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상연습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기능적 활동의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al Practice for Performing of Functional Activities to Unilateral Neglect and ADL in Person With Stroke)

  • 최유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79-3887
    • /
    • 2009
  • 본 연구는 손상된 사지의 기능적 활동 수행에 대한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와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는 개별실험연구방법(single-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18회로 구성하였으며, 기초선 과정이 5회, 상상연습을 시행한 중재 과정이 10회, 기초선 회귀 과정은 중재 과정을 마친 2주 뒤에 3회를 측정하였다. 상상연습은 3개의 기능적인 활동(옷 입기, 화장품을 사용하여 화장한 뒤 정리하기, 옷을 개기)을 수행하는 것으로, 각 활동에 대해서 5분씩, 1일 총 15분을 상상하도록 하였다. 편측무시는 읽기 검사, 쓰기 검사, Baking Tray Tas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일상생활활동은 COPM(Canada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상상연습 후 편측무시 검사의 점수가 모두 감소되었고,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검사 점수도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를 감소시키고,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연습이 노인의 균형 능력과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단일대상연구 (Effects of Mental Practice on Balance Ability and Fall Efficacy in Dwelling Elderly Population: Single Subject Design)

  • 정준철;정해윤;이창대;유은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1-42
    • /
    • 2015
  • 목적 : 상상연습(mental practice)이 노인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노인 낙상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써 적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7월부터 10월 까지 인지에 문제가 없고 낙상에 경험이 있지만 보조 도구 없이 자립보행이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 3명에게 상상연습을 제공하였다. 개별 사례 실험 연구 중 ABA'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과정 4회기, 중재 과정 5회기, 재 기초선 과정 4회, 총 13회기로 진행되었다. 독립변수는 노인의 균형 능력 및 낙상 효능감 증진을 위해 상상연습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로는 전반적 균형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버그 균형 척도(Berg Blance Scale; BBS), 낙상효능감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낙상효능감척도(Fall Efficacy Scale: FES), 정적, 동적 균형에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외다리기립검사(One-Leg Standing test; OLS),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 Go test : TUG)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평균값과 시각적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상상연습 기법 적용 후 모든 대상자의 낙상효능감이 기초선 과정에서 측정된 수치 보다 증가된 결과를 보였으며 또한 전반적 균형 능력과 정적 동적 균형 능력 또한 증진 또는 유지 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상상연습이 노인의 낙상효능감과 균형능력의 향상과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으로 노인의 낙상 예방 활동으로 상상연습의 적용을 추천한다.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Gait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김진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271-277
    • /
    • 2012
  • 본 연구는 상상연습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 추첨으로 배정되었다. 두 그룹 모두 중추신경계 발달치료를 1회당 1시간씩 주당 6회, 6주간 훈련을 받았다. 실험군은 상상연습 훈련을 6주 동안 1회당 10분씩 주당 3회를 추가하여 훈련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인 보행지수, 10m 보행 검사,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상상연습 훈련 후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을 평가한 결과 보행속도, 활보장, 두발지지기, 한발지지기, 10m 보행 검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뇌졸중 영향 척도를 통하여 삶의 질을 평가한 결과 근력, 사회참여, 뇌졸중회복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상연습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상연습훈련을 이용한 보행훈련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에게 유용한 훈련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낙상 위험도 및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Increasing Balance and Fall Index & Fall Efficacy Scale of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 이재홍;김수경;최성열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37-49
    • /
    • 201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과 낙상 위험도 및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별대상자 실험연구 방법 중 대상자간 다중기초선(multiple baseline across individuals)으로 설계되었다. 기초선 과정과 중재 과정을 포함해 총 20회를 4주 동안 진행하며, 기능적 손 뻗기 검사를 이용해 균형능력의 변화를 측정했다. 그리고 낙상 위험도(Tetrax) 프로그램과 낙상 효능감으로 중재 전 후를 비교했다. 시각적 분석과 2 표준편차 밴드 분석방법을 통해 나타냈다. 결과 : 상상연습 중재기간 동안, 기능적 손 뻗기 검사를 사용한 결과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의 향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로 낙상 위험도가 감소하였고, 낙상 효능감이 증가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상상연습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더 많은 연구 대상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균형능력을 측정하여 확인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 PDF

상상연습과 과제활동 병행 치료가 관념운동 실행증 환자의 상지 움직임 속도와 정확성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 실험연구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with Task Activities on Upper Limbs Movement Speed and Accuracy of Ideomotor Apraxia Patients : Single Subject Experimental Research)

  • 이재홍;장종식;이재신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22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상상연습과 과제활동을 병행한 중재방법을 통하여 관념운동 실행증 환자의 상지 움직임 속도와 정확성에 어떠한 효과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대전 소재한 재활전문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 2명을 대상으로 상상연습과 과제활동을 1주일에 5회기씩 총 20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 실행증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Ideomotor apraxia test를 시행하였고,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MFT를 사용하였다. 상지 움직임 속도와 정확성은 시각적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 모두 실행증 증상의 감소를 보였으나, 상지기능에는 눈에 띄는 변화는 없었다. 과제수행 총 수행시간은 376.67초에서 355.24초, 434.60초에서 391.33초로 감소했다. 과제수행 마지막 컵을 내려놓는 시간은 15.67초에서 13.30초, 20.80초에서 10.73초로 감소하였다. 옮긴 물의 양은 52.38ml에서 49.70ml, 50.89ml에서 50.09ml로 모두 50ml에 가까워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 상상연습과 과제활동을 병행한 중재방법은 실행증 증상을 감소시켰으며, 상지 움직임의 속도와 정확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관념운동 실행증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중재방법으로 여겨진다.

  • PDF

시각적인 상상연습 훈련과 운동 감각적인 상상연습 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tor Imagery Training with Visual and Kinesthetic Imagery Training on Balance Ability in Post Stroke Hemiparesis)

  • 김진섭;김경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17-525
    • /
    • 2010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 of two conditions (visual and kinesthetic) of motor imagery training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Methods : Fiftee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wo motor imagery training conditions, for 10minute trials, employed with audiotape instruction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t pretest, posttest and 1-hour follow up in both static and dynamic balance. Results : Measur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oth static and dynamic balance tests between treatment conditions (kinesthetic imagery more than visual imagery) at the pretest, post test, and 1-hour follow-up (p<.05). Measures of both static and dynamic balance tests, for both condition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pretest to posttest (p<.05), and was maintained at 1-hour follow up.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both imagery training applications were effective treatment strategies for both static and dynamic balance. When comparing the two treatment conditions, kinesthetic motor imagery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visual motor imagery training in static and dynamic balance.

상상연습이 편마비 환자의 근력증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ntal Practice on the Muscle Strengthening of the Hemiplegic Patients)

  • 박은영;정보인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9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biceps brachii muscle strengthening in 3 poststroke hemiplegia patients along with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mental practice adopted for this experiment involved imagery training to practice elbow flexion, which last 12 to 16 sessions with 30 minutes each session. Maximal muscle activities was measured pre- and post-mental practice to evaluate the strength of biceps brachii. The strength of biceps brachii was measured by surface-EMG. The results were: In the subject 1, 73.92 mV (pre-) and 127.56 mV (post-); in the subject 2, 147.60 mV (pre-) and 202.85 mV (post-); and in the subject 3, 20.75 mV (pre-) and 27.92 mV (post-). The results indicate that a simple mental practice is a useful method to strengthen biceps brachii muscle in hemiplegic patients.

  • PDF

상상연습을 병행한 발목 운동이 자세정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kle Exercise combined with Mental Practice on Postural Alignment)

  • 양회송;강효정;허재원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9-106
    • /
    • 2018
  • Purpose : Various studies effects of mental practice.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practice on postural alignment. Therefore this study to the effect of ankle exercise combined with mental practice on postural alignment of legs. Method :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mental practice group (experimental group n=15) and general exercise group (control group n=15). Postural alignment was the hip, knee, and ankle joints. When viewed from the side, an arbitrary point in front of the malleolus makes a straight line with the plumb line. Exercise was performed a week for weeks. Exercise programs included muscle strengthening, relaxation, and proprioception exercise. The experimental group mental practice. Result :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tural alignment ankle joint, knee joint, and hip joint. In particula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larger change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ural alignment change only the knee joint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p joint (experimental group=$0.77{\pm}0.81$, control group=$0.87{\pm}1.13$) and ankle joint (experimental group=$0.52{\pm}0.63$, control group=$0.48{\pm}0.41$).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mental practice is effective as an exercise method postural alignment. Mental practice also expected to be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refore,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the alignment of various parts.

상상연습이 일어서기와 앉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편마비 환자의 대퇴사두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Mental Practice on EMG Activity of the Quadriceps during Sit-to-Stand and Stand-to-Sit Tasks in a Hemiplegic Patient)

  • 김진섭;김선엽;오덕원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3-54
    • /
    • 2008
  • Background : We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mental practice on the electromyography (EMG) activity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 of the affected side in a hemiplegic patient during sit-to-stand and stand-to-sit tasks. Methods : We recruited a male patient who had suffered from right hemiplegia.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A-B-A design was used. The reliability of visual analysis, which was primarily employed in this study design, was supported by using the "2- standard-deviation band" method. The target motions consisted of two activities: sit-to-stand and stand-to-sit. The EMG measurements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s of the affected and unaffected sides were made in 8 sessions in the baseline (A), mental-practice (B), and follow-up (A) phases. During the mental practice phase, the 10-min mental practice was performed, and the mental practice was withdrawn in the follow-up phase in order to identify the carry-over effects of the treatment. Data was calculated as the percentage of the ratio of the quadriceps EMG activity values of the affected side on unaffected side. Result : The percentage EMG-activity ratio showed a greater increase in the mental-practice phase than in the baseline, and it was maintained during the follow-up phase. Most of the data points in the mental-practice and follow-up phases were positioned above the "2-standard-deviation band."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ntal practice can be used to improve the physical function of hemiplegic patients.

  • PDF

상상연습과 동작관찰 동안 전방머리자세의 대뇌겉질 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Electroencephalographic Changes during Mental Practice and Action Observation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 양회송;강효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71-180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motor cortical excitability during mental practice and action observation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wo groups, a forward head posture group (n=17) and a normal posture group (n=17). Electroencephalography (EEG)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erebral cortex activity, and six electrodes were attached to Fp1, Fp2, C1, C2, C3, and C4 to measure the relative alpha power, relative beta power, relative gamma power, and mu rhythms. The subjects were requested to perform the four different conditions, which were eye opening, eye closing, mental practice, and action observation for 300 seconds. Result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ve alpha wav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and forward head posture groups in the C1, C2, C3, and C4 regions with the eyes open (p<.05). The relative beta wave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p1 and Fp2 regions during action observation (p<.05). The relative gamma wav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normal and forward head posture groups in the Fp1 and Fp2 regions during action observation (p<.05) in C1, C2, and C3 with eyes closed (p<.05) and in C1, C2, C3, and C4 with eyes open (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EG change in the forward head posture group was different from that in the normal control group in action observation rather than in mental practice. Therefore, we are expected to provide a neurophysiological basis for applying action observation to motor skill learning during exercise for correcting forward head pos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