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업가로

Search Result 39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Importance of the Livability Factor of Pedestrian Space for Vitality of Commercial Street (상업가로 활성화를 위한 보행공간의 리버빌리티 제고)

  • Kang, Youn Won;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5
    • /
    • pp.723-728
    • /
    • 2022
  • The vitality of the city's commercial district, which in the base of city life and provides vitality and diversity of life, has a great impact on the vitality of the entire city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e revitalization of the commercial street is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walking, and walking is close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because it involves a wide range of interaction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yond simple movement. This quality of life leads to 'Livability'. In order to revitalize pedestrians on the commercial street, the liberty factor was derived and the importance of what was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ercial street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tems representing the atmosphere and purpose, which are detailed indicators of placeness, had a high prior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detailed indicators belonging to accessibility came out with a lower priority. In order to increase the livability of the commercial street, the priority is to increase the spatiality of the space, and if pedestrians are activated as the number of visits and stay time of visitors increases, it can be extended to the vitality of the entire area.

Luminous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et Between Day and Night (도시가로의 주.야간 빛환경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Shim, In-Bo;Kim, Bong-Kyun;Kim, Jeong-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4-201
    • /
    • 2005
  • 도시에서의 빛의 연출은 도시의 축을 부각시키고, 가로의 아이덴티티를 연출함으로서 도시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야간의 경관은 인공조명을 이용한 빛의 연출로 주간과는 다른 빛환경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 가로 중에서 상업가로와 주거가로를 대상으로 주 야간의 빛환경 특성을 분석하여, 가로의 용도에 따른 주야간의 빛환경 차이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가로의 일정길이에 대하여 수평면조도, 스칼라 조도, 휘도 및 색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를 용도별, 주 야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측정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수평면조도의 측정 결과, 주간의 주거가로에 비하여 상업가로가 28.8[%] 높게 나타났으며 야간의 경우 87.2[%] 높게 나타났다. (2) 스칼라조도의 측정결과, 스칼라조도의 특성상 전반적으로 균일한 분포를 보이며, 수평면 조도와 마찬가지로 주간에 비하여 야간에 84[%] 높은 값이 측정되었다. (3) 휘도의 측정 결과, 주간 배경에 대한 대상의 휘도비는 상업과 주거가로가 1:2이하로 나타나 조화로운 가로경관을 연출하며, 야간배경에 대한 대상의 휘도비는 상업가로는 1:17로 활기 있는 경관을 연출하고 주거가로는 1:5로 가로경관 이미지에 적당한 강조효과가 나타났다. (4) 색온도의 측정 결과, 주간의 배경은 맑은 하늘의 색온도를 나타냈으며 대상은 상쾌하고 활동적인 이미지의 색온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야간의 경우 상업가로와 주거가로 모두 나트륨 등의 영향을 받아 전반적으로 따뜻한 느낌의 색온도가 연출되었다.

  • PDF

The Specific Character of Tourist - commercial District around Seongryu Cave in Uljin (성류굴 주변 관광상업지역의 특성)

  • 유영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57
    • /
    • pp.31-48
    • /
    • 1999
  • 본 연구는 1963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성류굴 주변의 관광상업지역 특성을 조사하여 관광지의 조성이 관광상업지역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1998년 8월 29일에 관광상업지역 내의 전 상점을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졌으며,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상업지역에는 10년 이상 된 업체가 절반 이상(52.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상점의 경영 동기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좋을 것 같아서 개업한 경우가 많았고(57.9%), 경영주의 전직은 상업(31.6%)과 농업(26.3%)이 많았으며, 상점의 규모는 10평 미만의 상점을 운영하는 상점들이 많았으며, 20평 이상의 상점을 경영하는 경우는 개업한 지 10년 이상 된 장기 경영자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둘째, 경영주의 학력을 조사한 결과 고졸 출신들이 가장 많았고(52.6%), 현재의 업종을 구분한 결과 기념품점과 식당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업종 변경을 고려하고 있는 가라는 질문에는 절반 이상(52.6%)이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변경을 고려하는 경우에도 식당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점의 소유 형태를 살펴본 결과 임대하여 운영하는 경우(63.2%)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었고, 한편 개업연도와 소유 및 임대별 상황과 직주 분리 현황을 교차 비교한 결과 상점을 소유하고 있는 경영주보다 임대하고 있는 경영주가 직주분리를 더 선호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관광객들의 관광상품에 대한 불만 정도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상점(78.9%)이 불만을 듣지 않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최근 들어 강원도의 신흥 동굴관광지 조성으로 인해 관광객들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것은 성류굴 주변의 관광상업지역에도 영향을 미쳐 관광상업지역의 발전에 저해요소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고속증식로의 개발현황

  • 안희도
    • 전기의세계
    • /
    • v.23 no.3
    • /
    • pp.8-14
    • /
    • 1974
  • 우리나라는 uranium광이 전연없어서 전적으로 외국에 의존할 수 밖에 없으므로 uranium의 이용도가 낮은 열중성자로보다는 고속로의 실용화로 그 만큼 자금면에서 이득을 얻게 될것이다. 현단계에서 고속로의 기술은 미완성이기 때문에 상업용원자로로는 열중성자로가 당분가 이용될것이지만 1970년대의 후반 또는 1980년대의 초반에 가서는 아마도 상업용고속증식로가 등장할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이하 간단하게 원자로의 기본개념을 소개하고 고속로의 기술적 문제점 및 개발현황을 살펴본다.

  • PDF

한국 우주개발의 이념

  • Kim, Jong-Beom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2
    • /
    • pp.3-9
    • /
    • 2006
  • 우주개발 이념은 크게 과학탐구주의, 상업주의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각각 다른 비중으로 우주개발 혁신체제에 영향을 미쳐왔다. 우리나라 우주개발 중장기기본계획 상에서 실용주의(상업주의)의 산업경쟁력 강화가 일관되게 강조되어지고 있다. 한국의 우주개발이 본격화된 시기인 1993년부터 2005년까지의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말씀 내용분석에 있어서, 우주개발을 통한 산업경쟁력 강화라는 실용주의(상업주의)가 일관되게 강조되어 왔다.

  • PDF

Improving the Street through the Control of Urban Signboards (도시상업간판의 관리를 통한 거리개선방안)

  • Joh, Myung-Gye
    • KIEAE Journal
    • /
    • v.5 no.4
    • /
    • pp.17-24
    • /
    • 2005
  • 상업간판은 단순한 광고목적 외에 도시의 시각이미지를 구성하는 도시환경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건축물의 주요한 구성부분이며 주민에게는 환경적 즐거움을 주어야 하는 의무가 있으며 보행자로 하여금 강제적으로 주목을 끌게 해야 하는 상업적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래의 목적과 달리 하나의 도시환경저해요소로서 문제점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시정하기 위한 주민과 자치단체의 상업간판 환경개선을 위한 시도와 이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서 환경개선을 위한 시도가 결과적으로 주민과 도시환경 모두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살펴보았다. 현재 한국의 간판게시규정은 중앙집권적 규율하의 기본규정과 비효과적인 부처간의 상이한 규정 및 하급세부규정의 미비에 기인하여 상업간판의 난립상황을 초래하였다. 아울러 살펴본 일본, 미국, 프랑스에서 적용하고 있는 기본규정도 한계가 있음을 살펴보았으며 따라서 어떠한 개선방향이 주민과 자치단체 양자에게 이익을 주고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효과적인 간판설치규정의 제정은 불가능하지만 규정은 제정하되 무엇보다 자발적인 주민들의 참여와 건축가, 사용자, 자치단체 사이의 주의로운 조화가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윈도95의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 기능 기존환경의 통합과 상업 네트워크 지원

  • Lee, Yeon-Ho
    • 정보화사회
    • /
    • s.95
    • /
    • pp.26-30
    • /
    • 1995
  • 윈도95가 32비트 어드레싱과 선점형 멀티태스킹, 대규모 시스템구성 지원 등에 의해 기업컴퓨팅의 핵심 플랫폼으로 주목되고 있다. 윈도즈95가 지원하는 네트웍킹 구동메커니즘과 이를 이용하는 기업컴퓨팅의 개요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구동플랫폼으로서의 기능을 살펴본다.

  • PDF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lgorithm for Pedestrian in Shopping Area (도심 쇼핑을 위한 보행 경로탐색알고리즘 개발)

  • Lee, Jongeon;Son, BongSoo;Kim, Hyung Ji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2D
    • /
    • pp.147-154
    • /
    • 2008
  • A variety of activity happens around the sidewalk in the city. Particularly, a large variety of activity happens in shopping area, but it causes an obstruction of economical revitalization since the pedestrians require time and cost to find what they want. So, this study will develop the path searching method to minimize the economical loss of shoppers by providing the significant path and supporting the walking movement. Firstly, consider existing network expression techniques and approach three points which are physical and environmental factor, the recognition of the pedestrians' space when changing the direction, and the recognition of restriction of vision and accessibility. Try to design the network DB and simulate the algorithm. As a result, it is now possible to do the path searching that considers variety of recognition factors and show the method how to make the path-searching algorithm for pedestrian.

Analysis on Luminous Environment and Subjective Image of Two Different Commercial Streets at Night - Focused on View Point of Pedestrian - (야간상업가로의 조명물리량 및 이미지 분석 - 보행자 시점을 기준으로 -)

  • Shin, Ju Young;Kim, Jeong Tai
    • KIEAE Journal
    • /
    • v.7 no.4
    • /
    • pp.31-38
    • /
    • 2007
  • Streetscape plays on important role in urban cities. Characteristics of streets is basically defined by the building facade, signs, plants and paving during the daytime. However at night, street receives a new appearance due to the shop light from the buildings, exterior lightings, signboards and street light, and it creates most of the image of the street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uminous environment and its subjective image of two different pedestrian's commercial streets. Insa-dong street and Myungdong street were chosen for the study. Horizontal illuminance and luminance on building surface, advertisement billboards and pedestrian road were measured. Thirty students were asked to rate the five scaled questionnaire on their subjective images of the streets. Statistical analysis including profile, correlation and T-test are conducted and some finding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