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업시설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7초

동해지역의 관광자원

  • 홍충렬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5년도 동북AISIA 지리학술국제토론회
    • /
    • pp.88-88
    • /
    • 1995
  • I. 서론 II. 관광자원의 분류 1. 자연관광자원 : 산악 호수 하천 계곡 산림 온천 지형 자연현상등 2. 문화관광자원 : 고고적유적 유무형문화재 향토예술제 박물관 등 3. 사회관광자원 : 풍속 행사 예술 종교 음악 사회형태 스포층 등 4. 산업관광자원 : 공업단지 백화점 전람회 사회공공시설 농업 상업 등 5. 위락관광자원 : 수영장 레저타운 카지노 승마장 놀이시설 등(중략)

  • PDF

상업용 스포츠센터의 물리적 증거와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vidence and Performance of Commercial Sport Centers)

  • 원구현
    • 산학경영연구
    • /
    • 제16권
    • /
    • pp.61-76
    • /
    • 2003
  • 스포츠센터의 참여수요의 절대적인 증가로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의 사업환경 변화에 따라서 노후화된 많은 스포츠센터는 시설규모 및 부대시설의 한계로 인한 이용의 혼잡성을 초래하여 소비자의 불만족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스포츠시설 공간과 운동기구 및 부대시설의 쾌적성 유지를 통한 소비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경영전략수립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 스포츠센터의 물리적 증거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물리적 증거가 전반적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과 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찰하여 마케팅 관리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물리적 증거요인이 스포츠센터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유형적 단서들에 대한 긍정적 지각으로 형성된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의 향상이 고객애호도로 연결되어 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도심상업지역 가로에 있어서 하역의 실태분석과 하역주차공간 산정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oading and Loading Space in the Central Commercial Area)

  • 정헌영;신진권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5-7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도심상업지역 중 특히 노상에서 하역이 빈번하게 이루어져 교통상의 문제가 되고 있는 지구를 중심으로 하여 하역의 실태와 특성을 파악하고, 하역을 적절히 처리할 수 있는 필요 하역주차공간을 산정해 그 활용방안에 대해서 고찰을 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산시 도심상업지역의 점포에서 반.출입되는 화물의 수송형태는 공동수송보다 개별적으로 수송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도심상업지역의 시각별 순간노상주차현황을 보면 승용차의 비율이 높으나 화물의 반.출입에는 소형트럭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목적시설과 가까운 곳에 주차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하역주차공간산정을 위해 대기행력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한 결과, 도심상업지역에 있어서 도로길이에 따른 불법주차 발생비율과 필요한 하역주차공간과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었다. 하역주차공간산정을 위해 대기행렬 시뮬레이션 모델을 활용한 결과, 도심상업지역에 있어서 도로길이에 따른 불법주차 발생비율과 필요한 하역주차공간과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었다. 한편, 무질서한 노상하역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주차공간의 적절한 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또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노외 하역주차공간의 확보 및 화물의 공동집배송 등에 관한 여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용지내 상업용도 침투의 영향요소 분석 :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Affecting Commercial Use Penetration within Single-detached Residential Units in the Residential Development Complexes : Focused on Cheong-ju Cases)

  • 송선기;정윤광;황희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4-47
    • /
    • 2010
  • 본 연구는 택지개발지구 내 단독주택용지의 상업용도의 침투 실태를 파악하고, 상업용도 침투요소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단독주택용지의 효율적인 개발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첫째, 도로특성 중 개별필지와 접하고 있는 도로의 폭원이 클수록 상업용도 침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주거시설이 교통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을 선호하여 이용객의 이용빈도가 높아지는 도로와 접해있는 지역에 입지하려는 성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주변용도특성 중 단독주택용지, 공동주택, 근련생활시설, 학교와외 거리는 단독주택용지와 가까울수록 상업용도 침투비율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반대로 공원과의 거리는 멀수록 상업용도 침투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순수단독주택이 쾌적한 환경의 조건아라 할 수 있는 공원과 가까운 곳에 인접하여 조성되어 있고, 상업용도의 침투를 밀어내는 요소로 분석된다. 셋째, 지가특성온 양의 행태를 나타냈는데 이는 곧 공시지가의 가격이 높을수록 상업용도의 침투비율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광주시 슈퍼마켓의 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ercial Properties of Supermarket in Kwangju city)

  • 김송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9-67
    • /
    • 1996
  • 1970년대에 들어서 우리 나라 상업 시설의 혁신적 변화는 슈퍼마켓의 대두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식료품을 중심으로 한 일상용품을 판매하는 소매 기구의 대규모화와 근대화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소매업이 도매업의 기능을 병행하여 유통 경로를 단축시킴으로서 생산자에서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변화를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슈퍼마켓의 상업적 특성을 분석함에 있어, 슈퍼마켓을 경영하는 점주의 입장과 슈퍼마켓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전자의 경우 슈퍼마켓 특성을 나타내는 인자는 상업 환경적 특성, 인구적 특성, 규모적 특성, 상품 구성적 특성 등을 나타내는 4개의 인자가 추출되었다. 또한 소비자의 입장에서 슈퍼마켓 특성은 근거리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볼 때 슈퍼마켓은 지역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상업 시설로서 정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업 시설은 사회 제반 요소와 소비자 요구에 의해 변화를 거듭하고 있는 만큼, 슈퍼마켓의 상업적 특성 또한 재고되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가구내부 공유외부공지의 조성실태에 관한 연구 - 서판교 점포주택지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s within Detached Housing Areas in Pangyo City - Focusing on the Mixed use Housing Areas)

  • 박경서;강준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1호
    • /
    • pp.157-167
    • /
    • 2016
  • 본 연구는 판교택지 개발사업 시행 시 지구단위계획에 반영된 공유외부공지의 확보규정이 지정취지에 맞게 조성되었는지를 조사해 봄으로서 그 실효성과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판교지역의 단독 주택지를 대상으로 하되 다가구주택과 1층의 상업시설이 허용되는 이주자택지 중 2열의 필지 중앙에 지정되어 있는 가구에(30개 가구, 221필지) 한하여 전수조사를 진행하였다. 대상으로 한 가구에 지정된 공유외부공지는 도로변에 지정된 건축선에 의해 생기는 전면공지와는 위치와 성격이 다르고 가구 내부에 위치하여 일반인에게 잘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서판교 지역은 경사지에 조성되어 있어 외부공간의 연속성에 제한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구 단부에서 도로와 만나는 필지는 보행과 유리한 조망으로 대부분 상업시설의 확장공간으로 사용되거나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내부 필지의 공유외부공지는 방치된 조경 공간, 상업시설의 창고, 보조 주방 등으로 사용되는 예가 많아 환경 정비가 요구된다. 건축물의 이격 거리 확보로 인한 가구 내 환기, 채광에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레벨차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한 사례도 조사되었다.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업무.편의시설 구상 (Commercial Districts and Amenities of Seaport Hinterland in Gwangyang Port)

  • 주경원;박병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1-110
    • /
    • 2014
  • 정부는 주요항만 배후단지를 활성화하기 위해 항만배후단지에 물류와 비즈니스의 연계강화를 통한 '국제 항만물류 비즈니스 클러스터'를 구상하고 있고, 이를 위해 업무 편의시설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한국의 주요항만과 경쟁하고 있는 유럽, 중국, 일본 등의 항만들도 항만도시로의 발전을 위해 항만배후단지에 업무 편의시설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업무 편의에 대한 사례분석과 광양항 업무 편의시설에 대한 수요추정을 통해 광양항 업무 편의시설의 활용방안, 개발단계, 운영방안 등을 제시한다. 광양항 업무 편의 시설은 업무 숙박 상업시설 중심의 개발이 필요하며, 수요를 추정한 결과 2035년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토지임대시 수익성 있는 토지임대료를 책정하고, 조기활성화를 위한 인센티브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민간분양을 위해서는 항만배후부지에 대행개발 등의 민간투자를 허용하는 방향으로의 항만법의 추후 개정도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복합상업시설 간판의 명도변화 색채구성 분석 (Analysis of Color Combination with Value Variation on Signboards in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 정재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1호
    • /
    • pp.83-92
    • /
    • 2019
  • Advertising signboards are designed for the visibility to affects recall and recognition of costumers. It is well know that the visibility from images is created by the value difference among colors. The research defines whether the background color combination of outdoor signboards is configured to maximize visibility, by a series of color value variation in complex commercial facilities. The subject of study is to examine how the visibility is made by the color combination since visibility cannot be obtained independently. Two steps of analysi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at the color composition of signboards was based on the color value difference. The first is to analyze that the entire colors of signboards are clearly categorized as different value groups. All components of colors, hue, value and chroma had been analyzed by color aesthetic measures to prove that the value variation has the only regularity and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The second step is a further verification with an ample amount of samples to determine whether series of signboards create a value altering pattern. The data for analysis is gained by colorimetric survey and the color data are used for exponentializing the degree of combining, which shows selective affinity between each pair colors.

우리나라의 원예시설 단지화 현황

  • 강상헌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5년도 특강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7-11
    • /
    • 1995
  • 우리나라 농업경영구조의 변천과정을 살펴보면 '60년대 이전은 식량작물 위주의 자급자족 경영단계였고, '70년대 후반 특히, '80년대 이후는 경제작물을 중심으로 상업농 경영이 본격화되는 단계였다. 이 같은 변천은 경제발전과 더불어 국민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식량작물의 소비는 크게 감소한데 반해 원예작물의 소비가 급증하게된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94년말 현재 전국의 원예시설 면적은 '80년에 비해 7배정도 늘어나 약 4만2천ha에 달하고 있으며 품목별로는 채소시설이 약 38,000ha로서의 전체의 9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중략)

  • PDF

원자력발전소 건설현황 및 전망

  • 문희성
    • 전기의세계
    • /
    • 제25권1호
    • /
    • pp.49-52
    • /
    • 1976
  • 원자력기술은 이차대전중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을 시작한 이래 극기적인 발전을 거듭해 여러 분야에서 응용하여 그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군사적인 이용으로 핵잠수함 및 핵항공모함 등에의 이용은 괄목한 바 있어 그 실효성을 입증한 바 있고 민간부문에서는 1956년 영국 Coldar Hall에서의 최초의 상업발전용 원자로가 가동된 것을 효시로 수종의 원자로형이 개발되어 1975년 현재 세계각국에서 전력생산에 기여하고 있는 상업용 원자로는 총 164기, 시설용량 68,500MW로써 전체 발전시설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아직은 미미한 형편이나 현재의 개발추세로 보아 그 발전속도는 과거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빠를 것으로 예상되어 원자력발전 기술이 완전히 실용단계를 넘어 에너지 공급에 많은 비중을 점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원자력발전 현황 및 개발전망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논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