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반신 체표길이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의복설계를 위한 상반신체표면특성 연구 -60세 이상 노년여성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pper-Body Surface for Clothing Construction: Focus on Women Aged 60 or Older)

  • Haekyung Shin;Lee, Youn-Soon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10호
    • /
    • pp.1801-1808
    • /
    • 2001
  • 본 연구는 노년여성을 위한 의복 원형을 설계하기 위하여 60∼80세 의 노년여성을 대상으로 직접 계측을 실시하여 체형을 유형화하고 동작에 따른 체표면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반신 비만요인, 높이요인, 상반신 앞면길이, 어깨 형태, 상반신 뒷면 길이, 어깨 경사도, 목형태, 진동깊이의 8개 인자가 추출되었다. 군집분석에 의한 체형분류 결과, 유형 1은 상반신의 골격이 가장 작고 왜소하며 가슴의 하수가 작은편의 앞으로 굴신된 체형이며, 유형 2는 키가 작고 보통인 체형으로 상반신의 앞뒤면 길이가 짧으며 가슴의 하수가 크고 어깨가 넓고 약간 앞으로 숙여진 체형이다. 유형 3은 키가 가장 크고 등과 어깨가 두꺼운 골격이 큰 체형이다. 유형 4는 키가 약간 크고 마른 체형에 상반신 앞면길이 인자가 큰 유형으로 약간 뒤로 젖혀진 체형이라 할 수 있다. 동작에 따른 체표면의 변화를 델마토그래프법 (Dermatograph method)에 의해 측정 한 결과, 가로 방향에서 동작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기준선은 뒤목점-어깨끝점길이, 어깨 길이 및 앞가슴둘레선, 후액와선이며, 세로 방향에서는 어깨끝점-BP-허리중심점, 어깨중심에서 앞허리선까지의 앞길이 및 옆선길이로 나타났다.

  • PDF

학령전기 여아의 상지동작에 따른 상반신 체표길이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Length Variation of the Upper Body Surface according to Arm-movements for Early Elementary Schoolgirls)

  • 배은아;장정아;권영숙
    • 복식
    • /
    • 제55권5호
    • /
    • pp.87-100
    • /
    • 2005
  •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a scientific and rational clothing construction by investigating the length variation of the upper body surface, using the method of surgical tape. The subjects were 15 early elementary schoolgirls in Busan area classified by three somatotypes, Arm-movements were consisted of 6 types. The statistical analyses used in this study wer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 ANOVA and LSD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ength of the upper body surface are as follows: By arm-movements, in the items of horizontal, front neck base girth, back upper bust girth, back bust girth and back under bust girth were increased and the other standard lines were apt to be decreased. In the items of vertical, all standard lines of front side and side seam length showed increased, the lines of bark side were apt to be decreased. The shoulder length represented the maximum rate of decrease($-36.59\%{\~}-48.98\%$) in M6($180^{\circ}$) and the side seam showed the maximum rate of increase($49.74\%{\~}59.22\%$) in the same movement.

여유량이 포함된 제도식 검증에 관한 연구-길원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Examining the Calculation Including the Ease Amount for Bodice Pattern)

  • 구미지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05-112
    • /
    • 1997
  • 본 연구는 5개의 팔동작시 상반신의 체표계측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근거로 여유량이 포함된 제도식을 산출하고 이 산출식을 착의평가를 통해 검증함으로서 인체에 적합한 원형제작에 요구되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도식 산출을 위하여 각 세로 및 가로기준선의 구간길이 및 4항목의 계측이 행해졌다.자료분석결과를 요약하여 내려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착의평가결과 길원형에서 팔동작시 여유량이 요구되는 부위는 가로기준선, 진동깊이, 뒤품, 앞품이었다. 체표계측치로부터 구한 제도식은 가로기준선의 경우 B/2+4.1 cm, 진동깊이 B/6+6.8 cm, 뒤품/2은 B/6+3.9 cm, 앞품/2은 B/6+2.0 cm로 보정되었으며, 유두길이는 보정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B/4+4.3 cm이다. 이 제도식은 의복제작에 필요한 최소여유량을 포함하며 인체에 밀착된 의복제작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3차원 인체 측정기를 이용한 체표변화 분석 (Upper Body Surface Change Analysis using 3-D Body Scanner)

  • 이정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595-1607
    • /
    • 2005
  • 3차원 스캐너를 통한 인체 측정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3차원 측정치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TECMATH사의 VITUS 전신 스캐너로 인체를 측정, ScanWorX Body Measur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항목을 측정 한 값과 직접 인체측정 에 의해 얻어진 값을 비교하였다. 피험자는 평균 체형의 미국 여대생 25명이며 기준 자세와 일상생활에 많이 쓰이는 $135^{\circ}$ 양팔들기, 어깨 구부리기, 어깨 들어올리기의 3가지 동적 자세를 실험 동작으로 하여 체표의 길이 및 둘레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기준 자세와 135"양팔 들기에 대한 측정치 비교에서 두 가지 측정법에 의한 항목들의 차이는 $-2\~20mm$였으나 두 동작 모두에서 목둘레만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길이항목보다 둘레항목에서 좀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실험 동작에 의해 상반신 18개의 측정항목들은 유의한 체표변화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어깨길이, 겨드랑앞벽사이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 그리고 견봉사이길이에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두 측정 법에 따른 체표변화 차이는 없었다. 어깨 구부리기와 어깨 들어올리기 동작시에는 스캔 측정을 3회 반복함으로써 3차원 측정치의 신뢰도를 조사하였는데 모든 항목에서 3회 반복된 측정치가 통계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canWorX소프트웨어의 가상적 도구인 Body Measure와 자동 프로그램인 ScanWorX Tailor의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자동 측정치가 더 큰 값을 보였고 사용한 프로그램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들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3차원 인체 측정기를 사용함으로써 짧은 시간에 동작을 촬영하고 이에 대한 측정치를 얻을 수 있어 편리함과 신뢰도에 있어서 장점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좀 더 다양한 분석과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복 분야에 유용한 자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3차원 인체 측정기간의 호환성의 문제들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Grid method에 의한 성인 여성 3차원 형상의 상반신 앞판에 대한 평면전개 기준 연구 (Surface Flattening criterion of Female's Upper Front Shell Using Grid Method)

  • 최영림;남윤자;최경미;최명해;한설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1825-1836
    • /
    • 2008
  • 3차원 인체 형상에 적합한 의복 패턴을 제작하기 위하여 인체 형상을 평면전개하여 체표패턴을 얻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Grid method를 이용한 여성 상반신 앞면의 평면전개를 위하여 최적 그리드 기준을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Grid method는 인체 형상의 표면에 커브를 생성하고 각 커브의 길이를 플로팅하는 원리에 의하여 3차원 형상을 평면전개 방법이다. 첫째, Young 모델과 Adult 모델에 해당하는 두 개의 3차원 바디들을 사이즈코리아데이타에 기초하여 모델링하였다. 둘째, 각각의 모델을 3차원 특징점에 의하여 shell과 block으로 세분화하였다. 셋째, 각각의 block은 다양한 그리드수의 조합에 의하여 평면전개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효율적인 조합을 선정하여 평면전개의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학령기(만 7세-만 12세) 남아의 체형특성II-학령기별 상.하반식 체형구성인자특성을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Somatotype for Boys of Elementary School Age II -Characteristics of factor for upper and lower half in Each Period of School Ages-)

  • 권영숙
    • 복식
    • /
    • 제49권
    • /
    • pp.25-48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fundamental data for classification of somatotype for boys of elementary school age. The subject were 458 elementary school boys aged from 7 to 12 living in Pusan, Data were collected by 57 anthropometric and 11 photographic measurements and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ccording to SAS package 1. Through the factor analysis by each period of school ages 6-7 factor were obtained in upper half and they are as followings: 1) Factor 1 is horizontal size of upper half in every period 2) Factor 2 is vertical size of upper half in every period 3) Factor 3 is shoulder shape in the first period and length of upper half in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4) Facto 4 sis length of upper half in the first period and shoulder shape in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5) Factor 5 is angle shape of the breast and back in the first period angle shape of the lower breast and back in the middle of period and angle shape of the upper breast and back in the latter of period 6) Factor 6 is angle of shoulder in the first period angle shape of the upper breast and back in the middle of period and angle shape of the lower breast and back in the latter of period 7)Factor 7 is angle of shoulder in the latter of period 2. Through the factor analysis by each period of school ages 5-6 factor were obtained in lower half and they are as followings: 1) factor 1 is horizontal size of upper half in every period 2) Factor 2 is vertical size of upper half in every period 3) Pactor 3 is angle shape of the belly and upper buttock in the first period and length of lower half in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5) Factor 5 is angle shape of the lower buttock in the first period angle shape of the upper belly and buttock in the middle of period and angle of the side posture in the latter of period 6) Factor 6 is angle shape of the lower buttock in the middle of period and angle shape of the lower belly and buttoc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