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완 신경총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상완 신경총에 발생한 신경초종의 미세절제술 - 1예 보고 - (Microsurgical Resection of Schwannoma of the Brachial Plexus -A case report -)

  • 손병철;조규도;조민섭;왕영필;조덕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3호
    • /
    • pp.249-252
    • /
    • 2005
  • 상완 신경총에 발생하는 종양은 비교적 드물다 저자들은 상완 신경총의 하부 신경간에 발생한 신경초종을 미세현미경 수술로 치료하였기에 보고한다. 38세 남자 환자가 우측 쇄골상부 및 전완부의 6, 7번 경부신경 지배영역에 통증을 호소하였다. 고무탄력의 딱딱한 종괴가 우측 쇄골 상부에서 촉지되었고 자기공명영상소견 상 우측 상완 신경총 부위에 주위와 경계가 뚜렷하고 낭성 부위를 포함하며 조영제에 잘 조영되는 타원형의 종괴였다. 상완 신경총 종양은 전방 경흉부 접근법(Dartevelle 변형술식)을 통해 완전히 제거되었다. 수술 후 3개월째 아무런 신경 증상이 없이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상완 신경총 손상에서의 수술 전 평가와 치료 계획 (Traumatic Brachial Plexus Injury: Preoperative Evaluation and Treatment Principles)

  • 유재성;박성배;김종필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2권3호
    • /
    • pp.137-146
    • /
    • 2017
  • 상완 신경총 손상은 상지의 가장 심각한 손상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성공적인 결과를 얻는 데에 있어 중요하다. 기본적인 수술 전 평가에는 단순방사선 촬영, 경부 척수조영, 자기공명영상, 혈관조영술, 전기생리학적 검사 및 수술시의 평가가 있다. 또한, 적절한 수술 시기와 적응증, 수술계획과 환자의 예후에 대한 충분한 예후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한 필수적 조건이다. 저자들은 상완 신경총 손상의 진단, 수술 시의 관찰과 외상 후 상완신경총 손상 치료의 적절한 수술 계획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상완신경총 환자에서 최적의 자기공명영상 지방소거 기법에 관한 연구 : SPAIR, STIR 지방소거 중심으로 (A Study on Optimized MRI Fat-Saturation Technique for Brachial Plexus Patients : Focused on SPAIR and STIR Fat-Saturation)

  • 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71-278
    • /
    • 2014
  • 상완신경총에서 STIR(short TI inversion recovery) 지방소거 강조영상과 SPAIR(spectral adiabatic inversion recovery) T2, T1 지방소거 강조영상기법을 비교 평가하여 최적의 지방소거 기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30 명 상완신경총에 질환이 없는 정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 3.0 T MRI 기기를 이용하여 검사를 하였고, 분석방법으로 세 기법에 대하여 SNR, CNR 및 4단계 점수로 평가를 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로 SPAIR T1 기법에 대한 SNR, CNR 값은 상완신경총기시부($03.07{\pm}0.98$, $-2.25{\pm}0.54$), 상완신경총몸체($06.70{\pm}1.81$, $36.31{\pm}2.17$)에서 높은 값을 제공하였다 (p<0.05). 정성적 분석결과 상완신경총 묘출도와 지방소거 정도, 영상의 인공물은 SPAIR T1($3.2{\pm}0.70$, $3.6{\pm}0.51$, $3.4{\pm}0.10$)기법이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다(p<0.05).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 (Ultrasound-Guided Axillary Brachial Plexus Block, Performed by Orthopedic Surgeons)

  • 김철우;이철형;윤자영;이승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513-521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상지 수술에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의 유용성 및 합병증을 조사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총 103건에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을 시행하였다. 초음파 및 프로브는 Siemens Acuson X300의 VF13-5 transducer를 사용했다. 수술 부위가 차단한 신경의 해부학적 감각 분포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대상에 포함하였으며, 다발성 손상으로 2시간 이상의 수술 시간이 예상되는 경우와 상완부의 수술은 제외했다. 술기는 lidocaine HCl 2% 20 ml, ropivacaine 0.75% 20 ml, 0.9% normal saline 10 ml로 조성된 50 ml의 혼합액으로, 2명의 정형외과 의사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술기의 성공률(수술 시 마취 유도 상태 여부), 마취 유도 시간(천자침 제거 후 근력과 감각이 모두 소실될 때까지의 시간), 가능한 상지 수술 범위, 수술 후 무통 지속 시간(완전 마취 유도와 수술 후 수술 부위 통증 발생까지의 시간)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술기를 시행한 2명의 의사 간 결과값의 차이는 없었다.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에 소요된 needling time은 평균 5.5분(2.5-13.2분), 완전 마취 유도에 걸린 시간은 평균 18.4분(5-40분)이었으며 103명의 환자 중 100명에서 마취가 성공하여 97.1%의 성공률을 보였다. 무통 지속 시간은 평균 402.8분(141-540분)이었다. 마취 후 1예에서 어지러움, 4예에서 구역, 구토 증상을 보였고, 2예에서 입 주변이 얼얼한 증상을 보였으나 7예 모두 당일 완전히 호전되었으며, 총 103예 중 3예에서는 마취 실패로 수술실에서 2예에서 국소 마취제를 추가 투여하였고, 1예에서 전신 마취로 전환하여 수술을 하였다(3예/103예, 2.9%). 결론: 일부 주관절을 포함한 상지 수술에서 정형외과 의사가 시행한 초음파 유도 액와 상완 신경총 차단술은 빠르고 쉽게 마취를 가능하게 하여 수술 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높은 마취 성공률을 얻을 수 있게 하고 용량 선택적 마취가 가능하게 하는 안전한 술기로 판단된다.

수소양 삼초경근의 해부학적 연구 (Anatomical observation on the Triple Energizer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4권1호
    • /
    • pp.65-77
    • /
    • 2007
  • 목 적 : 본 연구(硏究)는 수소양삼초경근(手少陽三焦頸筋)의 이론적(理綸的) 근거(根據)를 해부학적(解剖學的)으로 제공(提供)하고 임상(臨床)에 경근(經筋)의 정확(正確)한 적용(適用)을 위함이다. 방 법 : Cadaver에 경근(經筋)을 표시(表示)하고 각각(各各)의경 경혈부위(經穴部位)에 표식(標識)와 pore 작업을 수행하고 각 경혈부(經穴部)를 피부(皮膚), 근막(筋膜), 그리고 근육(筋肉)의 천층(淺層), 중문층(中問層), 그리고 심층부(深層部)를 순서적(順序的)으로 해부(解剖)하여 근육(筋肉), 신경(神經), 혈관(血管) 등을 관찰(觀察)한다. 결 과 및 결 론 : 수소양삼초경근(手少陽三焦經筋)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고찰(考察)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근(筋) 육(肉) : 천층에 근막(TE1), 근막확장대(TE2), 근막과 근간결합(TE3), 근막과 신근지대(TE4), 근막과총지신근건(TE5), 근막및 총지신근과 소지신근간(TE6), 근막과 소지신근(TE7), 총지신근(TE8), 척측수근신근과 소지신근간(TE9), 상완삼두근건(TE10, 11), 상완삼두근(TE12), 삼각근(TE13), 삼각근및 극하근과 극상근간(TE14). 승모근(TE15), 흉쇄유돌근(TE-16, 17, 18), 후이개근(TE19, 22), 상이개근(TE20), 전이개근및 이하선근막(TE21), 안륜근(TE23), 중층에 소지신근건과 총지신근건간(TE4), 측두근막과 측두근(TE2O, 22, 23), 심층에 배측골간근(TE3), 시지신근과 골간막(TE5) 장모지신근(TE6), 시지신근(TE7), 장지신근과 장모지외전근간(TE8, 9), 상완삼두근(TE13), 견갑거근(TE15), 두판상근(TE16), 경상설골근과 하악이복근간(TE17) , 이복근(TE18) .2) 신(神) 경(經) : 천층에 척골신경의 배측지(TE1, 2, 3), 후전완피신경(TE4, 5, 6, 8, 9, 10, 11), 내측전완피신경(TE5, 6, 7, 8, 9, 10, 11), 후상완피신경(TE12, 13), 상외측상완피신경(TE13), 외측쇄골상신경(TE14, 15),대이개신경(TE16, 17, 18, 19), 소후두신경(TE19, 20), 이개측두신경(TE20, 21, 22), 안면신경측두지(TE22, 23), 관골측두신경(TE23), 중층에 견갑상신경(TE15), 견갑배신경(TE15), 경상설골근신경(TE17), 후이개신경(TE18, 19, 20), 안면신경측두지(TE20, 21, 22), 심층에 후골간신경(TE5, 6, 7), 요골신경심지(TE8, 9, 12, 13), 견갑상신경(TE14), 액와신경가지(TE14), 부신경(TE16), 안면신경과 부신경가지(TE17), 설인신경(TE17), 설하신경(TE17), 경신경고리(TE17), 미주신경(TE17), 안면신경 (TE18). 3) 혈(血) 관(管) : 천층에 척측정맥배측지(TE1, 2), 고유수장지동맥배측지(TE1), 배측중수골동맥배측지(TE2), 배측중수골정맥(TE3), 척측피정맥(TE4, 5, 6, 7, 8, 9, 10, 11), 배측정맥궁(TE4), 부요측피정맥(TE6, 8, 9),요측피정맥(TE10, 11), 후견봉정맥가지(TE13, 14), 후이개동 ${\cdot}$ 정맥(TE16, 17, 18, 19, 20), 전이개동 ${\cdot}$ 정맥(TE20), 천측두동 ${\cdot}$ 정맥(TE22, 23), 중층에 후상완회선동맥(TE14), 견갑배동맥(TE15), 견갑상동맥(TE15),천측두동 ${\cdot}$ 정맥(TE21), 관골측두동 ${\cdot}$ 정맥(TE23), 심층에 배측중수골동맥(TE3), 배측수근동맥궁(TE4), 후골간동맥(TE4, 5, 6, 7, 8, 9), 전골간동맥(TE6, 7, 9), 심상완동맥(TE10, 11), 상완동맥측부지(TE10, 11), 중간 측부동맥(TE12), 요측측부동맥(TE12), 심상완동맥가지(TE13), 후상완회선동맥(TE13), 견갑상동맥(TE14), 후두동 ${\cdot}$ 정맥(TE16, 17), 내경정맥(TE17). 결 론 : 1. 수소양삼초경근(手少陽三焦經筋)은 근육(筋肉), 그리고 관련(關聯) 신경(神經), 혈관(血管)으로 구성된다. 2. 본 연구(硏究)는 경근(經筋)에 관한 기존(旣存)의 연구(硏究)와 비교(比較)하여 볼 때에 경근(經筋)의 구성요소(構成要素)에 있어서 약간(若干)의 차이(差異)를 보여준다. 3.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결동(硏究結東), 경근(經筋) 근육(筋肉)을 지배(支配)하는 신경(神經)${\cdot}$혈관(血管)의 개념(槪念)과 경근(經筋)을 스쳐 지나가는 신경(神經)${\cdot}$혈관(血管)의 개념(槪念)은 구분(區分)된다.

  • PDF

상완신경총에 재발한 악성 신경초종에 대한 흉곽출구의 광범위 구역절제술 치험 - 1예 보고 - (En Bloc Resection of a Thoracic Outlet for a Recurred Malignant Schwannoma of the Brachial Plexus - A case report -)

  • 김영규;박진수;손봉수;김영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0호
    • /
    • pp.715-718
    • /
    • 2007
  • 상완 신경총에 발생하는 신경초종은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중 악성 신경초종은 Schwan cell 또는 신경초 세포에서 기원한다. 빈도는 낮으나 Von Rechlinghausen's disease와 동반되기도 한다. 환자는 35세 여자로 약 10년 전 폐결핵의 과거력이 있었다. 1년 전부터 경부 종괴의 크기 증가가 있었고, 6개월 전부터 동통이 수반되었다. 종괴의 크기는 $5{\times}7cm$였다. 술 후 방사선 치료를 하였으나 2차례에 걸쳐 재발하여 흉곽 출구의 광범위 구역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상완 신경총에 발생한 다발성 사구종: 증례 보고 (Multiple Glomus Tumor in Brachial Plexus: A Case Report)

  • 한정수;정덕환;박광희;김환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44
    • /
    • 2012
  • 사구종은 피부와 피하 인접부위에 위치하는 피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사구체에서 발생하는 혈관종의 일종으로 대개 조갑하 부위에서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수지 이외의 부위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흔하나 말초 신경에서 생기는 경우는 비교적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교실에서는 일반적으로 호발하는 부위가 아닌 상완신경총에서 발생한 사구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