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온양생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4초

프리믹스형 상온양생용 UHPC를 활용한 건축물 내·외장 시공 사례 (Construction Example on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Building utilizing UHPC for Premix Type Room Temperature Curing)

  • 최병걸;윤주용;고효진;박용규;윤기원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43-144
    • /
    • 2019
  • This study introduces the production and construction of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using UHPC for premix type room temperature curing developed through advance research and development.

  • PDF

슬래그 혼입 기포콘크리트의 성능향상을 위한 양생조건의 평가 (Evaluation of Curing Conditions for Improving the Various Properties of Aerated Concrete Incorporating Slag Powder)

  • 박종범;윤현섭;양근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27-532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기포 콘크리트의 소포를 제어하면서 압축강도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 조건을 평가하는 것이다. 시멘트 양 대비 고로슬래그를 40% 혼입한 기포 콘크리트를 고온조건($40^{\circ}C$$60^{\circ}C$의 온도에서 10시간 및 15시간)에서 양생 후 측정한 실험결과를 상온양생 조건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고로슬래그를 40% 혼입한 기포 콘크리트에서 침하는 발생하지 않았다. 고온양생을 실시한 기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낮은 밀도 범위에서도 상온 양생한 기포 콘크리트의 강도보다 높았다. 하지만 기포간 병합으로 인한 압축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양생온도 $60^{\circ}C$에서 그 지속시간을 10시간 이하로 제한할 필요가 있었다.

바톰애시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뒤채움재 (Eco-Friendly Backfill Materials with Bottom Ash)

  • 이관호;김성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385-1390
    • /
    • 2012
  • 바톰애시와 현장발생토사를 혼합한 유동성뒤채움재에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동성과 일축압축강도를 이용하여 4가지 다른 배합조건에 대한 각각의 최적배합비를 결정하였다. 현장발생토 25-45%, 바톰애시 30%, 플라이애쉬 10-20%, 고무분말 0-3%, 시멘트 3% 및 물 22%의 범위에서 최적배합비가 결정되었다. 각각의 혼합물은 20cm 이상의 유동성, 3일 양생시 127 kPa 및 28일 양생시 206-980 kPa 일축압축강도 조건을 만족하였다. 시험재료는 상온양생 및 습윤양생 2가지 조건을 이용하였다. 전체 혼합물에 대한 변형계수(E50)는 0.07-0.08 * $q_u$로 나타났다. 또한, 습윤양생 시편의 일축압축강도가 상온양생 시편에 비해 약 10% 정도 큰 값을 나타나내었다. 전체혼합물의 내부마찰각은 36.5-46.6도, 점착력은 49.1-180 kPa 범위로 측정되었다. 고무분말이 추가된 case 4번의 경우 다른 case에 비해 점착력은 크게, 내부마찰각은 작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동성채움재의 공용 성능을 위해 실시한 pH실험 결과 배합초기 12이상 강알칼리성으로 평가되었다.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을 위한 고점착 유화 아스팔트 혼합물과 폼드 아스팔트 혼합물의 반응특성 비교 (Comparing Laboratory Responses of Engineered Emulsified Asphalt and Foamed Asphalt Mixtures for Cold In-place Recycling Pavement)

  • 김용주;이호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79-86
    • /
    • 2010
  • 일반적으로 유화 아스팔트와 폼드 아스팔트를 사용한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은 노후한 아스팔트 포장을 재생하는데 가장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인 재활용 공법이다. 최근,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혼합물의 코팅, 라벨링, 잔류안정도, 양생조건을 향상시켜주는 고점착 유화 아스팔트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을 위한 고점착 유화 아스팔트 혼합물과 폼드 아스팔트 혼합물의 실내시험에 대한 반응특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고점착 유화 아스팔트 혼합물은 폼드 아스팔트 혼합물과 비교하여 재활용 골재를 균일하게 코팅시켜주는 것으로 육안 관찰되었다.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을 위한 고점착 유화 아스팔트 혼합물과 폼드 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안정도와 간접인장강도는 유사한 반응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진공으로 포화된 습윤상태의 고점착 유화 아스팔트 혼합물의 마샬안정도와 간접인장강도는 폼드 아스팔트 혼합물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4시간 양생 후 고점착 유화 아스팔트 혼합물의 라벨링 현상은 폼드 아스팔트 혼합물보다 적게 발생하였다. 본 실내시험에 대한 반응특성으로부터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을 위한 고점착 유화 아스팔트 혼합물은 폼드 아스팔트 혼합물보다 우수한 저항성과 라벨링 저항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가열양생(加熱養生) 콘크리트의 수화(水和) 및 강도(强度)에 관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Hydration and Strength of Accelerated Curing Concrete)

  • 신현묵;전찬기;남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7권3호
    • /
    • pp.203-212
    • /
    • 1987
  • 가열양생(加熱養生)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强度)의 조기발현(早期發現)은 상온(常溫)에서 행해지는 보통의 습윤양생(濕潤養生)에 비하여 매우 빠르다는 것이 주지(周知)의 사실이다. 그러나 가열양생(加熱養生)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수화(水和)와 강도(强度)가 촉진(促進)되는 메카니즘은 단순하지가 않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콘크리트 공시체(供試體)를 $30{\sim}100^{\circ}C$로 가열(加熱)할 때의 수화반응(水和反應) 정도(程度)를 알아보기 위해 간편한 열전대(熱電對)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측정(測定)하고, 동시에 압축강도(壓縮强度)를 측정(測定)하여 각각의 특성(特性)과 상호관계(相互關係)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그 결과(結果) 양생온도(養生溫度)에 따른 수화상승온도(水和上昇溫度)는 전도식(傳導式) 열량계(熱量計)에 의한 수화발열속도곡선(水和發熱速度曲線)과 유사한 양상(樣相)을 나타내며, 수화촉진(水和促進)이 강도발현(强度發現)의 결정적 요인(要因)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고온(高溫)일수록 수화(水和) 및 강도(强度)가 촉진(促進)되고, 약 10시간(時間) 이내(以內)에서는 $90^{\circ}C$ 부근에서 높은 강도(强度)를 나타내는 반면, 그 이후(以後)에는 강도의 증진이 저조하지만 $70^{\circ}C$ 정도의 양생(養生)은 지속적인 강도발현(强度發現)을 보여주었다.

  • PDF

양생조건에 따른 SSG공법의 일축압축강도 평가 (Evaluation on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of SSG Method with Curing Condition)

  • 최용성;김병일;문인종;허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5-20
    • /
    • 2016
  • 좁은 면적을 단기간에 개량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그라우팅 공법은 지반의 특성과 지하수위 등에 따라 주입 효과의 차이가 있다. 특히 투수성이 큰 지반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서 용탈현상이 발생하여 강도저하 및 차수 성능이 저하되어 품질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초기강도 확보 및 용탈 방지와 동시에 균열 자기치유 특성을 가지는 SSG가 개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두 가지 양생조건에 대해 SSG의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여 양생기간에 따른 일축압축 강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SSG와 기존의 LW 및 SGR의 일축압축강도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SSG가 상온 양생 및 저온 양생 모두에서 강도가 크게 측정되었으며, 초기 강도도 상대적으로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온양생에 의한 하이브리드 섬유를 혼입한 50MPa급 3성분계 무시멘트 모르타르 강도발현 (50MPa Ternary Non-Cement Mortar Strength Development Mixing with Hybrid Fibers Cured by Room Temperature)

  • 조성원;조성은;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79-180
    • /
    • 2020
  • CO2 emissions are caused by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To solve this problem construction industry are using industrial by-products to replace cement.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industrial by products were used and mixed with hybrid fibers to enhance bond strength. As the result, Regardless of the mixing rate of silica fum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ternary non cent mortar was higher than that of OPC and binary. And mixed hybrid fibers cured by room temperature compressive strength were 23% higher than those without hybrid fibers.

  • PDF

휴대용 TDR 함수량계로 측정한 현장 함수비를 이용한 현장 상온 재활용 아스팔트 포장의 수분 감소계수 개발 (Development of Moisture Loss Index Based on Field Moisture Measurement using Portable Time Domain Reflectometer (TDR) for Cold In-place Recycled Pavements)

  • 김용주;이호신;임수혁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39-145
    • /
    • 2011
  • 최근 10년간 전세계적으로 아스팔트 포장을 재활용하는 기술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노후 아스팔트 포장을 폼드 아스팔트 또는 유화 아스팔트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100% 재활용하는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기술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아이오와 주에서는 교통량이 적은 지방도로에서 기존 포장의 수명을 연장 시켜주는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공법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층은 수분의 침투나 교통하중으로부터 보호하거나 포장설계를 만족시키기 위해 가열 아스팔트 포장으로 덧씌우기를 한다. 일반적으로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층 위에 가열 아스팔트 포장으로 덧씌우기 할 시기는 대부분에 감독자들은 일정한 양생기간 또는 최대 함수비에 근거하여 결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독자가 최적에 덧씌우기 아스팔트 포장 시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층의 현장 함수비를 간단하게 측정하여 덧씌우기 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수분 감소계수를 개발하는 것이다. 먼저,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층의 함수비를 TDR 함수량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이 시공되는 기간 동안에 강우량, 대기온도, 습도, 바람속도 등 기상정보를 수집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의 초기 함수비, 대기온도, 습도, 바람속도를 변수로 하는 수분 감소계수를 개발하였다. 실제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에서 측정한 값을 사용하여 개발한 수분 감소계수는 감독자가 연속적으로 현장 상온 재생 아스팔트 포장층의 함수비를 측정하지 않고 최적의 덧씌우기 포장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증기양생이 불필요한 PC부재용 조강형 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on-PC High-Early-Strength Concrete Without Steam Curing)

  • 전우철;이지환;박희곤;이재삼;김경민;조인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6-162
    • /
    • 2014
  • 본 연구는 PC(Precast Concrete)부재 생산 시 스팀양생 공정을 생략하여 경제적 및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온양생으로 탈형강도(10MPa이상)를 만족시킬 수 있는 조강형 콘크리트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조기강도 발현에 반응성이 높은 $C_3S$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조강 시멘트와 $C_3S$의 수화반응을 높이는 경화촉진제를 사용한 조강콘크리트를 평가하였으며, 경화촉진제를 사용한 콘크리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동성 확인을 위한 슬럼프 플로 시험과 공기량은 목표값을 만족하였다. 경화촉진제를 혼입함에 있어 압축강도는 12시간까지 급격한 발현성상을 나타내었으며, 6~9시간 만에 목표를 만족하였다. 건조수축 및 자기수축의 최대 수축량은 ($-800{\times}10^{-6}$)이하의 값을 나타내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이단열온도상승 시험으로 24시간 이내에 Peak 온도를 나타내고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를 활용한 경량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a Lightweight Construction Material Using Hollow Glass Microspheres)

  • 이난경;문주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4호
    • /
    • pp.449-455
    • /
    • 2022
  • 콘크리트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설재료이다. 콘크리트의 비교적 높은 자중은 압축강도 발현과 수축저항성에서 이점을 갖지만, 초장대교량이나 초고층빌딩에 적용되기에는 구조물 자체의 무게가 큰 폭으로 증가하게 되어 거대 구조물의 형상을 제약하는 조건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경량골재를 사용하는 경량 콘크리트 개발이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경량 골재의 경우 다공질 구조로 인해 자체 강도가 작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경량 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서 낮은 강도를 가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경량 콘크리트의 한계점을 극복한 경량을 유지하면서 고강도를 만족시키는 건설재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중공 유리 마이크로스피어를 낮은 물-시멘비율의 매트릭스에 다량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해 보았으며, 네 가지 다른 종류의 마이크로스피어를 사용하여 그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마이크로스피어의 종류와 관계 없이 밀도 1.7 g/cm3를 유지하면서 압축강도 60 MPa와 80 MPa를 각각 상온양생과 고온양생 조건에서 만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