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관모델

Search Result 2,751,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Cooperative MIMO Channel Simulation Based on the Geometrical Ring Model (기하학적 Ring 모델에 기반을 둔 협력형 MIMO 채널 시뮬레이터)

  • Yang, Mi-Sun;Kim, Dong-W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3 no.3A
    • /
    • pp.235-239
    • /
    • 2008
  • In this paper, we study a simulation model for cooperative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hannels and present a cooperative one-ring channel model which is extended from the geometrical one-ring and two-ring scattering models. Assuming that the source, the destination and the relay are surrounded by an infinite number of scatters, we derive a reference model for the cooperative one-ring channel and propose a simulation model based on the reference model provided in the paper. Then we show how modeling parameters of the simulation model are determined to match the correlation functions for the respective models. With numerical investigation, we also show that the correlation functions for the reference and the simulation are well matched.

Knowledge Distillation based-on Internal/External Correlation Learning

  • Hun-Beom Bak;Seung-Hwan Ba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4
    • /
    • pp.31-39
    • /
    • 2023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ternal/External Knowledge Distillation (IEKD), which utilizes both external correlations between feature maps of heterogeneous models and internal correlations between feature maps of the same model for transferring knowledge from a teacher model to a student model. To achieve this, we transform feature maps into a sequence format and extract new feature maps suitable for knowledge distillation by considering internal and external correlations through a transformer. We can learn both internal and external correlations by distilling the extracted feature maps and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tudent model by utilizing the extracted feature maps with feature matching.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knowledge distillation method, we achieved 76.23% Top-1 image classification accuracy on the CIFAR-100 dataset with the "ResNet-32×4/VGG-8" teacher and student combination and outperformed the state-of-the-art KD methods.

A New Deterministic Simulation Model for Two Correlated Rayleigh Fading Channels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두 개의 레일리 채널에 대한 페이딩 시뮬레이션)

  • Wui, Jung-Hwa;Park, Yong-Jin;Kim, Dong-W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4C
    • /
    • pp.321-328
    • /
    • 2010
  • A Rayleigh fading channel simulator that realizes given correlation properties between two channels such as downlink/uplink is described. We propose an improved channel simulator that provides more accurate match between reference correlation and simulated one. The proposed channel simulator is based on a sum-of-sinusoids (SOS) method that handles finite sums of weighted sinusoid functions. SOS method is widely accepted in generating fading signals and obtain the exact match with the reference model if infinite number of weighted sinusoids are used. The proposed channel simulator minimizes mean-square-error (MSE) to obtain a close matched correlation properties.

Efficient Combining Methods for a Collaborative Recommendation (협력적 추천을 위한 효율적인 통합 방법)

  • 도영아;김종수;류정우;김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130-132
    • /
    • 2001
  • 신경망을 이용한 추천 기술은 항목이나 사용자간의 가중치를 학습할 수 있고, 자료 유형에 상관없이 데이터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최근 연구를 통해서 그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간의 상관관계로 추천하는 사용자 신경망 모델과 항목간의 상관관계로 추천하는 항목 신경망 모델이 서로 다른 관점으로 다른 선호도를 제시한 경우에 선택한 모델의 선호도에 따라 시스템의 성능이 좌우된다. 그러므로 효율적이고 성능이 우수한 추천 시스템을 위해 사용자와 항목 신경망 모델의 통합 방법을 제안한다. 두 모델 사이에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통합하는 순차적 통합 방법과 두 모델을 동시에 고려하는 병렬적 통합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두 통합 방법은 선호도 예측 기준에 있어서 정적이고, 문제에 대한 적응성이 없다. 그러므로 신경망(퍼셉트론, 다층 퍼셉트론)을 이용한 통합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퍼지의 소속함수를 이용하여 퍼지 추론를 적용한 통합 방법을 제안하고, 패턴 인식 분야에서 사용하는 BKS 방법을 적응하여 두 신경망 모델을 통합하여 실험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와 항목 신경망 모델을 통합함으로써 기존의 추천 기술인 연관 규칙과 단일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추천보다 우수함을 보이고 있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is needed to predict consumption and consumption prediction model using LSTM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소비예측 시 필요 요소 도출 및 LSTM을 이용한 소비예측 모델)

  • Lee, Kihoon;Kim, Jinah;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539-541
    • /
    • 2019
  • 오프라인 소비자의 의사결정은 크게 라이프스타일, 동기, 개성, 학습 등 개인적인 영향요인과 문화, 기후, 가족 등 기타 상황적 요인을 포함하는 환경적 영향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요인들을 입력 값으로 하는 다양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소비예측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딥러닝을 이용한 예측모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요인들이 의사를 결정하는데 있어 얼마나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는 작업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다양한 상관관계 분석모델을 이용해 소비 의사결정 요소 중 기후, 문화와 같은 상황적 요인과 소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기후, 문화를 대변하는 미세먼지 데이터와, SNS 버즈량 데이터와 소비데이터를 학습하는 소비예측 LSTM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Complementary Effects on Hybrid Business Model (상보성 효과와 하이브리드 비즈니스 모델 성과의 상관관계)

  • Lee, Jeong-Su;Han, Hyu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78-8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하여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hybrid) 비즈니스 모델의 성과와 상보성 효과(complementary effect)의 상관관계를 탐색하였다. 기존 선행 연구가 상보성 효과를 인식하는 수준인 반면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비즈니스 모델 별로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차별화 된 상보성 유형들을 파악하였다. 비즈니스 모델 유형은 Mahadevan(2000)의 가치 기준 분류인 시장 형성자, 포탈, 제품/서비스 공급자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상보성 효과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비즈니스 모델 별 상보성 효과의 차별화가 있음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의 특징은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과 상보성의 특성 분석을 통하여 연구의 초점을 하이브리드 비즈니스 모델로 확대하였다는데 있으며 따라서 제시된 프레임웍은 오프라인 기업이 온라인 진출 시 효과적인 하이브리드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는데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PDF

Prediction Model of the Number of Spectators in Korean Baseball League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이용한 한국프로야구 관중 수 예측모델)

  • Seo, WonBin;Kil, Rhee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330-333
    • /
    • 2019
  • 본 연구는 기존 관중 수 예측에 주로 사용되는 ARIMA 모형과 다른 GKFN(Network with Gaussian kernel functions) 모델을 시계열 모델로 제안하고 여러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MLP(Multilayer Perceptron) 모델을 각각 따로 만들어 두 가지 RMSE값의 가중치를 결합한 새로운 모델을 최종적으로 제안한다. GKFN 모델은 phase space 분석을 위해 smoothness measure를 측정하고 커널 개수를 늘려가며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MLP 모델은 관중 수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수(날짜, 날씨 등 팀과 관련된 특징들)의 상관관계를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을 이용해 분석하고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수들을 이용해 MLP 모델을 만들어 학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프로야구팀 기아 타이거즈의 일일 단위 관중 수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관중 수 예측을 통해 구단과 관객 모두 긍정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훈련 자료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 9년 동안 기아 타이거즈의 일별 관중 수를 자료로 하였다.

  • PDF

A study of object information model of PSC box girder bridge for structural analysis (구조해석을 위한 PSC 박스의 객체 정보 모델에 관한 연구)

  • Cho, Sung-Hoon;Park, Jae-Guen;Lee, Heon-Min;Lee, Kwang-Myong;Shin, Hyun-Mock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48-35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구조해석을 위한 PSC 박스 거더교의 객체 정보 모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교량의 객체 정보 모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형상 및 치수에 관한 파라미터를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교량의 설계 목적에 맞는 파라미터를 분류하였고, 파라미터들 사이의 계층구조(Structure)와 상관관계를 정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3차원 객체 모델에서 출력된 파라미터를 변환하여 구조해석을 위한 입력값으로 변환시켜, 해석 결과값을 구조계산서에 출력시킴으로써 엔지니어가 설계 타당성과 모델변경 요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대상 모델에 대한 설계변경은 구조물의 특징에 맞는 상관파라메트릭 방법을 적용하여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건설구조물의 설계를 3D 모델로 하기위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dynamic muscle fatigue model to predict maximum endurance time during forearm isometric contraction (전완의 등척성 수축시 최대근지구력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동적근피로모델의 평가)

  • Kiyoung, Lee
    •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
    • v.15 no.6
    • /
    • pp.433-439
    • /
    • 2022
  • Muscle fatigue models to predict maximum endurance time (MET) are broadly classified as either 'empirical' or 'theoretical'. Empirical models are based on fitting experimental data and theoretical models on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of physiological process.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dynamic muscle fatigue model as theoretical model to predict maximum endurance time during forearm isometric contraction. Forty volunteers (20 females, 20 male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mpirical models (exponential model and power model) and theoretical model (dynamic muscle fatigue model) are used to compare. Mean absolute deviation (MAD), correlation coefficient (r) and intraclass correlation (ICC) are calculated between theoretical model and empirical models. MAD are below 3.5%p, r and ICC are above 0.93 and 0.87, respectively. This results demonstrate that dynamic muscle fatigue model as theoretical model is valid to predict MET.

Customer List Segmentation Using the Combined Response Modeling (결합 리스펀스 모델링을 이용한 고객리스트 세분화)

  • Eui-ho Seo;Kap-chel Noh;Eung-beom Lee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 no.2
    • /
    • pp.19-35
    • /
    • 1999
  •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집행함에 있어서 고객에게 접근하기 위한 촉진 매체로써 직접우편(Direct Mail)과 텔레 마케팅 등의 직접반응매체를 주요 수단으로 하는 경우 이를 다이렉트 마케팅이라고 한다. 다른 마케팅 전략들과 마찬가지로 다이렉트 마케팅에서도 마케팅 자원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세분화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리스펀스 모델링(Response Modeling)은 다이렉트 마케팅분야에서 고객리스트를 세분화하고 각 세그멘트별로 고객의 반응(구매행위)을 예측하는 기법을 말하며 RFM(Recency, Frequency, Monetary), 로지스틱, 신경망은 리스펀스 모델링을 위해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법이다. 과거에 이들 방법은 고객 데이터베이스 전체에 단독 모델로 적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단독 모델을 고객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하는 것이 정당화 되려면 고객들이 동일한 방식으로 반응한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객의 반응방식에는 상당한 이질성이 존재한다. 예컨대 직업, 나이, 소득, 성별 등이 같다고 해서 같은 구매패턴을 보이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즉 고객A의 구매행위는 회귀선에 의해서 잘 설명되는 반면에 고객B는 신경망이나 RFM으로 잘 설명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매행위의 이질성을 반영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두개 이상의 방법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결합 리스펀스 모델링 방법도 시도 되어 왔다. 그러나 결합 리스펀스 모델링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상관관계가 낮은 모델들을 결합함으로써 세분화의 효과를 단독 모델을 사용할 때 보다 개선할 수 있다고는 하였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모델들이 서로 낮은 상관관계를 갖는지는 보여주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RFM 방법을 모델 내에서 사용하는 변수와 이를 이용한 모델링 방법상의 차이로 인하여 다른 두 방법(로지스틱, 신경망)과 매우 낮은 상관관계를 갖는 방법으로 제시하고 RFM과 다른 두 방법간의 낮은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모델의 예측효과를 상당히 개선할 수 있음을 사례분석을 통해서 보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