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부 구조

Search Result 1,721,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Nonlinear Analysis of Superstructures on Floating Structures (플로팅 구조물의 상부구조에 대한 비선형해석)

  • Song, Hwa-Cheol;Park, Soo-Yong;Jung, Keun-Hoo;Kim, Se-Cheol;Lee, Eun-Su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18-121
    • /
    • 2010
  • 초대형 플로팅 구조물의 상부구조는 육상 구조물과는 달리 파랑하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하부부체의 변형에 의해서 상부구조물에는 부가 모멘트가 크게 발생한다. 이와 같은 부가모멘트의 저감을 위하여 보-기둥 접합부에 반강접의 도입에 관한 연구와 반강접의 비선형 거동을 고려한 상부구조물의 연구는 초기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대형 플로팅 구조물의 상부구조물에 정적하중과 진폭의 크기가 다른 파랑하중이 동시에 작용할 경우 강접 골조와 부분적으로 반강접 접합부가 사용된 상부구조체에 대한 1, 2차 소성해석을 수행하였다. 접합부는 웨브에 더블 앵글을 가진 상하 앵글(TSD)접합을 적용하였으며 상부 구조물에 파랑하중이 작용할 경우 소성거동에 따른 응답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Feasibility of Full-text Search Using Super-structure of Text (텍스트의 상부구조를 이용한 전문탐색 기법의 타당성 고찰)

  • 이병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6.08a
    • /
    • pp.19-22
    • /
    • 1996
  • 본 연구는 전문 D/B의 본문 필드를 텍스트 언어학적 상부구조로 분할하고 태그를 부여함으로써 이용자의 목적이나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부분만을 검색할 수 있는 전문탐색기법의 타당성을 고찰하였다. 한 문헌은 다수의 텍스트 단위로 구성되며, 이 텍스트는 의사소통이나 인지과정의 기본 단위로써 문헌 전체를 통괄하는 상부구조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구조는 텍스트의 생성과 이해에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며, 정보요구의 상황이나 목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고 정보검색시스템의 주요 대상인 학술문헌의 상부구조를 고찰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 supporting structure on the Seismic Response of a Roof Structure (하부구조가 지붕구조의 지진응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ung, Chan-Woo;Kang, Joo-Won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7 no.2 s.24
    • /
    • pp.63-74
    • /
    • 2007
  • Large spatial structures consist of roof structure and its supporting structure. Authors simply call the supporting structure "lower parts" and roof structure "upper parts". To study the influence of an lower part on the seismic response of the upper part of a structure as a first step, authors substitute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structure to a single degree of freedom system individually, and set up a new 2 DOF structural model connected by them. It is clarified that the mass ratio and the period ratio of an upper part to a lower part are important parameters to find the amplification or reduction of the seismic response of an upper part.

  • PDF

저층형 플로팅구조물의 실험적응답

  • Lee, Yeong-Uk;Chae, Ji-Yong;Park, T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222-224
    • /
    • 2015
  • 수조실험을 통하여 계류된 플로팅 구조물의 거동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플로팅 폰툰에 상부골조의 고유주기를 변화시키면서 상부구조물과 함체의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입사 파랑의 주기에 대하여 플로팅 폰툰의 피치가속도와 상부구조물의 수평가속도를 구하였으며, 동-수역학 해석을 통하여 실험가속도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입사 파랑의 주기가 커질수록 피치 및 상부구조물의 가속도 응답이 작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Natural Frequency Change of Pier According to Bridge Superstructure Modeling Methods (교량 상부구조물의 모델링 방법에 따른 교각 고유진동수 변화분석)

  • Park, Byung-Cheol;Chang, Sung-Hee;Kim,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187-190
    • /
    • 2010
  • 기초세굴에 따른 교각에서의 1차 모드 고유진동수 변화를 이용하여 교량 세굴 건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공용중인 광탄1교의 T형 교각 1기에 대하여 충격진동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교축직각방향의 1차 모드 고유진동수를 수치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교량 상부구조물의 모델링 방법에 따라 상부구조물을 전체 모델링한 방법과 교각만을 모델링하고 상부구조물의 영향범위를 가정하여 교량받침 위치에 질점질량으로 변환하여 적용한 방법으로 구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상부구조물을 전체 모델링한 경우와 집중하중 형태로 상부구조물을 모델링한 경우 모두 고유진동수는 충격진동실험결과와 큰 차이를 보였다. 충격진동실험을 통해 얻은 고유진동수는 교각의 국부적인 진동수로 사료되는 반면, 수치해석을 통해 구한 결과는 교량 상부와 하부의 Coupling 효과가 반영된 시스템 전체의 고유진동수이기 때문에 결과의 큰 편차가 생기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충격진동실험에서 구한 고유치 양상을 올바로 구현하기 위한 모델링을 찾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 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xcavation Design and Vibration Analysis for the Crossing Under a Railway Station (정거장 구조물 횡단 굴착 설계 및 진동 해석)

  • ;;Reijo Riekkola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1998.10a
    • /
    • pp.505-512
    • /
    • 1998
  • 지하철과 같은 지하구조물 설계시 기존 구조물 지하를 관통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은 기존 역사의 바닥슬래브 밑에 새로운 지하철용 박스 구조물 상부 슬래브가 위치하게 되는 특별한 경우의 굴착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굴착방법이 상부 구조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FLAC을 이용하여 검토해 본 것이다. 기존 구조물이 위치하고 있는 지반이 경암인 경우 발파가 주의 깊게 설계되고 시행된다면 발파로 인한 상부 구조의 진동 영향은 충분히 제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예상되었다.

  • PDF

Generation of Information Model for Modular Steel Bridge Superstructure Considering Module Assembly Condition (모듈 조합조건을 고려한 모듈러 강교량 상부구조의 정보모델 생성)

  • Seo, Kyung-Wan;Park, Junwon;Kwon, Tae Ho;Lee, Sang-Ho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8 no.4
    • /
    • pp.393-400
    • /
    • 2015
  •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create and combine a superstructure module by parametric modeling,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information model for modular steel bridge super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 Compound classification was performed in order to derive elements to apply the parametric modeling, and according to assembly condition, the classified elements were grouped into 13 types. In addition, three assembly conditions were derived for production of stable superstructure through combination of superstructure module, which is a production unit for modular steel bridge factory. Parameter that reflects assembly condition in compound shape when producing superstructure module through parametric modeling was deducted. Superstructure module compounds were produced according to type and parameter using interface generation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BIM) software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uperstructure module produced reflects information to combine into a superstructure. To verify this, information model based on Industry Foundation Classes(IFC) was built and confirmed the application in production of superstructure by identifying the reflected property information.

칼리머 노내 상부구조물 하단부의 열 스트라이핑 분석

  • Kim, Jong-Beom;Lee, Hyeong-Yeon;Yoo, 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b
    • /
    • pp.690-69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칼리머 액체금속로의 노내 상부구조 하단부에 발생하는 열 스트라이핑을 해석할 수 있는 단순방법을 제안하였고 또한 인코넬 718 강으로 만든 라이너를 적용하여 노내 상부구조하부에 발생하는 열 스트라이핑 문제를 해소하거나 줄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해석의 결과 현재 예비설계된 칼리머 노내 상부구조 하단부는 스트라이핑 하중으로부터 건전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ftware Supporting the Superstructural Design of Offshore Plant (해양플랜트 상부구조설계 지원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연구)

  • Kim, Hyun-Cheol;Kook, Sung-Ke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19-27
    • /
    • 2020
  • On an offshore plant topside, various types of offshore facilities for processing energy resources, such as oil and gas, and equipment and outfitting for connecting these facilities are installed in a limited space. An offshore plant superstructure is composed of numerous supporting rack structures and reinforcements for securing and supporting offshore installations and the related equipment.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design support software to support this superstructure design efficiently. The developed design support software, which was based on AVEVA Marine's PML(Programmable Macro Language), supports the parametric method for superstructure design. A method of batch 3D modeling from 2D drawings for supporting rack structure produced in the basic and detailed design was also developed using AutoLisp. In addition, through the application example of superstructure module design, the design support software introduced in this paper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design time by more than 90% compared to the use of only basic functions of AVEVA PDMS.

Effect of electrode structure on electrical properties of thin film diode (박막 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전극 구조의 영향)

  • Hong, Sung-Jei;Lee, Chan-Jae;Kim, Won-Keun;Han, Je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4b
    • /
    • pp.73-76
    • /
    • 2002
  • 박막 다이오드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전극 구조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박막 다이오드는 하부전극-절연층($Ta_{2}O_{5}$)-상부전극의 3층 구조로 설계 및 제작하였고, 하부 전극으로 Ta, 상부 전극으로 Cr 및 Ti를 각각 사용하였다. Cr을 상부 전극으로 사용한 결과 비대칭비가 1.8인 높은 비대칭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i 상부 전극의 경우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들을 각각 $150^{\circ}C$에서 열처리한 결과 Cr 상부 전극 다이오드는 비대칭비가 1.4로 여전히 비대칭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Ti 상부 전극의 박막 다이오드는 비대칭비가 1.1로 대칭에 가까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