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주인구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시 거리의 주간활동인구 측정과 해석: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 사례 (How to Measure Daytime Population in Urban Streets?: Case of Seoul Pedestrian Flow Survey)

  • 변미리;서우석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2호
    • /
    • pp.27-50
    • /
    • 2011
  • 도시의 행정수요 측정과 도시경제 운영을 위해 주간활동인구를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상주인구를 보완하는 개념으로서 센서스의 통근 통학 자료에 근거를 둔 주간인구가 활용되고 있으나 서비스 경제가 압도적인 서울과 같은 대도시의 주간활동인구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의 주간활동인구를 파악하기 위한 개념으로서 유동인구를 제시하고 서울시 유동인구 조사의 방법을 소개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유동인구 조사자료의 분석 결과 센서스 기반 주간인구에서는 파악할 수 없었던 시간대별, 공간대별 도시 주간활동인구의 분포를 밝힐 수 있었다. 끝으로 유동인구 조사자료를 통해 파악한 주간인구와 센서스 기반 주간인구를 자치구 수준에서 비교함으로써 유동인구 조사 자료의 주요 특성들을 밝혔다.

  • PDF

21세기에 산다 - 꿈같은 주거공간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2권3호통권358호
    • /
    • pp.18-19
    • /
    • 1999
  • 내일의 주거공간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21세기는 해양을 끼고 새로운 생태도시가 건설되고 또 본격적인 해양개발시대를 맞아 5대양을 누비는 해상도시가 건설될 것이다. 인구 50만명이 상주하게 될 생태도시는 높이 5백m의 원형타워형 건물로 지상 1백25층, 지하 45층으로 지상은 식물생산공장, 지하는 50만명의 거주공간으로 모든 것을 자급하고 공해없는 미래형 도시를 이룰 것으로 본다. 또 세계 최초의 떠있는 해상도시는 상주인구 4만5천명 등 9만5천명을 수용하는 움직이는 인공섬으로 미국에서 10년 전부터 구상하고 있어 21세기에는 실현되어 5대양을 누비게 될 것이다.

  • PDF

서울시 지하철의 운영현황과 건설전망

  • 배원근
    • 전기의세계
    • /
    • 제28권5호
    • /
    • pp.3-9
    • /
    • 1979
  • 서울시의 과거 1910년의 도시계획에 의하면 상주인구를 110만명으로 보아 수립된 것이였다. 그러나 60년대부터 시작된 3차에 걸친 경제개발의 촉진으로 수도 서울의 인구는 70년에 543만명 74년에는 654만명 작년 78년 782만명으로 연평균 4.7%의 증가율을 나타낸데 비해 일일교통인구는 70년대에 600만명이든것이 78년에는 1,100만명으로 년간 9%의 증가율을 보여 원활한 교통소통에 이르지못하고 정체과밀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울시에서는 도로확장 버스증차 신호체계개선등 단기계획을 해마다 추진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도시기능재배치에 노력하고 있으나 노면교통의 근본적인 대책은 지하철로선의 확대에 있다는 결론을 얻어 1호선에 이어 2,3,4호선을 83년까지 완공할 예정으로 건설을 서두르고 있다.

  • PDF

상주인구와 주간인구의 계층구조 비교분석 : 서울을 중심으로 (Social Stratification of the Great Seoul Area: A Comparative Study Using Two Types of Population)

  • 은기수
    • 한국인구학
    • /
    • 제24권1호
    • /
    • pp.41-65
    • /
    • 2001
  • This study aims a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stratification in the Great Seoul area using two types of population. One type of population is a resident population(常住人口), and the other is a daytime population주간인구(晝間人口). In most demographic studies, only resident population have been considered.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to daytime population. However, a resident population have a character of night population야간인구(夜間人口). In fact, most people move and work in the areas where they do not live in everyday life in the contemporary period, which indicates that the concept of a daytime population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a resident population. This study reveals that a number of people, on the one hand. come together to the downtown area to work or study while they live in other areas. On the other hand, resident population in downtown area do not move so much. When we analyze the social stratification structure of the Great Seoul area using a resident population, we find that the resident population of downtown area consist of those of low social status. On the contrary, the daytime population of downtown area in Seoul consist of those of high social status. This means that most people of high social status live in the southern area of Seoul or outside Seoul, but make a living in downtown area in everyday life. From this study, we find that the concept of a daytime population is as important as that of a resident population. The more residence becomes separate from work place, the more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a daytime population grows in making policy as wall as in demographic studies. This study implies tha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oncept of daytime population i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Studies.

  • PDF

지방정부서비스의 외부성과 광역도시내 인구이동 (Intra-Metropolitan Migration and Inter-Jurisdictional Fiscal Externalities in the United States)

  • 조임곤
    • 한국인구학
    • /
    • 제22권1호
    • /
    • pp.153-173
    • /
    • 1999
  • 광역도시내 대도시와 신도시는 경제적인 유기체임에도 불구하고 임의적인 행정구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결과 대도시는 신도시 주민들을 위하여 막대한 재원을 투자하여 도시기반시설을 건설하여야 하나, 상주인구의 감소로 재원부족이라는 어려움에 빠지게 된다. 본 연구는 1990년 미국 센서스 1% 자료를 이용하여 53개 광역도시내 인구이동을 분석하여 대도시가 도시기반시설에 투자를 하면 할수록 신도시로 대도시 인구가 빠져나가는 "신도시 주민의 대도시 찰취가설"을 입증하였다. 결국 광역도시내에 상이한 지방정부가 존재하는 경우 지방정부서비스 공급은 티부이론이 제시하는 효율성을 달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광역도시내 정부 서비스의 공급은 사무엘슨 방식의 통합적 제공이 필요하다. 제공이 필요하다.

  • PDF

가족계획사업이 가족 및 생활주기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amily Planning Programme on the Family and Its Life Cycle with Reference to ESCAP Region(Areas of Data Analysis and Studies))

  • Bang, Sook
    • 한국인구학
    • /
    • 제11권1호
    • /
    • pp.185-196
    • /
    • 1988
  • 광역도시내 대도시와 신도시는 경제적인 유기체임에도 불구하고 임의적인 행정구역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결과 대도시는 신도시 주민들을 위하여 막대한 재원을 투자하여 도시기반시설을 건설하여야 하나, 상주인구의 감소로 재원부족이라는 어려움에 빠지게 된다. 본 연구는 1990년 미국 센서스 1% 자료를 이용하여 53개 광역도시내 인구이동을 분석하여 대도시가 도시기반시설에 투자를 하면 할수록 신도시로 대도시 인구가 빠져나가는 "신도시 주민의 대도시 찰취가설"을 입증하였다. 결국 광역도시내에 상이한 지방정부가 존재하는 경우 지방정부서비스 공급은 티부이론이 제시하는 효율성을 달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광역도시내 정부 서비스의 공급은 사무엘슨 방식의 통합적 제공이 필요하다. 제공이 필요하다.

  • PDF

미작과 과수 재배 지역의 사회와 경제 변화 : 상주권 농촌 촌락을 사례로 (The Changes of Socio-economic Environments of Rice- and Fruit-cultivated Area : In Case of Rural Villages in Sangju Region, Kyongsangbuk-do)

  • 박규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44-756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주권에 위치한 미작과 과수 농업 중실 마을의 자연 환경, 사회 경제 환경의 변화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상주권 촌락의 대부분은 소백산맥의 침식 분지와 낙동강의 퇴적지형에 위치해 있으며, 이러한 자연 환경은 지역 주민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1970년대까지 상주군 촌락의 인구는 지역 내부에서 이루어진 재생산 구조에 의해 유지되어 왔다. 이후 농촌 마을의 자녀들이 직장, 교육 등의 이유로 타 지역, 특히 대도시로 이농함에 따라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 인구 재생산 구조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었다. 셋째, 1980년대 이후 상주권 촌락은 재배 작물과 이와 관련된 생산 양식에 따라 상이한 경로로 변화하였다. 벼와 밭작물에 기반을 둔 전통적 생산 양식을 지속시킨 촌락과 과수 농사에 기초한 상업적 생산 양식으로 전환한 촌락의 사회 경제 구조는 상이한 경로로 변화하였다. 함창읍 척동 1리는 전자의 경로로 그리고 모동면 신천 2리는 후자의 경로로 따라 변화하여 왔다.

  • PDF

초고층 공동주택의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

  • 김용식;박민식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31권1호
    • /
    • pp.32-35
    • /
    • 2002
  • 도시로의 인구집중, 도시의 대규모화에 따라 고가의 부지에 대한 고밀도화가 요구되고, 주거부문에서는 그 대응 수단으로 초고층 공동주택의 건설이 증가 하고 있다. 부언하면, 대도시 도심부의 높은 지가 상황에서 가구당 건설비의 저감을 위한 고용적률화의 필요성, 새로운 도심지 주거스타일의 발생 및 그에 대한 대응, 도심지역 기능 재편 대책으로서 도심지역에 있어서의 상주인구 확보 등의 대응 수단으로서, 도시 주택의 한 타입인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심지 초고층 공동주택 건설의 기반에는 근년의 초고층 건설기술의 진보 및 발전이 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본고에서는 초고층 공동주택에 필요한 각종 설비시 스템중에서, 주거환경의 위생성및 쾌적성을 확보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쓰레기처리 설비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GIS를 활용한 대전시 주유소 입지와 판매권역 분석 (An application of GIS technique to analyze the sales area and the location of gas stations in Tae-jeon city)

  • 김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211-228
    • /
    • 2004
  • 본 연구는 대전시를 사례로 하여 주유소의 입지적 특성과 판매권역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과 면접 조사, 그리고 GIS의 그리드 분석을 활용하였다. 주유소의 입지적 특성을 분석해 본 결과 고수익 입지유형은 인구밀도와 1일 통행량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배후 상주인구와 통행인구가 많아 고수익이 예상되었고, 반면에 저수익 입지유형은 토지이용상 녹지와 개발제한구역 등으로 통행량도 낮아서 높은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대전시 인구수에 기반하여 판매권역의 공간분포 패턴을 살펴본 결과, 주유소 판매권역의 크기는 인구밀도가 조밀한 중심지역에서 인구밀도가 낮은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확대되었다. 또한 인구수에 대비하여 주유소가 과다한 주유소 과밀지역과 과소 지역이 분포하는 불균형적 주유소 분포패턴을 보여주었다. 입지-배분모델을 적용한 결과 주유소 과밀 지역에서는 주유소의 수가 줄어들었고, 과소한 지역에서는 신규로 주유소가 입지하여 보다 균형적인 분포패턴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석유제품 유통기관별로 최소 배후지 규모를 만족시키면서 균형적 공간 분포패턴을 가질 수 있도록 배치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주거 지역을 고려한 홍수피해 예상인구 추정

  • 김용전;김지성;신형섭;김원;박용운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816-816
    • /
    • 2012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와 이상기후 현상 등의 영향으로 홍수에 대한 위험이 커지고 있다. 홍수에 의해 발생하는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구조적 및 비구조적 대책 등을 통한 치수정책 수립이 필요하며, 대표적인 비구조적 대책으로는 홍수위험지도(flood hazard map) 제작 등이 있다. 홍수위험지도는 홍수시 침수범위, 침수심 등의 정보를 지도상에 표시하고 있으므로 홍수피해가 발생가능한 공간적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다. 홍수위험지도는 침수정보 뿐만 아니라 대피로, 대피처 등 홍수시 피난정보도 함께 나타낼 수 있으므로 홍수발생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홍수피해 예상범위를 미리 추정할 수 있으므로 피해가능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조적 치수계획 수립의 적절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침수 가능지구 내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중요도를 평가함으로써 지역 특성을 고려한 선택적 홍수방어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요도 중 홍수피해 예상인구에 대한 현실적인 계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홍수가 발생하여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에서 사람이 실제 거주하는 면적을 고려하는 방법은 토지등기부의 지목을 활용하는 것이다. 토지지목은 토지의 종류를 사용목적에 따라 구분한 명칭이며,"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제67조에서 전 답 과수원 목장용지 임야 광천지 염전 대(垈) 공장용지 학교용지 주차장 주유소용지 창고용지 도로 철도용지 제방(堤防) 하천 구거(溝渠) 유지(溜池) 양어장 수도용지 공원 체육용지 유원지 종교용지 사적지 묘지 잡종지 등 28가지 항목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대(垈) 지목은 영구적 건축물 중 주거 사무실 등의 부지를 의미하므로 상주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으로 가정할 수 있다.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에서 대(垈) 지목의 면적을 고려하여 계산된 인구수와 단순 면적비로 계산된 인구수를 비교한 결과, 도시화의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단순 면적비에 비해 인구수가 높게 계산되었고, 농경지 및 산지가 발달된 지역일수록 단순 면적비에 비해 인구수가 낮게 계산되었다. 따라서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의 인구수를 예측할 경우 토지지목 중 대(垈) 지목의 면적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인 홍수피해 예상인구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