된 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8. 손증군, 문영주, 이종호, "소셜커머스 속성이 신뢰, 몰입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65-27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