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search on the Creative Behavior of Children's Plays in Sangsang Children's Park, Seoul City

서울시 상상어린이공원의 창의 놀이 행태 분석 연구

  • Kang, Young-Jai (Dept. of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 Kim, Yo-Seob (Dept. of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 Cho, Se-Hwan (Dept. of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강영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 김요섭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Received : 2012.08.17
  • Accepted : 2012.10.19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study is aimed to suggest a preliminary data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recreational facility to enhance children's creativity at Sangsang Children Park Project(SCPP) in Seoul Metropolitan City being the case study. The book review, especially the field observation was implemented by the video recording methods for analyzing the children's play behavior with regard to the six sites of the SCPP that was constructed in March 2008 until May 2010. Because of the research, the first 21 patterns of the creative activities were shown. Second, the prime using rates of facilities were the combination of play facilities among other play facilities like swings, slides, trembling horse etc. However, more children's creative behaviors occurred on independent play facilities like swing, trembling horse, etc. than at combination play facilities. Third, children's creative behaviors diversely occurred at a moving or fluid facility like a swing, trembling horse and a spatial facility like sand field more than a fixed facility like combination play facility. Fourth, children's creative behavior could be divided and evaluated by five categories and elements of fluency: the flexibility, the creativity, the elaborateness, and the imagination. Nevertheless, it was assumed that the creative elements of the five categories were mixed together with each other instead of showing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Fifth, based on this analysis, the research reached out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mbination play facility of imaginary children's park would be designed together with more fluid and spatial facilities to improve the children's creativity. Finally, It was proposed that the play facilities of imaginary children's park like drawing wall or board, spatial play facilities and handicraft facilities etc. would be introduced to improve sorts of creativeness on elaborateness and imagination shown less than th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상상어린이공원 조성사업'으로 조성된 어린이 놀이시설물에서 나타나는 어린이들의 창의 놀이 행태 분석 및 창의 놀이 유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창의성을 함양하고 제고하기 위한 상상어린이 공원 놀이시설의 향후 개선방향에 대한 기초자료제시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에서부터 2010년까지 조성된 상상어린공원 제2차 사업지 6개소를 대상으로 놀이시설 도면 분석 및 놀이 현상에 대한 현장 비디오 촬영을 통한 관찰조사방법을 통해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상어린이공원의 놀이시설에는 모두 21개 유형의 창의 놀이 행태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상어린이공원의 중심시설이 조합놀이대로 디자인되어 있기 때문에, 놀이시설의 이용률은 절대적인 면에서 조합놀이대의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창의 놀이 행태는 그네, 흔들말과 같은 독립놀이시설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타나고 있었고, 셋째, 어린이들의 창의 놀의 행태는 조합놀이대와 같은 고정된 놀이시설보다는 그네, 흔들말과 같은 유동적 놀이시설과 모래사장과 같은 공간적 놀이시설에서 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넷째, 어린이들의 창의 놀이 행태는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 등 5개 창의성 요소에서 분석될 수 있었으며, 창의 놀이 행태는 5개 창의성 요소에서 중복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이상의 결과에서 어린이들의 창의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상상어린이공원의 조합놀이대 시설은 유동적 및 공간적 놀이시설과 복합화 하여 디자인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보다는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나고 있는 정교성 및 상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공간적 놀이시설이나 공작형 놀이시설,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화벽시설 등과 같은 놀이시설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소영(2003)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이정(1996)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 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혜숙(1998) 다원적 접근에 기초한 창의성 진단 측정 도구의 제작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박세란(2001) 다중지능 영역에 따른 예술통합교육과정에서의 창의성 평가.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임선하(1993) 창의성에의 초대. 서울: 교보문고.
  6. 전경원(1995)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 한국유아교육원.
  7. 전경원(2010) 창의력 측정: 행복한 '생존'을 위한 창의력. 창지사.
  8. 조세환(2010)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8(2): 109-118.
  9. 조창완(1998) Time-Lapse 촬영기법을 이용한 도심광장의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청량리 역광장을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Guilford, J. P.(1967)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Mcgraw-Hill.
  11. Lieberman, H. N.(1965)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An inve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07(2): 219-231. https://doi.org/10.1080/00221325.1965.10533661
  12. Parten, M.(1931) Social participation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25(3): 249-269.
  13. Piaget, J.(1962)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New York: Norton.
  14. Rogers, C. R.(1961)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of Psycho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15. Rubin, K. H.(1980) Fantasy play: It's role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and social cognition. New Direction in Child Development.
  16. Smolucha, F.(1989) The relevance of Vygotsky's theory of creative imagination for contemporary research on play. Unpublished PhD. thesis. The University of Chicago. Kansas City.
  17. Taylor, C. W.(1988) Various approaches to and definitions of creativity. In R. J. Strenberg.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18. Tegano, D. W., J. K. Sawyers and J. D. Moran(1990) Problem-finding and solving in play: The teacher's rol. Childhood Education 66(2).
  19. Torrance, E. P.(1966)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Norms- Technical Manual Research Edition-Verbal Tests. From A and BFigural Tests, Forms A and B. Princeton. NJ: Personnel Press.
  20. Zeisel, John(1980) Inquiry by Design: Tools for Environment Behavior Research. Cambridge.
  21. http://parks.seou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