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상적 공간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Black in Along with the Gods (<신과 함께>의 검정, (비)물질과 지각의 상호작용)

  • Kim, jong-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9-120
    • /
    • 2019
  • 이 글은 물질의 본질로 규정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색채론과 디지털이미지의 비물질적 특성으로서의 검정을 전제로, <신과 함께>의 서사를 주도하는 인물과 이미지를 구성하는 공간에 채워진 검정의 의미를 분석한다. 할리우드영화에서 검정은 악의 근원이며 공포이다. 검정에 관한 예외적이고 특별한 특성을 성찰하는 철학, 회화, 문학에서의 비유와 달리, 대중영화에서 검정은 가장 보편적인 의미를 표현한다. 삶과 죽음의 경계를 오가는 <신과 함께>에서 검정은 저승의 공간과 차사라는 인물을 구성한다. 한국영화에서 검정은 상상의 공간을 상징화하는 유용한 색이다. 이 글은 한국영화 <신과 함께>에 사용된 검정을 통해 동서양 색채문화의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의미를 분석한다.

  • PDF

악의캐릭터 연구 -The Villain

  • Han, Hye-Won
    • Digital Contents
    • /
    • no.6 s.145
    • /
    • pp.70-77
    • /
    • 2005
  • 사이버 공간은 현실을 충실히 반영하지 않으며, 현실과 완전히 분리돼 있지도 않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 공간에서 자신의 행동과 생각이 증폭되고 확장되는 경험을 한다. 이뿐 아니라 상상만 했던 행동이 실제로 일어나기도 한다. 사이버 공간이 컴퓨터로 연결된 기계의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이는 사이버 공간에 있는 캐릭터가 인간의 심리를 대변, 인간에게 사이버의 매력에 빠지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지는 연재를 통해 <디지털콘텐츠 매력, 캐릭터의 원형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어떻게 매력적인 캐릭터가 탄생하고 변천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번호에는 캐릭터 연구 중 '악'을 대변하는 캐릭터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아바타형 캐릭터와 인물의 운명

  • Lee, Jeong-Yeop
    • Digital Contents
    • /
    • no.5 s.144
    • /
    • pp.70-73
    • /
    • 2005
  • 사이버 공간은 현실을 충실히 반영하지 않으며, 현실과 완전히 분리돼 있지도 않다. 하지만 사람들은 이 공간에서 자신의 행동과 생각이 증폭되고 확장되는 경험을 한다. 이뿐 아니라 상상만 했던 행동이 실제로 일어나기도 한다. 사이버 공간이 컴퓨터로 연결된기계의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심리적 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이는 사이버 공간에 있는 캐릭터가 인간의 심리를 대변, 인간에게 사이버의 매력에 빠지도록 유도하기 때문이다. 이에 연재를 통해‘디지털콘텐츠 매력, 캐릭터의 원형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어떻게 매력적인 캐릭터가 탄생하고 변천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전력기술.정보 - 미래의 녹색 생활공간, 제로 에너지 빌딩

  • Do, Eun-Jin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326
    • /
    • pp.18-23
    • /
    • 2009
  • 제로 에너지 빌딩. 고효율 빌딩 설계와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통해 외보로부터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 없이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상상 속의 건물이 현실화되고 있다. 과연 제로 에너지 빌딩이란 무엇이며, 주요 선진국과 기업들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살펴보자.

  • PDF

Gangnam -ization and Korean Urban Ideology ('강남 만들기', '강남 따라하기'와 한국의 도시 이데올로기)

  • Park, Bae-Gyoon;Jang, Jin-bu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2
    • /
    • pp.287-306
    • /
    • 2016
  •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Korean urbanization,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apartment complexes and new towns, in relation to urban ideology in Korea.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impacts of the ideological processes of Gangnam-ization on the ways in which 'the urban' has been represented, imagined, aspired, and consumed by the Korean urban middle class in particular ways. For this research, we interviewed 22 urban middle class people living in three important urban centers (Gangnam, Bundang, and Haeundae).

  • PDF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과 대안적 도시운동의 부상

  • Lee, Gi-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Issues
    • /
    • v.18 no.1
    • /
    • pp.127-156
    • /
    • 2017
  • 최근 몇 년 동안 서울에서는 도시공간에 관한 권리를 둘러싼 격렬한 투쟁이 이어져왔다. 급작스러운 임대료 상승과 그에 뒤따르는 폭력적 전치는 이제 도시생활의 일상적 의례의 하나로 자리잡은 듯하다. 흔히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명명되는 도시공간의 자본화는 한편으로 도시 내 계급지배가 관철되는 대표적 양상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도시운동이 발생하는 조건과 배경으로도 작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서울의 도시공간에서 발견되는 도시운동의 새로운 형태들을 2010년 이후 등장한 세 개의 도시 운동 집단, '맘편히장사하고픈상인모임(맘상모),' 리슨투더시티, 비빌기지에 초점을 맞춰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도시공간에 대한 이들의 대안적 상상과 실천의 형성 과정을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맥락에서 살펴보고, 이들이 제시하는 도시운동의 '새로움'을 과거의 도시운동과 비교 분석하며, 도시운동으로서 이들의 실천이 지닌 함의를 도시권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내용과 형식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이들 집단의 행동은 몇몇 핵심적 특성을 공유한다. 첫째, 이들은 공동재(commons)로서의 도시공간을 추구한다. 둘째, 이들은 느슨하고 유연하며 소규모의 조직을 지향한다. 셋째, 이들은 예술과 문화를 주체형성에 적극적으로 동원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철거민운동으로 대표되는 전통적 계급 기반 도시운동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며, 계급 이후(post-class) 도시권의 전망을 선취한다.

A Research on the Creative Behavior of Children's Plays in Sangsang Children's Park, Seoul City (서울시 상상어린이공원의 창의 놀이 행태 분석 연구)

  • Kang, Young-Jai;Kim, Yo-Seob;Cho, Se-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5
    • /
    • pp.109-118
    • /
    • 2012
  • The study is aimed to suggest a preliminary data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recreational facility to enhance children's creativity at Sangsang Children Park Project(SCPP) in Seoul Metropolitan City being the case study. The book review, especially the field observation was implemented by the video recording methods for analyzing the children's play behavior with regard to the six sites of the SCPP that was constructed in March 2008 until May 2010. Because of the research, the first 21 patterns of the creative activities were shown. Second, the prime using rates of facilities were the combination of play facilities among other play facilities like swings, slides, trembling horse etc. However, more children's creative behaviors occurred on independent play facilities like swing, trembling horse, etc. than at combination play facilities. Third, children's creative behaviors diversely occurred at a moving or fluid facility like a swing, trembling horse and a spatial facility like sand field more than a fixed facility like combination play facility. Fourth,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ould be divided and evaluated by five categories and elements of fluency: the flexibility, the creativity, the elaborateness, and the imagination. Nevertheless, it was assumed that the creative elements of the five categories were mixed together with each other instead of showing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Fifth,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earch reached out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mbination play facility of imaginary children's park would be designed together with more fluid and spatial facilities to improve the children's creativity. Finally, It was proposed that the play facilities of imaginary children's park like drawing wall or board, spatial play facilities and handicraft facilities etc. w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sorts of creativeness on elaborateness and imagination shown less than th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입체화를 통한 공간개념의 연구

  • 성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97-502
    • /
    • 2003
  • 자연에 대한 동경은 미와 삶과 근본에 대한 동경이 되어왔다. 자연을 배제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산이란 동양인들의 깊은 내면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심오한 곳으로 여겨져 왔으며, 일찍이 산에 대한 표현과 상상은 동양인들의 지성과 과학을 넘어서서 존재해 왔다. 본 작품에서는 산수를 가장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부감을 시점으로 택하고, 그 과정에서 생략된 공간감을 3차원의 공간은 해체와 종합이라는 작업을 통해 다시 한 번 새로운 공간으로 탄생하게 된다. 구조적인 특성과 함께 불규칙적인 움직임들을 다시 규칙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 착시와 표현에 의한 것이 아니고, 오히려 인간 내부에 있는 동경이 공간과 시간의 만남을 통해서 능동적으로 보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을 통해서 공간이 한 차원이나, 고정된 틀 안에 묶여지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공간의 창출을 구성해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작업의 토대라 하겠다.

  • PDF

Imagining through webtoon: Webtoon-focused convergence education project in middle school (웹툰으로 상상하기: 중학교 웹툰 중심의 융합교육 프로젝트)

  • Park, Yoo-shin;Yim, Se-hee;Jeong, Hyeon-Se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5
    • /
    • pp.451-477
    • /
    • 2016
  • The changes in media environments have impacted on the ways in which knowledges are formed and transmitted and therefore the relevance of the traditional school subjects have been increasingly questioned. In this context, the discourses of the reformation of the 21st century schooling have focused on convergence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Therefore,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ractices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focusing on digital media content are grown voluntarily in schools.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a convergence educational project that was initiated by a middle school teacher who designed and implemented a unique program of the transdisciplinary class of Korean focusing on reading webtoons with the linked program of a 'Book Club Activity' that was a part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te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ocuments, participatory observation of a main event and the interview with the teacher,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webtoon-focused convergence education project might have achieved meaningful connections between a subject-focused learning and a creative experiences-focused learning; between in and out of school learning spaces; between the real and imaginative worlds; and between the boundaries of the popular culture and the arts. The main finding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webtoon as the subject of the study can be an effective medium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ed curriculum. Secondly, the convergence project based on webtoons can create meaningful learning spaces in and out of school environments in terms of creating more learner-participatory learning culture as well as connecting students' everyday lives, popular arts and their learning about culture. Another important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e rediscovery of the teacher's role in terms of mediating the voices of students as reader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implement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Japanese Mythic Imaginaries and the Symbolic Structure of Traditional Space Designs (일본의 신화적 상상계와 전통공간디자인의 상징적 구조)

  • Park, Kyung-Ae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4 no.3
    • /
    • pp.79-86
    • /
    • 2015
  • Myths and architectural spaces are cultural products symbolizing ideologies and objects respectively. Myth has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of a unique view of the world that reflects thoughts and representations of the nationalities. This study is about 'the spaces of the memory' adapted by the mythic tradition among many aspects of the Japanese traditio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illustrated as follows: At first, it mentions the concept of Gilbert Durand's mythic imaginaries and prototype with the method on how the myth is applied to the architectural spaces in the cultural context. Secondly, It clarifies basic meaning arrangement of the Japanese traditional spaces related to the myth. It shows sourceful 'prototipical system' that lies in the relation between thoughts and representations, regarding the shinto's spaces in terms of mythical imaginaries and Japanness. Thirdly, it ascertains mythical structure represented in the traditional space designs on terms with 'prototype' from symbolic system of the myth. It selects the cases among Japanese contemporary architects's works designed after 1960's, and analyses the meanings. In conclusion, it clarifies that this way can be a suggestion as the space design method combining the human's imaginary property with the time-stratigraphic region, and offering creative ideas for the strategy of the space design brand image that embraces a wide range of culture, ecology, and sen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