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xamining the Calculation Including the Ease Amount for Bodice Pattern

여유량이 포함된 제도식 검증에 관한 연구-길원형을 중심으로

  • Koo, Mi-ji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Paichai University)
  • Published : 1997.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alculations including the ease amount for bodice pattern.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The areas that were required the ease amount were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armhole depth, back & front width.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calculations including the ease amount were obtained as follows: B/2+4.1cm for horizontal reference line, B/6+6.8 cm for armhole depth, B/6+3.9 cm for the half of back width, B/6+2.3 cm for the half of front width, B/4+4.3 cm for bust point length.

본 연구는 5개의 팔동작시 상반신의 체표계측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근거로 여유량이 포함된 제도식을 산출하고 이 산출식을 착의평가를 통해 검증함으로서 인체에 적합한 원형제작에 요구되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도식 산출을 위하여 각 세로 및 가로기준선의 구간길이 및 4항목의 계측이 행해졌다.자료분석결과를 요약하여 내려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착의평가결과 길원형에서 팔동작시 여유량이 요구되는 부위는 가로기준선, 진동깊이, 뒤품, 앞품이었다. 체표계측치로부터 구한 제도식은 가로기준선의 경우 B/2+4.1 cm, 진동깊이 B/6+6.8 cm, 뒤품/2은 B/6+3.9 cm, 앞품/2은 B/6+2.0 cm로 보정되었으며, 유두길이는 보정없이 그대로 사용하여 B/4+4.3 cm이다. 이 제도식은 의복제작에 필요한 최소여유량을 포함하며 인체에 밀착된 의복제작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