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사조건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quivalent mechanical model of smart actuators and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지능형 공진작동기의 기계적상사와 최적작동조건)

  • Kim, Jun-Si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285-28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작동기의 효율적 설계와 특성예측을 위하여 기계적 상사 모델을 개발하고, 작동기의 최적작동 조건을 고찰한다. 먼저 지능형 작동기의 기계적 상사는 단순한 2자유도 스프링-메스-뎀퍼 시스템으로 등가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때 스프링 강성계수는 시스템의 강성 또는 전기-기계 연성계수 등으로 상사되며, 전기회로 구성품 등은 질량, 뎀퍼 등으로 상사되어진다. 단순화된 기계적 상사모델을 이용하여 작동조건에서의 전기회로 구성품의 튜닝을 최적화 할 수 있다. 특히 작동기의 공진주파수에서의 특성을 고려하여 최적조건을 도출함으로써 그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 PDF

Spray Characteristics of Coaxial Swirl Injector under Ambient High Pressure Conditions (고압환경에서 동축 와류형 분사기의 분무특성)

  • Lim Byoungjik;Kim Jong-Gyu;Moon Il-Yoon;Kim Seung-Han;Han Yeoung-Min;Seol Woo-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0a
    • /
    • pp.288-291
    • /
    • 2004
  •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coaxial swirl injector under ambient high pressur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ree injectors were used to study the effect of recess length and fuel injector type(open or closed). In this research, experimental conditions(ambient gas density) were calculated by Buckingham Pi-theory and spray characteristics of the injectors were represented by mass flow rate according to the injection pressure, the spray angle, mass distribution, and mean diameter of droplet.

  • PDF

Numerical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Supersonic Impulse Turbine Design Performance Estimation Methodology (초음속 충동형 터빈의 설계성능 검증방법에 대한 해석 및 시험적 고찰)

  • Jeong, Eun-Hwan;Park, Pyun-Goo;Lee, Hang-Gi;Kim, Jin-Sun;Kim, Dae-Jin;Kim, Jin-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3 no.5
    • /
    • pp.7-14
    • /
    • 2009
  • A methodology of design performance estimation for the supersonic impulse turbine was investigated. Relations of similarity condition and test nozzle area ratio were derived. Comparison of efficiencies between the turbines with real nozzle and test nozzle are made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The CFD results and test result confirmed that the turbine with test nozzle was able to predict real turbine performance. In addition, design performance of the supersonic impulse turbine also could be estimated using real nozzle in air-medium test. In this case, design efficiency was found at the pressure-ratio and velocity-ratio of similarity condition of test nozzl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Performance for Supersonic Impulse Turbine (초음속 충동형 터빈의 성능에 대한 시험적 고찰)

  • Lee, Hang-Gi;Jeong, Eun-Hwan;Kim, Ji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561-565
    • /
    • 2009
  • The performance of supersonic impulse turbine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he compressed air instead of the high temperature burned gas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test facility and danger.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ith the compressed air, the performance in the real gas(burned gas) was predicted by the similarity method. The nozzle area of prototype turbin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real gas. So,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similarity conditions completely. Two similarity conditions were set and the design point for real gas was existed between two similarity conditions. And, the new turbine test model with calculated nozzle area based on the compressed air was tested. Therefore, similarity point of the new turbine test model was also existed between above two similarity points. It means that the design point for real gas was similar to the test point with the new turbine model.

  • PDF

The Froude Scaling Study on the Ventilation of Non-isothermal Concentrated Fume from the Semi-closed Space (반밀폐형 공간에서 비등온 고농도 연무의 배연산출량 산정을 위한 Froude 상사연구)

  • Chang, Hyuk-Sang;Choi, Byung-Il;Park, Jae-Cheul;Kim, Myung-B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27 no.8
    • /
    • pp.877-885
    • /
    • 2005
  • The Froude scaling between the prototype and the model was tried to estimate the necessary ventilation rate for non-isothermal concentrated fume from the semi-closed inner space. Based on the non-dimensional similitude equations derived from the Zukoski plume rise analysis, the scaling experiments were done to verify the relationship of the non-dimensional energy release rate and the non-dimensional mass flow rate by using two different scaled volume models, model A ($1\;m{\times}1\;m{\times}1\;m$) and model B ($0.5\;m{\times}0.5\;m{\times}0.5\;m$).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theoretical similitude between the models is acceptable for the prediction of ventilation rate of the concentrated fume. The maximum energy release rate used for the experiments was $20\;kW/m^3$. In the experimental range, the similitude between the energy release rate and the ventilation mass flow rate was well defined and the necessary ventilation rates were 20-30% higher than the stoichiometric ventilation mass flow rate. Based on results of current study, the design of the local air ventilation system can be improved by correcting the effects of buoyancy and diffusion of the non-isothermal concentrated fume.

Analysis of Hydraulic Similarity at Surcharged Square Manhole (과부하 사각형 맨홀에서의 수리학적 상사성 분석)

  • Kim, Jung-Soo;Yoon, Young-Noah;Han, Chyung-Such;Yoon, Sei-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510-514
    • /
    • 2008
  • 우수 관거 시스템에서 맨홀의 설치 시 연결관 내부와 맨홀의 내부는 여러 가지 수리학적 조건이 다르므로 수두손실의 발생이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현재 계획 또는 설계단계에서 수행되고 있는 관거 시설의 수리계산에는 연결관 내에서의 마찰손실만을 고려하여 설계를 수행하고 있으며, 맨홀에서의 수두 손실은 거의 대부분 고려되지 않고 있다. 단지 맨홀에서의 수두손실을 저감하기 위하여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05)상의 단차 및 인버트 규정만 있을 뿐, 우수 관거 설계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적절한 맨홀의 손실계수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국외에서는 축소 수리 모형을 이용한 실험과 수치해석 기법 등을 이용하여 맨홀에서의 손실계수를 산정하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맨홀의 손실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더욱이 맨홀에서의 손실계수 산정을 위한 상사성 적용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맨홀의 축척 변화에 따른 손실계수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05)의 특 1호(사각형) 맨홀을 각각 1/2과 1/5로 축소 제작하고, 수리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Froude 상사 법칙을 적용하여 1/2의 축소 모형의 실험 조건을 1/5 축소 모형의 값으로 환산하였으며, 각 축소 모형에 대한 수리 실험을 실시하였다. 과부하된 맨홀의 손실계수를 예측하는데 Froude 상사법칙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1/2 축소 모형과 1/5 축소 모형에서 산정된 손실계수 값이 0.45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우수 관거 시스템의 맨홀 설계 시, 축소 수리 모형실험에서 산정된 손실계수의 직접적인 적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Similitude of Precast Concrete Panel Structure Using one-third Scale Subassemblage Model (1/3 축적 모형실험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구조의 상사성에 관한 연구)

  • 윤재진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4 no.3
    • /
    • pp.123-134
    • /
    • 1992
  • 본연구는 실물크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구조물의 부분구조체를 모형화하여 실험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구조물의 역학적 특성과 파괴성상을 파악하기 위한 구조실험은 실물크기의 구조물과 부재로써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이것은 치수가 크므로 공간적으로 제한을 받고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형실험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모형실험을 최소한의 오차범위내에서 원형실험과 같은 재현하고 예측하도록 실험을 준비하는 데에는 상사법칙이 필요하게 된다. 모형은 무엇보다도 원형과의 응력-변형도 관계 등 구성재료에 대한 상사요구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중요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은 1/3축척으로써 기하학적인 요소와 사용재료에 대한 강도의 상사성만을 고려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형구조물의 거동을 원형실험결과와 비교하여 상사성 확보의 문제와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A Study on Similitude Law for Evaluation of Seismic Performance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상사법칙에 관한 연구)

  • Kim, Nam-Sik;Kwak, Young-Hak;Chang, Sung-Pil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08-215
    • /
    • 2003
  •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동적 거동과 성능을 예측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적 방법들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실험장비의 제약과 구조물의 규모 등으로 대부분 축소모형실험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사법칙(similitude law)은 탄성범위에서 유도된 것으로 지진거동과 같은 비탄성 거동을 예측하는 경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탄성범위 내에서도 크기효과(size offset)가 발생하므로 축소모형의 실험결과를 원형 구조물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많은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 구조물(prototype)과 축소모형(scaled model)을 모두 실험 대상으로 하여 실제 축소모형만을 실험하여 원형 구조물의 거동을 예측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 해결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실제로 축소모형실험에서는 원형 구조물의 경계조건을 정확히 재현하기 어려우며, 실험모형의 제작과정과 실험과정에서의 모든오차가강성의 변화로 반영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상사율과 변화된 강성비(stiffness ratio)를 함께 고려하여 고유진동수의 오차를 보정하고 비탄성 거동중에도 직접적인 실험결과의 비교가 가능한 상사법칙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제안된 상사법칙을 적용한 유사동적실험 (pseudodynamic test)을 수행하여 실험오차보정(experimental error compensation)효과를 검증하였다.

  • PDF

Runoff simulation from paddy field using three-dimensional CFD and law of similarity (3차원 CFD와 상사법칙을 이용한 논에서의 유출 모의)

  • Shin, Sat-Byeol;Jun, Sang Min;Choi, Wo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92-292
    • /
    • 2016
  • 논의 배수특성 분석은 물꼬 크기 및 개소수, 배수로 구성, 규모, 경사, 재질 등과 같은 물리적 특성 인자들의 영향으로 인해 일반적인 유역의 홍수량 산정을 위해 사용되는 수문학적 홍수추적 방법의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논에서의 유출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수리학적 홍수추적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며,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1차원과 2차원의 수치 해석 기법으로 논의 유출 특성을 분석해왔다. 3차원 수치 해석 기법을 적용할 경우 1차원과 2차원에서 볼 수 없는 유동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유출 모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3차원 해석은 비교적 구조가 단순한 논에 적용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사법칙은 주로 실험의 스케일을 줄이기 위해 적용되어 왔다. 정확성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시간이 오래 걸리는 3차원 모델링에 상사법칙을 적용할 경우, 모의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수치 해석 모형인 FLOW-3D를 이용하여 논에서의 유출을 모의하고,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상사법칙을 이용하여 모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의 대상으로 40m x 100m의 논 포장을 구성하였으며, 강우 및 관개에 따른 유출을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는 실측치 및 기존 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수리학적 상사법칙을 적용하여 조건을 변화시켜가며 유출을 모의하였고, 모의 조건 및 모의 시간 변화에 따른 정확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논에서의 유출 모의의 정확성을 향상 시켜, 홍수 발생 시 농경지의 침수 대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imilarity rule for tunneling model tests (터널 모형실험에 대한 상사성 이론 정립에 관한 연구)

  • Park, Si-Hyun;Lee, Seok-W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6 no.2
    • /
    • pp.161-169
    • /
    • 2004
  • In this study, a similarity rule is thoroughly discussed for tunnelling model tests which can simulate actual ground conditions. Based on this prior consideration, theoretical works are performed to simulate a real ground condition into a gravitational field with a similarity. A process is arranged to determine a lining condition in laboratory tests for a sandy ground tunn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