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생정책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104초

POLICY & ISSUES 환경칼럼 - 환경산업 1,000조원 시대, 녹생강국으로 도약하자

  • 송재용
    • 환경정보
    • /
    • 통권398호
    • /
    • pp.2-4
    • /
    • 2012
  • 최근 가장 유망한 산업 분야를 꼽으라면 단연 환경산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과거의 경우, 환경산업은 환경오염 유발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사후처리산업'으로 인식되었고, 환경정책은 기업 활동을 규제하는 정책으로 '경제성장과 상충되는 개념'으로 인식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기후 변화 대응 및 수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환경산업은 친환경 제품생산, 신 재생에너지 개발, IT/BT 등 첨단기술과의 융합사업 등 그 분야를 점차 확대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환경부도 환경산업을 정책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환경과 경제의 상생을 목표로 하여, 유망 환경기술에 대한 R&D 투자 확대, 환경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운영, 환경산업 비즈니스 상담회 개최, 수출지원 상담센터 운영 등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 PDF

초점 - 원자력산업살리기협의회 회원기업 대표 성명서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원자력산업
    • /
    • 제37권7호
    • /
    • pp.13-14
    • /
    • 2017
  • 원자력산업살리기협의회 회원기업 대표들은 7월 20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탈원전 정책과 원자력 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줄 것"을 호소했다. 협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원자력산업은 기술집약적 중소기업형 산업으로 기자재분야는 소재와 부품공급사의 90%가 중소기업"이라며 "신규 원전 건설 계획 백지화와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 방침으로 약 700여개 원자력 공급업체와 95개의 원도급사 그리고 512개 하도급사와 협력사 등이 불안과 일자리 박탈 우려로 밤잠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읍소했다. 원자력산업살리기협의회는 무진기연 등 원자력 관련 중소기업 200여개사가 회원으로 가입돼 있다.

  • PDF

표지인물과의 대화 - 송재용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

  •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 환경기술인
    • /
    • 통권328호
    • /
    • pp.2-8
    • /
    • 2013
  • "드림파크CC는 국내 최초로 조달청 발주를 통해 골프장 운영관련 업체를 선정한 바 있으며, 운영과정에서도 더욱 투명하고 공정하게 관리해 나갈 계획입니다." 지난 5월에 취임한 송재용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은 그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매립지내에 건설된 드림파크CC에 대해 향후 공정하게 운영할 것을 다짐했다. 그는 또 재임기간 동안 악취와 먼지를 저감시켜 애물단지 매립지를 보물단지로 만들어 지역주민과 상생하는 정책을 수립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송재용사장은 검정고시로 대학에 진학한 후 행정고시에 합격하는 학구파인 동시에 시인으로 문예지에 등단한 문인이기도 하다 다음은 송재용 사장과의 인터뷰 내용이다.

  • PDF

월간 설비건설에 게재된 내용으로 알아보는 2007년 트렌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12호통권209호
    • /
    • pp.78-85
    • /
    • 2007
  • 본지는 매년 12월호에 지난 1년간의 발자취를 되돌아 보는 기회를 갖기로 했다. 지난 1년간 월간 설비건설에 게재되었던 주요 내용들을 되짚어 보는 의미는 한 해 동안 설비건설업계의 관심사항과 주요흐름을 점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지난 날들을 밑거름 삼아 다가오는 새해의 발전에 기여코자 하는 진정한 송구영신의 정신을 갖기 위함이다. 2007년은 건설업의 근간을 흔드는, 일반.전문 겸업제한 폐지를 포함한 건산법이 개정되는 역사적인 획을 긋는 해였다. 이밖에 상생바람을 타고 올해는 유난히도 하도급 관련 정책들이 쏟아지는 해이기도 했다. 지난 1년간 월간 설비건설에 게재되었던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자.

  • PDF

인터뷰 - "건축의 울타리에 있는 모든 이들이 상생할 수 있도록⋯" 건축계 새로운 이정표 만드는데 최선 (Interview - "For everyone in the fence of architecture to coexist⋯" Setting a new milestone in the architectural world)

  • 육혜민
    • 건축사
    • /
    • 통권622호
    • /
    • pp.26-29
    • /
    • 2021
  • 지난 1월 15일, 석정훈 건축사(주.태건축설계 건축사사무소)가 60.0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대한건축사협회 제33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협회 직선제 도입 3회 만에 탄생한 첫 연임 회장이다. 1월 19일 석정훈 대한건축사협회장을 직접 만나 연임의 의미와 더불어 추진 정책, 협회 운영방안에 관해 물어보는 시간을 가졌다.

  • PDF

스마트워크와 IT의 일자리창출을 위한 메커니즘 방안 (Mechanism Method for Smart Work and the Creation of IT Job)

  • 김만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55-61
    • /
    • 2012
  • 최근 들어 스마트 폰 사용의 확대로 우리 생활에 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마트기기의 활용으로 나타나고 있는 스마트워크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메커니즘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발전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스마트워크에 대한 명확한 개념적 정의와 IT를 통한 정보의 융합과 산업의 정보화가 가져온 신 시장 개척, 그리고 ICT를 통한 일자리 창출의 해외사례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스마트워크 플레이스하는데 있어서 국민의 문화적인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민 관 협력을 기반한 클러스터 개발이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학계-협력업체-서비스업체 등의 상생을 통해 지역경제 발전의 주도적인 역할 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적 차원에서 스마트워크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민관이 협력할 필요가 요구된다.

모기업 주도적 협력업체 정보화 사업 성과에 관한 연구: 삼성전자 사례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Mother Company-Driven Informatization Project for its Suppliers: A Samsung Electronics Case)

  • 박광호;김상수;김호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8권3호
    • /
    • pp.225-243
    • /
    • 2006
  • 최근 대기업이 독자적으로 지원하는 모기업 주도적 협업 IT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모기업이 자체적으로 협력업체에 정보화 수준 평가를 위한 정보화 등급 체계를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최우선적으로 협력업체가 조기에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 운영을 최고 수준으로 향상시켜 상생 협력 네트워크의 경쟁력을 강화 하자는 목표로 협업 IT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삼성전자가 독자적으로 추진해온 협업 IT화 사업이 초기 1년을 경과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업 성과에 영향을 주는 주요 성공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장기적인 정책 수립과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상생경영 기반 구축을 위한 정책 수립과 지속가능한 성과 유지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삼성전자 사례를 통해 국내 대기업이 추진하고 있는 협업 IT화 사업의 성공적 수행에도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농업 동향분석 (Survey of ICT-Agriculture Convergence)

  • 구한승;민재홍;박주영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0권2호
    • /
    • pp.49-58
    • /
    • 2015
  • 최근 농업분야에 있어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기술을 접목하여 농/축산물 및 식품의 생산, 유통, 판매, 소비 전주기 프로세스에 대한 생산성, 안전성, 경제성 및 품질 향상과 각 단계의 활동 주체(생산, 유통, 소비)들 간에 상생의 생태계 구축을 위한 스마트농업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이 스마트농업 기술은 농업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IT(Information Technology)와의 접목을 통해 1차 산업인 농업을 6차 산업으로 발전시킴으로써, 고기능, 고효율화는 물론, 부가가치 제고, 생산비 절감, 환경오염 최소화, 농촌생활의 편리성 증대로 지속 가능한 농업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본고에서는 스마트농업 기술에 관한 배경, 정책 및 시장동향, 기술 및 표준화동향을 제시하고 향후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스마트농업에 관한 표준화 정책을 제언한다.

  • PDF

대형유통점과 중소유통점 간의 상생협력 -갈등이슈와 규제방안의 검토를 중심으로

  • 임영균;이정희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6년도 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69-90
    • /
    • 2006
  • 1997년 시장개방 이후 할인점을 중심으로 한 대형유통점은 급성장한 반면, 중소유통점은 계속 쇠퇴하고 있다. 대형유통점이 대도시에 이어 지방중소도시로 확대되면서 중소유통점은 대형유통점이 자신의 생존을 가장 크게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유통점과 대형유통점간의 갈등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갈등이 확산되면서 일부 지자체의 경우 이미 조례로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였으며, 일부 의원들에 의해 대형 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주 내용으로 하는 입법발의가 되고 있다. 중소유통점이 정부와 지자체에 요구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중소유통업을 살리기 위해 중소유통점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달라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달라는 것이다. 반면, 대형유통점은 유통산업 전체의 건전한 발전과 선진화, 글로벌화를 위해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오히려 완화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대형유통점은 중소유통점의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에는 반대하고 있지 않다. 정부와 지자체가 고려할 수 있는 정책대안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 번째 방안은 자유경쟁의 원리에 의해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지 않는 것이다. 이 경우, 경쟁력이 약한 중소유통점은 계속 쇠퇴할 것이며 갈등이 심화되고 정부와 지자체에 대한 사회정치적 비난이 커질 우려가 있다. 두 번째 방안은 중소유통점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가 이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다. 개별 중소유통점의 경영혁신 노력과 중소유통점간의 연대노력을 행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중소유통사업자의 경영능력 배양을 목적으로 한 교육지원, 마케팅능력 제고, 협업화, 조직화, 정보화의 촉진, 공동사업에 대한 지원이 이에 해당될 것이다. 현재 정부와 다수의 지자체가 취하고 있는 방안이며 네 가지 대안 중 가장 합리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세 번째 방안은 대형유통점과 중소유통점간의 상생협력을 정부와 지자체가 유도하는 것이다. 경쟁관계에 있는 두 당사자 간의 상생협력을 모색하는 것은 모양새는 아름답지만 실효성이 낮은 것이 문제이다. 전시성, 일회성 사업으로 끝나지 않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네 번째 방안은, 정부와 지자체가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것이다. 먼저, 대형유통점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감독과 처벌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지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책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PDF

군 복지시설의 민간활용 연구 (The Utilization of Military Welfare Facilities by Private Sectors)

  • 이승욱;고진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2호
    • /
    • pp.83-95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내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와의 상생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군 복지시설 민간 활용의 개념은 민간이 군 복지시설을 활용해 추가적인 효용이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의미하며, 민간이 해당 시설을 이용하는 것과 민간의 개발행위로 시설의 고도화나 유휴부지의 개발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군 복지시설은 군 장병들과 가족들의 복지 증진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지만, 대부분의 서설이 노후화되어 건물의 리모델링을 통한 시설의 현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도시 측면에서 군 복지시설은 주민 친화적인 시설로 인식되어 있어 지역사회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좋은 도시 자원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주민 설문조사 결과 군 복지시설은 주민들에게 더 이상 기피 시설이 아니며, 민간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군 복지시설의 민간 활용은 활용은 군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에 필요한 시설을 제공할 수 있는 기최의 공간으로 그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 복지시설 중 민간 활용이 가능한 시설을 도출하기 위해 전국 108개 복지시설 중 영외에 있는 시설 80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 내 9개 시설에 대해 민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민간 활용방식의 유형으로 3가지를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책제언으로는 군 복지 확대를 위한 민간 참여 활성화와 군과 지역이 상생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군 복지시설의 효율적인 개발방식과 다양한 주체 간의 거버넌스 구축방안 등 군의 복지 증진과 도시의 환경을 동시에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