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징적 의미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ollecting and Analyzing Color Information for Constructing Semantic Information Model (의미정보모델 구축을 위한 색채정보의 수집과 정량적 분석)

  • Lyu, Ki-Gon;Sun, Dong-Eon;Kim, Hyeo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232-235
    • /
    • 2011
  • 지식표현은 일반적으로 논리, 규칙, 프레임 또는 의미망 형태로 표현되며, 최근에는 의미망을 이용한 온톨로지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표현 방법은 개념을 설명하는 문맥적인 정보나 개념들 간의 구조적인 정보를 이용하여 개념에 대한 지식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하지만, 지식표현에 사용되는 의미정보는 사람에 의해 수집되고 정제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 비용 및 인력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고, 새로운 의미를 추가하거나 기존의 의미를 수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색채는 특정 대상이나 개념에 대한 의미, 연상, 상징 등 객관적인 특징 뿐 아니라 시대, 나라, 문화와 같은 사회적 배경을 반영하기 때문에, 정보를 제공하고 감성을 전달하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색채를 이용한 의미정보모델 구축을 위해, 색채정보를 수집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긍정/부정/불안/중립으로 구성된 감성어휘 273개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수집한 결과 총 130,944개의 이미지를 수집하였다. 이미지에는 여러 가지 사물, 행동, 배경, 색채 등 다양한 정보가 혼재되어 있어 감성어휘와 연관된 색채를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미지를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용자 태그를 별도로 수집하였다. 태그는 총 2,836,395개를 수집하였고 각 이미지와 그룹에서의 가중치를 구하였다. 태그의 가중치를 통해 이미지가 그룹 내에서 갖는 중요도를 판별하였고, 각 그룹 별로 상위 30%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대표 색채를 분석하였다.

장아이링張愛玲 《전기(傳奇)》 속 공간의 상징적 의미

  • Lee, Seon-Mi
    • 중국학논총
    • /
    • no.70
    • /
    • pp.169-195
    • /
    • 2021
  • The spatial background is a key elem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s identit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spatial background in Eileen Chang's Chuan Qi,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and novellas. The space in Chang's Chuan Qi largely consists of Shanghai and Hong Kong. Smaller spaces include the characters' abodes, such as the mansion and apartment. Even smaller spaces are the interior of a room. The mansion is where she experienced abuse and neglect from her father during her adolescence. The apartment is a place of attachment, as was the place where she lived with her mother. This paper categorizes the mansion, her father's abode, as "a place of daydreams," "a place of death and graves," and the apartment, her mother's abode, as "a place of female independence," "a place of hope for a better life," This paper then examines these spaces to analyze how the symbolic meaning of space influences the identity of the characters.

Symbolism of the Plants Depicted in the Flower Wall of Jagyeongjeon at Gyeongbokgung (경복궁 자경전 꽃담에 나타난 화훼식물과 상징성)

  • Kwon, Min-Hyeong;Song, In-Jung;Pak, Chun-Ho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6 no.2
    • /
    • pp.75-82
    • /
    • 2012
  • This is a study on the flower pattern artwork of the west wall of the Jagyeongjeon in Gyeongbokgung to find out the type of plants and flowers represented and their symbolism.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uly 2010 to March 2011 and the artwork classified on the basis of its horticultural traits. A number was assigned to each pattern for analysis: No. 1 is Prunus mume, No. 2 is Prunus persica, No. 3 is Paeonia suffruticosa, No. 4 is Punica granatum, No. 5 and 6 is Dendranthema grandiflora, No. 7 is Rhododendron mucronu and No. 8 is Phyllostachys bambusoides. These 8 flower patterns symbolize longevity and fecundity and their presense around the Jagyeongjeon helped to bestow good fortune on the royal family so that they might live long lives and bear many children. 4 artworks symbolize longevity, 2 artworks symbolize integrity and 1 artwork symbolizes wealth and happiness. There is also symbolism of the need to have constancy in a royal household even during secular change. Out of the 8 artworks, the imagery of a bird and a moon is represented only once, but the image of a butterfly is represented five times in the surrounding elements. The bird and butterfly symbolise freedom and happiness from free love. Women in the palace are like a butterfly wanted to be like love as a freedom and have a free and open relationship like a butterfly. But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he royal family wanted to have a symbolic meaning that could be seen of the symbolistic. Based on the "Yangwhasorok"only plants with the highest values, from the 1st and 2nd grades, were used in the artwork of the west wall of the Jagyeongjeon.

Analysis of the Korea Traditional Colors within the Spatial Arrangement and Form of the Traditional Garden of Seyeonjeong (보길도 세연정(洗然庭)의 공간구조 형식에 내재한 전통색채 분석)

  • Han, Hee-Jeong;Cho, Se-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4
    • /
    • pp.14-2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in building credibility of the methodology of the appearance of the traditional color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 of those appearances by analyzing the spatial construction and configuration and the traditional colors that appear in spatial elements about the scenery component that appear in Seyeonjeong. We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about the traditional colors,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Seyeonjeong, and etc. For the contents for the empirical analysis, we took the scenery and space elements in the poems, such as Eobusasisa and O-u-ga, and the contents of poems related to ojeongsaek (five Korean traditional colors) based on the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ideology Particularly, after dividing the spatial elements appearing in Seyoenjeong into visual, synesthetic, symbolic/cognitive spatial element, we further distinguished the visual space into positions and directions of the of the spaces and the scenery of the season; the synesthetic space into seasons, time and five senses; and the symbolic/cognitive space into chiljeong (or the seven passions) and sadan (or the four clues). Then we carried out the study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the garden creation and the meaning of the spaces, through the analysis of ojeongsaek system for each spatial element. Firstly, spatial structure and format that appear in Seyeonjeong can be divided into two directional axes of southeast and northwest according to the flat form of the Seyeongjeong's rectangular palace, with Seyeongjoeng as the center. Secondly, in spatial component element, the frequencies of appearance of the traditional colors of Seyoenjeong are 33.2% for white, 20.8% for blue, 20.8% for black, 18.7% for red and 6.3% for yellow. Thirdl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raditional colors the most frequent appearance of 'white' left a room for interpretation like the creation of Seyeonjeong was to enjoy secular living without lingering political feelings so that the high mountains remain clear and clean. Also, the predominant frequency of appearance of blue, similar frequency of appearance of black and red, and the least frequent appearance of yellow is in agreement with or can be at least interpreted related to Yun Seon-do's intention for creating Seyeonjeong not for political rank or power but as a place to enjoy nature, through which he can build on his knowledge, and to lead rest of his life as a noble being through plays, like dancing and writing poems. Fourthly, these interpretations of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traditional colors of Seyeongjong shows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consistency of the methodology of the analysis of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traditional color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meanings in the context that the color white appears most frequently in Soswewon as well and that the background life of the Soswewon's creator Yangsanbo can be interpreted in a similarly way. Above all, this study is significant from the fact that we proposed a theory about the method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colors in a traditional landscape space. Moreover, there is a great significance of discovering that traditional colors appear in traditional spaces and this can be used as a methodological framework to interpret things like, intention for creation of (buildings/architectures).

A Structural Analysis of News Narratives on Labor Movements in Korea

  • Chon, Bum-Soo;Jang, Won-Yo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16
    • /
    • pp.136-167
    • /
    • 2001
  • 본 논문은 1996년 노동법 개정을 둘러싼 노동계의 총파업에 대해 보수적 성향을 갖는 조선일보와 진보적 성향을 갖고 있던 한겨레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쟁점을 재현하고 해석하는 지를 분석했다. 당시의 노동계 총파업은 내부적으로는 민주화에 따른 시민사회의 성숙과 외부적으로는 글로벌라이제이션에 따른 국가 간 경쟁의 가속화라는 두 가지 정치경제학적 요인이 교차하는 공간에서 일어났으며, 동시에 광범위한 국민적 지지를 확보한 파업으로 그 상징적 의미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주요 사회적 쟁점에 대한 두 신문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 분석 방법인 서사분석(Narrative Analysis)과 양적 분석 방법인 조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을 사용했다. 서사분석은 사건의 발생과 진행 그리고 결말 과정에서 대립되는 행위자의 상징적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쟁점에 대한 신문사간의 뉴스보도의 차이점 또는 유사성을 구분할 수 있으며, 조응분석은 주요 쟁점에 대해 행위자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서로 연계되는 지를 파악함으로써 역동적으로 총파업에 대한 행위자들의 관계의 변화를 공간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서사분석 결과, 두 신문은 각각 서로 다른 서사구조를 기반으로 주요 행위자의 담론적 기호를 정반대로 구성하고 있었다. 사건 발생 단계에서는, 두 신문이 각각 국가 경쟁력 강화와 노동전 보호를 중심적인 서사구조로 설정해 차이를 보였으며, 대통령 및 여당과 민주노총이 대립적인 행위자로 설정되었다. 사건의 발전 단계에서는, 총파업의 불법성과 적법성 문제에 대한 갈등을 기본 서사구조로 제시한 채, 노동계를 포함한 시민사회와 정부기관이 대립적인 행위자로 등장했다. 사건의 갈등 해소 단계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두 신문이 대통령과 야당 지도자간의 정치적 해결과 노동법 통과에 대한 위헌론 제기를 중심으로 한 노동단체들의 지속적인 연대를 중심 서사구조로 각각 제시했다. 이 시기에서 주요 행위자들의 대립관계는 종료되었다. 조응분석 결과, 사건 발생과 위기 고조 단계, 그리고 갈등 해소 단계등 모든 시기에서 두 신문의 주요 행위자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 다시 말해, 조선일보는 기본적으로 총파업을 둘러싼 문제의 구성과 발전, 해소 과정에서 정당이나 대통령, 야당 지도자 등과 같은 정치관련 행위자를 강조하고 있었다. 반면에, 한겨레는 대체로 로든 사건진행 단계에서 노동 관련 단체들과 시민단체의 역동적인 연대와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the Local Identity among Inchon Citizens (인천시민의 특성별 지역정체성 비교)

  • 최병목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1
    • /
    • pp.93-121
    • /
    • 1999
  • 이 연구는 인천의 정체성을 알아보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증적 방법과 민속학적 방법 두 가지를 병행하였다. 시민단체, 공무원, 학생을 대상으로 임의목적표본방법을 사용하여 총 613명이 분석되었다. 분석방법은 교차통계분석 및 다중분류분석을 하였다. 정체성은 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집단결속력과 성취도를 결정하여 주며, 그 지역의 사회적 통합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어서, 지역의 문제나 관심사를 해결하고 발전시키는데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인천의 정체의식은 세 집단 모두 낮으며, 전체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그저 그렇다는 중용의 의견이었다. 인천에 대한 정체의식을 응답집단의 특성별로 보면 여자보다는 남자가 높고, 기혼자보다는 미혼자가 높으며, 30세 이상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수입과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정체의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관리.사무직보다는 판매.서비스.생산.농업직 종사자들의 정체의식이 높았다. 전문대 정도의 교육을 받은 시민의 정체의식이 상대적으로 높고, 인천의 문화.복지.환경개선을 위한 특별기금 기부의사가 있는 시민과 인천을 마음붙이고 살 곳으로 생각하는 시민의 정체의식이 높다. 총괄적인 의미에서 본 인천의 정체성에 관한 조사를 보면, 인천은 "주인의식 없음"과 "이제부터 만들어 가야 한다"는 답변이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은 "포용력", "선구적 개척정신", "긍정적인 의미의 짠물", "합중시(合衆市)적 다양성", "외세에 대한 호국정신", "세계의 관문도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응답유형으로 보아서는 인천지역에 대한 이미지를 한마디로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인천은 서울.경기인, 충청인, 호남인, 영남인, 이북인, 외국인 등을 가리지 않고 받아드리는 "포용력이 있는 합중시적 다양성을 가진 도시"로 지역차가 서로 다른 출신성분이 공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이는 "세계속의 도시"와 "동북아의 거점도시"를 추구하는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는 지역주의를 지양하고 지역통합이슈와 세계화 물결속에서 외국인에게도 열린 상태문화를 제공하는 관문이 될 것이라는 면에서 인천이 추구해야 할 정체성으로 시사하는 점이라고 본다.는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는 지역주의를 지양하고 지역통합이슈와 세계화 물결속에서 외국인에게도 열린 상태문화를 제공하는 관문이 될 것이라는 면에서 인천이 추구해야 할 정체성으로 시사하는 점이라고 본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alization of Consumer Needs by Analysing Emotional Factors (감성 요소 분석을 통한 소비자 니즈의 구조화에 관한 연구)

  • 엄정식;김창수;김명석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1
    • /
    • pp.97-106
    • /
    • 1999
  • As the Production technology Progresses, the necessity to consider consumers needs being complex and diverse in the phase of developing product is being more important. However, existing system of consumers needs being structured with the view of marketing is too abstractive and categorical to apply in the phase of developing product. S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method that structuralize customer's needs for applying practically in the phase of the product concept development and to suggest guidelines to needs structuralization with emphasis on the view of cognitive science/cognitive psycholog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summerized as follows. First, to structuralize not only customer's needs category which being used as standard to assort needs in existing way but also practical needs features, it must contain the concept of emotion that is actual product's meaning to customers in its structure, and for this reason, the structuralized needs with emotions can be defined as emotional needs structure. Second, categorization of concept will be divided as essential concept and referential concept centering around symbolic concept, and from this supposition, emotional needs structure can be composed as benefit concept(essential concept), customer needs(referential concept) centering around emotion(symbolic concept).

  • PDF

Analysis on the Figure of Black and White in the Comic Strip which are Mounted on the Book Pages (책 페이지에 구현된 만화의 흑백 연출 의미 분석 - 흑과 백이 갖는 상징성의 조화와 대립을 중심으로)

  • Yun, Bo-Kyou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0
    • /
    • pp.177-20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black and white in the comic strip, which are mounted on the book pages. The role of space in comic strip, compared to the role of time in the cinema, enable to feel the role of the time in the book. Therefore storytelling of comic strip has been placed in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space. My aim is to think about the black and white meaning in the visual media, especially the use of black and white which is highlighted in the comic strip. Black and white doesn't mean a loss of color in the comic strip but it works around 2 important notions : readability, modernity (with minimalism). In comic strip, 'black and white' is not a true colour but it is complex items which indicate symbolic significances. Moreover it is also a notion which enhance 'existence and absence' and 'visible and invisible'. That's why to analyze and to understand how the space is organized in comic strip page, i chose several examples extract from black and white comic strip.

대순 『전경』의 '공사(公事)'개념에 대한 고찰

  • 잔스촹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3
    • /
    • pp.37-105
    • /
    • 2014
  • '공사(公事)'는 『전경』이 담고 있는 매우 중요한 종교 문화적 현상이다. 그리고 그 속에는 매우 깊은 사상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대순진리회 공사개념의 연원은 중국 고대의 경전과 문헌에서 그 단서를 찾아볼 수 있으나, 그것은 결코 단순히 중국의 것을 답습한 것이 아니다. 강성상제와 도주 조정산께서는 '묵은 하늘'의 음양 혼란 시대에 공사를 행하였기 때문에, 도수를 바로잡는 공사는 근본부터 바로잡는다는 의미가 있으며, 새로운 시대를 의미하는 '개벽'도 이에 포함된다. 중도, 화평, 공정은 질서가 바로 잡힌 사회의 시작을 의미하며, 이는 새로운 생활을 창조하는 데 있어 중요한 현실적 의의를 지닌다. 전체적으로 볼 때 대순진리회의 공사는 사회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응답하여 생겨난 종교문화 활동이다. 이러한 종교문화 활동은 일종의 기호로서, 상징성을 갖춘 의식을 거행하는 것이다. 공사는 명부의 한을 해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데, 이는 근본을 중시한다는 의미이며, 태초로 거슬러 올라가 사회를 다스리는 커다란 방향을 전개한다는 것이다. '역도(逆度)'를 조정하는 공사에서는 사회적 관점에서 보자면, 역사가 남긴 문제에 대해 고민하고 해결하려는 태도를 뜻한다. 이는 민생문제를 매우 중시하였음과 인간의 도에 대해 경외심과 존중을 표현하고 있음이 나타내며, 결국 '보세(普世)'의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공사를 실천하는 방법은 '신생활법'이며, 이는 인(仁)과 인류와 동물에 대한 자비심을 강조하며 '삼계개벽'의 개혁정신과 창조적 사고를 나타낸다. 이로써 '통달(通達)'과 '대도(大道)'의 정신을 나타내었다. 이로 볼 때, 인간의 삶을 인도하며, 궁극적으로는 지상천국을 건설하고자 하는 정신이 공사의 개념 속에 분명하게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다.

A Study on the Symbols of the Snake's Shedding (뱀의 허물벗기에 대한 상징 연구)

  • Ju-Hee Na;Dong-Tae Kim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8 no.1
    • /
    • pp.135-141
    • /
    • 2023
  • Snakes are objects that appear in religions, folktales, and folktales of various countries, and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human spirit and culture since ancient time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shedding of skin in the ecology of snakes and dealt with related symbols. In the process of shedding its skin, the snake overcomes difficulties and pains, grows, and escapes death to gain a new life. This has the meaning of individuation through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by overcoming hardships. This shedding of skin was recognized as a symbol of wisdom, transformation, rebirth, and healing in myths, religions, and folktales, and settled in people's unconscio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