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킴 기능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재활치료환자의 비위관(nasogastric tube)제거에 따른 비디오 투시연하검사(VFSS)의 중요성 평가 (The Importance of Video Fluoroscopy Swallowing Study for Nasogastric Tube Removal in Rehabilitation Patients)

  • 정묘영;최남길;한재복;송종남;김원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7
    • /
    • 2015
  • 뇌경색, 뇌 신경장애 및 뇌졸중환자 중 급성기 환자는 의식이 없어 연하기능장애로 인한 흡인성 폐렴을 유발하기 때문에 비위관(nasogastric tube)을 삽입하고 영양공급을 한다. 재활훈련 후 회복기에 침상선별검사를 시행하지만 임상적 검사를 통해서는 무증상흡인은 발견할 수 없다. 그래서 연하장애로 비위관을 삽입한 연하재활치료 중인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VFSS를 시행하여 식이재료에 따른 삼킴 정도, 자세에 따른 삼킴을 재활의학과전문의가 평가 후, 흡인이 있거나 삼킴 곤란 등이 있으면 연하재활치료를 시행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 30일~50일후에 재평가를 시행한 후 흡인이 없을 시 비위관을 제거 하였다. 이때 VFSS 영상을 기능적 연하곤란척도를 이용, 분석하여 부여된 점수를 통계 산출 하였는데 비위관 유지군은 $49.79{\pm}9.431$을 보여 흡인의 위험을 나타내며, 비위관 제거군은 $11.20{\pm}1.932$로 흡인의 위험성이 낮아 비위관 제거관련 의미 있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두 군의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해 Mann-Whitney test를 시행한 결과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VFSS는 구강, 인두, 식도의 구조적 이상과 움직임을 가장 효과적으로 평가, 기도흡인여부를 즉시 확인 및 환자에게 적합한 식이나 연하자세를 결정할 수 있어 비위관 제거를 위한 연하평가에 가장 확실한 표준검사로 제안할 수 있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짧은 목 굽힘 운동과 신경근전기자극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hort Neck Flexion Exercise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김경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1-39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hort neck flexor strengthening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n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swallowi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wallowing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 : The study involved 3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visited ${\bigcirc}{\bigcirc}$ General Hospital in Daegu Metropolitan City between March and July, 2017.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n=15) or a control group (n=15). Both groups underwent traditional swallowing rehabilitation therapy for 30 minutes five times a week over a six-week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hort neck flexor exercises, which are part of th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a six-week perio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over a six-week period. Based on its results, changes in the patients' swallowing function and degree of food intake were analyzed. Result : In terms of the ASHA NOMS scale and new VFSS scal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en sub-items and six sub-items,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e sub-item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 PNF-based short neck flexion exercise appear to be effective at improving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노인요양병원 입원환자들의 삼킴기능이 삶의 질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wallowing Function on Swallowing-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 백지영;오근배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7-177
    • /
    • 2013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swallowing function on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50 people in geriatric hospital of gwangju and jeonnam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wallowing function score of the subjects is $29.90{\pm}5.27$, SWAL-QOL score is $158.12{\pm}33.36$, ADL score is $80.40{\pm}22.91$. Second, swallowing function, SWAL-QOL details and ADL details of each oth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the items of swallowing function affecting on quality of life are 'oral cavity in residue', 'to eat solid food', and 'phlegm obstructs the throa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wallowing function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Therefore, futur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swallowing function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구강운동촉진기술: 1 부-이론적 배경과 기초 요소 (Oral-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 Part I-Theoretical Base and Basic Concept)

  • 민경철;서상민;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1호
    • /
    • pp.37-52
    • /
    • 2021
  • 서론 : 구강 운동 기능은 태아기에서 유년기 발달로 이어지는 감각 탐색, 음식 섭취, 의사소통 표현의 기초가 되는 기능이다. 구강 운동 기능에 문제가 발행하면, 구강 내 음식 처리 어려움, 삼킴 및 섭식기능 저하, 의사소통 기능 감소, 구강 위생 능력 저하 등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 치료를 위한 구강운동 치료는 구강 내 감각 정상화, 자세 조절, 구강 움직임 증진, 구강 운동 기능 향상을 목표로 제공되는 치료법이다. 본론 : 구강운동촉진기술(OMFT)은 1) 구강 및 안면 근육계의 해부생리학적 이해; 2) 감각·적응·행동·인지의 통합적 접근; 3) 도수적 접근을 통한 감각 및 운동 자극; 4) 운동 조절과 운동 학습 이론에 기초한 구강운동의 4가지 주요 특징을 바탕으로 전반적이고 통합적인 구강 기능 증진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OMFT는 근거 중심의 새로운 치료 프로토콜로써 아동 및 성인, 신경계 및 근골격계의 구강 기능에 문제를 보이는 모든 이들에게 적용이 가능한 치료 기법이다. 결론 : 본 논문은 OMFT의 개발에 따른 이론적 배경 및 OMFT의 실제적 적용에 따른 기초 요소를 소개하는 것이 목표로, 본 논문을 통해 임상 전문가들이 정확한 이론적 배경과 치료법을 바탕으로 대상자에 맞는 전문적인 치료 제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연하장애 인식과 중재 필요성 (A Survey About Awareness and Necessity of Community Based Dysphagia Therapy of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 민경철;김은희;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39-51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연하재활 인식도, 교육 및 치료 경험과 현황을 설문을 통해 확인하여 지역사회 연하재활 중재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경기도 내 일개 보건소에 내소하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게 지역사회 연하장애 인식, 교육, 치료에 관한 직접 설문을 진행한 후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9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에 대한 인식도 및 교육, 치료 경험은 높지 않았으나, 중요성 및 참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하는 교육 주제로는 구강 건강 및 관리, 씹기 및 삼킴, 구강운동법으로 다양하였으며, 추후 보건소에 연하재활 프로그램이 생기면 참여한다고 응답하였다. 연하재활 교육 및 치료 참여가 어려운 이유는 정보 및 기회 부족을 꼽았다. 대부분의 연하장애 증상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연하재활은 일생에 걸친 주요 일상 활동인 먹기 및 삼킴 기능을 유지시키고 삶의 질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재활의 주요 영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연하재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사회 노인을 포함한 지역사회 대상자들에게 연하재활에 관련된 정확한 인식 제공과 체계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 증상 조기 발견과 중재 제공을 통해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포괄적 구강안면기능척도(Comprehensive Oro-Facial Function Scale; COFFS)의 개발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Oro-Facial Function Scale)

  • 손영수;민경철;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1호
    • /
    • pp.69-85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연하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구강안면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포괄적 구강안면기능척도(Comprehensive Oro-Facial Function Scale; COFFS)를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COFFS의 문항 구성과 신뢰도를 검증하는 연구로 4개의 선행 연구를 선택 분석하여 예비문항을 수집하였고,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의 설문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 CVR)를 도출하였다. 평가 항목의 내적 타당도를 위해 Cronbach's 𝛼값을 산출하였으며, 급간 내 상관계수(Internal Classification Coefficients; ICC)를 이용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검사자간 신뢰도를 구하였다. 결과 : 전체 문항의 내용타당도는 0.67로 나타났으며, 영역별 Cronbach's 𝛼값의 경우 의사소통 영역 0.849, 구강안면 구조 및 형태 -0.224, 구강안면 움직임 수행능력 0.831, 저작 및 삼킴 기능은 0.946으로 도출되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0.974, 검사자간 신뢰도는 0.937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COFFS의 평가도구는 4개의 영역에서 34개의 문항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고, 평가항목에 따라 3~5점 척도로 개발되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구강안면기능을 측정하는 다른 평가도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타당도를 입증할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이 뇌졸중 환자의 구강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n Oral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손영수;민경철;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4호
    • /
    • pp.135-151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이 뇌졸중 환자의 구강운동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하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 72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난수표를 활용하여 36명씩 무작위로 분류하였고, 두 그룹 사전-사후 검사 설계로 진행되었다. 실험군은 OMFT 중재를, 대조군은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를 각각 30분간 1일 1회, 주 5회로 4주 동안 총 20회기 적용하였다. 구강운동기능 평가를 위해 포괄적 구강안면기능척도(Comprehensive Oro-Facial Function Scale, COFFS)를 사용하였고, 기간별 치료 효과 확인을 위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ANOVA), 두 그룹간 변화량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ce t-test)을 시행하였다. 결과 : 두 그룹 모두 COFFS의 총점이 향상되었다. 실험군은 아래턱 및 입술 움직임, 볼 부풀리기, 혀 움직임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저작 분포도, 음식물 유출, 고체형 및 액체형 음식 삼킴, 목소리 변화 항목에서 치료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아래턱 벌리고 닫기 항목에서 두 그룹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OMFT가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구강운동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임상에서 기초적인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부분 혀 절제술로 인해 연하 장애가 있는 환자에서 상악 구개 증대 총의치 제작 증례 (Case of making maxillary palatal augmentation complete denture for patient with dysphagia after partial glossectomy)

  • 김형석;박지영;임선영;허유리;손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239-245
    • /
    • 2018
  • 만약 혀 절제술로 인해 식괴의 형성 및 이동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 식괴가 기도를 막거나 기도로 흡인되는 연하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구개 증대 보철물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구강암으로 인해 부분 혀 절제술을 받은 후 음식물을 삼키기 어렵다는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게 혀의 기능 운동을 인기한 상악의 연마면 인상채득을 통해 구개 증대 보철개념을 활용한 상악 총의치를 제작하여, 구개-혀 접촉 압력을 증가시켜서 연하 및 발음에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섭식훈련이 연하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ting Training on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Caused by Stroke to Their Swallowing Functions)

  • 안태규;이동훈;김보라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1-8
    • /
    • 2013
  •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of effects Eating training on patients with swallowing disorder caused by stroke to their swallowing functions. Method : 29 subjects were selected and th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is consist of 14 patients under eating training group and Group 2 is consist of 15 patients each group has five times per week. 30 minuted per time covering 12-week period. Selected patients can swallow them selves without aspiration and basically eating trainings involve Thermal Tactile Stimulation(TTS), Shaker exercise, tongue movements, laryngeal mobilization exercise. MASA(The Mann Assessment of Swallowing Ability)and VFSS(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effects of training. And We use FDS(Functional Dysphagia Scale) for VFSS to more objective score. Result :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increase in Eating performance skill actual eating training group than the practiceless group. Therefore, the actual eating training is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and It will be useful in clinical intervention for stroke patients. Conclusion :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increase in Eating performance skill actual eating training group than the practice less group. Therefore, the actual eating training is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and It will be useful in clinical intervention for stroke patients.

경혈점에 적용한 은침전기자극이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SP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to Acupoints Impact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

  • 공광식;나수영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5-52
    • /
    • 2013
  • Purpose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 of SSP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to acupoints as conducted in oriental medicine on the swallowing function of patients with swallowing difficulties caused by stroke. Methods : Twenty-two hemiplegic stroke patients with swallowing difficulties were divided into an intervention-only group (Group I; n=11) and an intervention-SSP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Group II; n=11). Therapeutic intervention was performed on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only group and the intervention-SSP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for 20 minutes per session, thre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In this study, SSP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acupoints (Cheondol, Yomchon, Budol, Pungji, and Sanyinjian) of stroke patients with swallowing difficulties was applied,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SP electrical stimulation, Clinical dysphagia scale (CDS) and ultrasonography assessment was used to measure pre and post-intervention scores. Results : In the clinical dysphagia scale assessment, the post-intervention score for group II had significant enhancement unlike group I. In the ultrasonography assessment, the hyolaryngeal movement in group II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wallowing function unlike group I.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significant effects came from SSP electrical stimulation of 3Hz, biphasic wave, continuous current when applied to the acupoints as conducted in oriental medicine to improve the swallowing function of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