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nges of Socio-economic Environments of Rice- and Fruit-cultivated Area : In Case of Rural Villages in Sangju Region, Kyongsangbuk-do

미작과 과수 재배 지역의 사회와 경제 변화 : 상주권 농촌 촌락을 사례로

  • Park, Kyu-Taeg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박규택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changing socio-economic activities of the rice and fruit - centered rural village located in Sangju region, Kyongsangbuk-do. Its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s. Firstly, most of the rural villages in Sangju region is located on the erosional basin of Sobaek range and the sedimentary region of Nakdong river and the farmer's life of those regions has been influenced by such a natural environment. Secondly, the reproduction structure of population in the rural village of Sangju region had been maintained until the 1970s. After that, however, it was broken because the young generation of the rural villages moved to large cities to get a job or to receive high level of education. Thirdly, the changing path of the rural villages of Sangju region was different based on a type of crop and its related mode of production after the 1980s. The socio-economic structure of the rural village has been developed based on either a rice oriented traditional mode of production or a fruit-oriented commercial mode of production. The two villages, Ch'ekdong 1 ri, Hamch'ang-up and Sinch'on 2 ri, Modong-myon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path of a traditional and commercial mode of production,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상주권에 위치한 미작과 과수 농업 중실 마을의 자연 환경, 사회 경제 환경의 변화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상주권 촌락의 대부분은 소백산맥의 침식 분지와 낙동강의 퇴적지형에 위치해 있으며, 이러한 자연 환경은 지역 주민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1970년대까지 상주군 촌락의 인구는 지역 내부에서 이루어진 재생산 구조에 의해 유지되어 왔다. 이후 농촌 마을의 자녀들이 직장, 교육 등의 이유로 타 지역, 특히 대도시로 이농함에 따라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 인구 재생산 구조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었다. 셋째, 1980년대 이후 상주권 촌락은 재배 작물과 이와 관련된 생산 양식에 따라 상이한 경로로 변화하였다. 벼와 밭작물에 기반을 둔 전통적 생산 양식을 지속시킨 촌락과 과수 농사에 기초한 상업적 생산 양식으로 전환한 촌락의 사회 경제 구조는 상이한 경로로 변화하였다. 함창읍 척동 1리는 전자의 경로로 그리고 모동면 신천 2리는 후자의 경로로 따라 변화하여 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