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삼출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9초

사면 내의 지하수 유동과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강수 영향의 완전 연동된 수리지질역학적 수치 해석 (A Fully Coupled Hydrogeomechanical Numerical Analysis of Rainfall Impacts on Groundwater Flow in Slopes and Slope Stability)

  • 김준모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5-16
    • /
    • 2002
  • 사면 내의 지하수 유동과 사면의 안정성에 대한 강수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리지질역학적 수치 모델이 제시되었다. 이 수치 모델은 변형성 지질매체 내에서의 포화-불포화 지하수 유동을 설명하는 완전 연동된 간극탄성론적 지배 방정식들과 Galerkin 유한요소법에 근거하여 개발되었다. 이렇게 개발된 완전 연동된 수리지질역학적 수치 모델은 다양한 강수량 조건 하에 있는 불포화 사면에 대한 일련의 수치모의실험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수치모의실험 결과들은 강수량이 증가할수록 사면의 전반적인 수리역학적 안정성이 저하되며 잠재적인 파괴가 사면 전단부에서부터 시작되어 사면 정상부 쪽으로 팽창됨을 보여주고 있다.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리지질학적으로는 압력수두와 전체 수리수두가 증가한다. 그 결과 지하수면이 상승하고 불포화대가 감소하며 삼출면이 사면 전단부로부터 사면 정상부쪽으로 팽창하고 이러한 삼출면에서의 지하수 유동 속도도 증가하게 된다. 한편 강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질역학적으로는 사면 전단부를 향해 수평 변위는 증가하지만 수직 변위는 감소하게 된다. 이는 강수량 증가에 따른 지하수면의 상승에 수반하는 부력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 결과 사면의 전반적인 변형이 사면 전단부를 향해 심화되고 전단파괴 안전율이 1 이하인 불안전한 지역이 사면 전단부에서 두꺼워지면서 사면 전단부에서부터 사면 정상부 쪽으로 팽창하게 된다. 또한 수치모의실험 결과들은 이러한 잠재적인 전단파괴면과 지표면 사이의 지반에서는 잠재적인 인장파괴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olicresulen 오용에 의한 구강 궤양의 발병 증례 및 화학화상에 대한 고찰 (Chemical burns of the oral mucosa caused by Policresulen: report of a case)

  • 정정우;변진석;정재광;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09-114
    • /
    • 2013
  • 구강점막의 화학화상은 다양한 화학제품과의 접촉에 의해 일어날 수 있으며 국소 점막염, 각화성 백색병소, 출혈, 통증성조직 표면 등과 같은 임상적 특징을 나타낸다. Policresulen(알보칠$^{(R)}$)은 산부인과, 피부과,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점막이나 피부의 소독 및 지혈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의약품이다. pH 0.6의 강산성을 띠고 있어서 강력한 부식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구강점막에 접촉될 경우 괴사나 화학화상과 같은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56세 여자 환자가 입술의 궤양과 부종 및 염증성 삼출물을 주소로 구강내과에 내원하였다. 이 환자는 약 10년 전부터 혓바늘이 가끔 발생하였으며 그런 경우에 알보칠$^{(R)}$을 종종 사용했었다고 하였다. 최근에는 혀와 입술의 통증 때문에 알보칠$^{(R)}$을 혀와 입술에 광범위하게 여러 차례 도포한 적이 있다고 하였다. 임상검사상 혀의 전방 1/2 부위에서 홍반성 미란 및 염증성 삼출물이 관찰되었고 상, 하순에 출혈성 가피 및 궤양이 형성되어 있었다. 알보칠 사용을 중단하게 한 후 구순부에 스테로이드 연고 도포 및 스테로이드 구강 가글액 사용 후 1주일 만에 병소는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2주 후 완치되었다. 본 증례를 통해서 일반의약품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Policresulen(알보칠$^{(R)}$)의 오용으로 인한 구강점막의 출혈성 궤양의 발생 양상 및 치료과정을 소개하였으며, 구강점막에서 발생하는 화학화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리기다소나무재의 수지 삼출성과 접착 특성 (Bonding Properties and Resin Exudation Characteristics of Pitch Pine)

  • 노정관;김윤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213-220
    • /
    • 2018
  • 리기다소나무를 구조용 집성재의 재료로 이용하기 위해 판면의 옹이와 대패가공 후 방치시간에 따른 수지 삼출량이 레조르시놀수지로 접착한 판재의 접착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고온($120{\sim}95^{\circ}C$) 및 저온($65{\sim}50^{\circ}C$)에서 건조한 리기다소나무의 수지 삼출량은 판목면이 정목면 보다 저온건조재가 고온건조재보다 많았다. 방치시간별로는 저온건조재는 3일째 고온건조재는 7일째에 최고함량을 보였고, 이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여 15~90일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접착성능은 수지의 삼출이 많은 2~3일까지는 낮았으나 15일 이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고온 및 저온 건조재 모두 방치시간에 관계없이 KS 기준의 접착성능을 만족하였다. 옹이부가 포함된 적층 구성에서의 접착강도는 KS의 접착강도 기준 이상이었으나 목파율은 기준인 65% 이상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적층 단면구성(정목+정목, 판목+판목, 정목+판목)에 따른 접착성능은 고온 및 저온건조재 모두 모든 적층구성에서 KS의 기준을 크게 상회하였다.

자발성 혈흉을 동반한 후종격동 신경섬유초종 (Spontaneous Hemothorax in a Patient with Posterior Mediastinal Neurilemmoma -A case report-)

  • 김혁;양주민;정기천;김영학;강정호;정원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2호
    • /
    • pp.1019-1021
    • /
    • 2004
  • 신경종은 후종격동 종양의 흔한 형태이며 주로 증상 없이 단순흉부촬영상 우연히 발견되거나 흉통이나 요통 등의 신경압박증상이나 기관지를 압박하여 나타나는 증상 등에 의해 발현되기 쉽다. 하지만 본 증례와 같이 자발성 혈흉을 일으키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환자는 45세 남자로 갑자기 생긴 흉통 및 호흡곤란을 증상으로 타 병원 응급실 내원하여 시행한 단순흉부촬영상 우측 늑막삼출이 의심되어 폐쇄성 흉관삽입술 후 혈흉으로 진단되었고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상 후종격동 종양 소견 보여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전원 후 시행한 흉추 자기공명영상촬영상 아령모양의 신경종 의심되어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고 병리조직검사상 신경섬유초종으로 판명되었다.

좌심방이-농양의 수술적 치료 -치험 1예 - (Successful Treatment of Left Atrial Auricular Abscess -A case report -)

  • 이정렬;김준성;배은정;노정일;안규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3호
    • /
    • pp.272-274
    • /
    • 2004
  • 드문 예인 좌심방이-농양을 수술, 항생제 및 종격동 세척술로 치료한 성공적인 치험 예를 보고하고자한다. 요로감염의 과거력을 가진 9세 여아가 지속적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심초음파와 자기공명 영상에서 다량의 심낭삼출과 좌상심연의 종괴가 관찰되었다. 심낭천자액 균배양에서 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환아는 체외순환하에 종괴 절제술을 받았는데 종괴는 좌심방이에 위치하였으며 내부는 섬유화농성 농양이 형성되어 있었다. 수술 후 종격동 세척술을 시행하였다. 병리검사소견은 기질화된 혈전을 동반한 섬유화성 벽심내막염이었다. 환아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술 후 21일에 퇴원하였다.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찰되는 측두하악관절의 관절강내 삼출과 동통 및 관절원판 변위와의 관계 (A Relationship between the Joint Effusion and the Presence of Pain and Disc Displacement I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 유상수;기우천;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1호
    • /
    • pp.63-71
    • /
    • 2000
  • The authors assessed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joint effusion and the presence of pain, and between joint effusion and disc displacement in 446 temporomandibular joints of 223 subjec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complaints of temporomandibular joint problem. The amount of joint effusion and the position of disc were determined from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The position of disc was classified into normal disc position, disc displacement with reduction (DDWR), and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DDWOR). The amount of joint effusion was graded according to the extent of joint area of high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MR images. These findings we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Was higher in the joints with higher amount of joint effusion (P<0.001). 2. The propor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s with higher amount of effusion increased in the joints with more advanced articular disc displacement (P<0.001).

  • PDF

장액성 삼출액의 세포블록에서 E-cadherin의 면역세포화학적 발현 (Immunocytochemical Expression of E-cadherin in Cell Blocks of Serous Effusions)

  • 김병헌;권오준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1-87
    • /
    • 2001
  • The differentiation between reactive mesothelial and carcinoma cells in serous effusion cytology can be a diagnostic challenge based on morphology alone. The expression of some cell adhesion molecules may be help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This study evaluated the usefulness of E-cadherin Immunocytochemistry for discrimination of carcinoma cells from reactive mesothelial cells. Alcohol fixed, paraffin embedded cell blocks taken from 42 reactive and 102 malignant serous effusion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diagnoses were immunostained with monoclonal antibody to E-cadherin by LSAB method. E-cadherin expression was identified in only 2 benign reactive serous effusions(5%) whereas 91 malignant serous effusions(89%) expressed E-cadherin The differences in immunostaining for E-cadherin between reactive and malignant serous effus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 < 0.001).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E-cadherin immunostaining for carcinoma cells were 89% and 95%, respectively. In conclusion, E-cadherin is a useful diagnostic adjunct for differentiation between reactive mesothelial and carcinoma cells in serous effusions.

  • PDF

전액성 삼출액내 반응성 중피세포와 암종세포간의 감별진단에서 calretinin의 유용성 (Utility of Calretinin in Distinction between Benign Reactive Mesothelial and Carcinoma Cells in Serous Effusions)

  • 김병헌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89-95
    • /
    • 2001
  • The cytological distinction of carcinoma cells from reactive mesothelial cells in serous effusions nay be difficult or imposslble based on morphology alone, especially In specimens containing reactive mesothelial cells which form glandular or ball- or papillary-shaped conglomerates or which mimic malignant nuclear features. Calretinin is a newly reported immunocytochemical marker for mesothelial cells, which can potentially be utilized for facilitating this distinc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usefulness of calretinin for the discrimination between reactive mesothelial and metastatic carcinoma cells in serous effusion. Immunocytochemical staining was undertaken on 33 benign reactive and 87 malignant serous effusion specimen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diagnoses. The specimens including smears and cell blocks were stained with polyclonal antibody to calretinin by labelled streptavidin-biotin method. The positive expression of calretinin was noted In 32(97.0%) of 33 benign reactive effusions and 9(10.3%) of 87 malignant effusion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calretinin immunostaining for reactive mesothelial cells was 97.0% and 89.7%, respectively. In conclusion, calretinin is a useful marker for distinguishing between reactive mesothelial cells and carcinoma cells in serous effusions.

  • PDF

우점종과 토양특성이 다른 한강하구 습지의 갈대군집 비교 (Compare of Phragmites communis Trin. communities in Han river estuarine wetland of dominant species and different soil characteristics)

  • 이상미;강호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132-2137
    • /
    • 2009
  •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란 염분이 있는 곳에서 자라는 염생식물로서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지난 50년 동안 우리나라의 여러 습지에 걸쳐서 갈대는 우점종으로 자라왔고, 육지와 수중서식지에서 갈대의 확산범위는 증가하고 있다. 갈대의 확산은 다른 습지 식물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갈대가 번식하면 동 식물들의 번식 자체가 어려울 뿐 아니라 갈대숲에 포식자가 늘어나 살아가기 어려운 환경으로 변하기때문에 갈대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점종이 다른 두 습지에서 갈대군집의 성장률을 관찰하고, 토양의 화학적 분석과 식물의 생리적 분석을 통해 갈대군집 성장에 미치는 영양염류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한강하구에 위치한 장항습지와 성동습지로서 동일하게 갈대가 분포하며, 장항습지에는 줄 군락이 성동습지에는 새섬매자기 군락이 우점하고 있다. 분석 항목은 이화학적 항목을 비롯하여 용존유기탄소(DOC, dissolved organic carbon), 체외미생물효소활성도(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암모니아성 질소($NH_4^+$), 질산성 질소($NO_3^-$)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두 습지 갈대의 성장은 7월부터 9월에 증가하였고 성동습지의 토양성분이 점토질로 형성되어 높은 수분함량과 유기물함량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갈대의 밀도가 높고 성장률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생물활성과 환경인자간 양의 상관관계를 보아 환경인자들이 미생물 활성을 자극하고 미생물들은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여 영향을 주며, 반면 식물 뿌리는 enzyme을 생성하는 미생물에게 C 삼출물을 공급해 enzyme 활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심낭 삼출액을 동반한 교액성 심장외막염 환자에 적용된 Waffle Procedure -1례 보고- (Waffle Procedure in Chronic Constrictive Epicarditis Patient with Pericardial Effusion . -A Case Report-)

  • 전희재;김기봉;최강주;이양행;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307-310
    • /
    • 2002
  • 교액성심낭염(constrictive pericarditis) 환자에서 심낭절제술(pericardiectomy)을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호전되지 않을 때 일반적으로 불완전 심낭절제술(Incomplete parietal pericardiectomy), 심근섬유위축(myocardial fiber atrophy), 제한성심근병증(unexpected restrictive cardiomyopathy)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리고 교액성심 장외막염(constrictive epicarditis)의 가능성도 생각해야한다. 본원에서는 심낭삼출액(pericardial effusion)을 동반한 교액성심낭염 환자에서 심낭절제술을 시행한 후 수술 후에도 인상적으로 임상적, 혈동학적으로 호전이 없는 교액성심장외막염 환자를 접하고 2차적으로 수술(Waffle procedure)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