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각망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8초

포획도구에 따른 횡성호내 어류채집 효과분석 (Sampling Effects on Fishing Gears in the Hoengseong Resevoir)

  • 장영수;이광열;최준길;서진원;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39권2호통권116호
    • /
    • pp.245-256
    • /
    • 2006
  • 삼각망(fyke net)과 삼중자망(trammel net)의 망목을 달리하여 횡성호에서 2005년 4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에 포획된 어류는 총 8과 22종 8,626개체였고, 생체량은 122.9kg이었다. 이중 삼각망에서 8과 21종 8,168개체가 출현하였고 생체량은 96.6kg이었고, 삼중자망에서 6과16종 458개체였고 생체량은 26.3kg이었다 분석결과 삼중자망이 삼각망에 비하여 출현종, 개체수, 그리고 생체량 모두 현저하게 낮았다. 한편 출현종의 수는 망목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망목이 작은 삼각망은 작은 치어부터 대형어류까지 모두 채집할 수 있어 그 지역의 세부적인 어류상을 정성적으로 분석하는데 알맞을 것으로 보이고 삼충자망은 적절한 크기의 망목을 사용할 경우 조사지역의 출현종을 파악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불규칙삼각망에 의한 지형체적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errain Volume Using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

  • 정인주;김상용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7-82
    • /
    • 2003
  • GIS는 지금까지 여러 학계를 걸쳐서 응용단계에 접어들었으며, 특히 토목분야에서도 많은 응용을 하고 있다.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에서 지형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향후 3차원적 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중요한 인자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지형을 표현하기 위해 주로 불규칙삼각망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삼각망에 의한 지형의 체적을 개발된 식에 의하여 산정을 하였다.

  • PDF

거리장을 이용한 삼각망의 옵셋팅 (Offsetting of Triangular Net using Distance Fields)

  • 유동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4권9호
    • /
    • pp.148-157
    • /
    • 2007
  • A new method which uses distance fields scheme and marching cube algorithm is proposed in order to get an accurate offset model of arbitrary shapes composed of triangular net. In the method, the space bounding the triangular net is divided into smaller cells. For the efficient calculation of distance fields, valid cells which will generate a portion of offset model are selected previously by the suggested detection algorithm. These valid cells are divided again into much smaller voxels which assure required accuracy. At each voxel distance fields are created by calculating the minimum distances between corner points of voxels and triangular net. After generating the whole distance fields, the offset surface were constructed by using the conventional marching cube algorithm together with mesh smoothing scheme.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this new offset method was demonstrated by performing numerical experiments for the various types of triangular net.

삼각망 곡면의 3축 라운드엔드밀 가공을 위한 공구경로 생성 (Toolpath Generation for Three-axis Round-end Milling of Triangular Mesh Surfaces)

  • 정연찬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3-140
    • /
    • 2009
  • Presented in this paper is a method to generate round-endmill toolpaths for sculptured surfaces represented as a triangular mesh model. The proposed method is applicable in toolpath generation for ball-endmills and flat-endmills because the round-endmill is a generalized tool in three-axis NC (numerical control) milling. The method uses a wireframe model as the offset model that represents a cutter location surface. Since wireframe models are relatively simple and fast to calculate, the proposed method can process large models and keep high precision. Intersection points with the wireframe offset model and a tool guide plane are calculated, and intersection curves are constructed by tracing the intersection points. The final step of the method is extracting regular curves from the intersection curves including degenerate and self-intersected segments. The proposed method is implemented and tested, and a practical example is presented.

삼각망의 형상 변형 (Shape Deformation of Triangular Net)

  • 유동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34-143
    • /
    • 2007
  • A new approach based on mean value coordinate combined with Laplacian coordinate is proposed for shape deformation of a large polygon model composed of triangular net. In the method, the spherical mean value coordinates for closed control meshes is introduced to describe a vertex in the triangle meshes to be deformed. Furthermore, the well known quardratic least square method for the Laplacian coordinates is employed in order to deform the control meshes. Because the mean value coordinates are continuous and smooth on the interior of control meshes, deforming operation of control meshes change the shape of polygon model while preserving the intrinsic surface detail. The effectiveness and validity of this novel approach was demonstrated by using it to deform large and complex polygon models with arbitrary topologies.

삼각망의 3 차원 형상 모핑 (Three Dimensional Shape Morphing of Triangular Net)

  • 유동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60-170
    • /
    • 2008
  • Shape morphing is the process of transforming a source shape, through intermediate shapes, into a target shape. Two main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three dimensional shape morphing are vertex correspondence and path interpolation. In this paper, an approach which uses the linear interpolation of the Laplacian coordinates of the source and target meshes is introduced for the determination of more plausible path when two topologically identical shapes are morphed. When two shapes to be morphed are different in shape and topology, a new method which combines shape deformation theory based on Laplacian coordinate and mean value coordinate with distance field theory is proposed for the efficient treatment of vertex correspondence and path interpolation problems.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uggested method was demonstrated by using it to morph large and complex polygon models including male and female whole body models.

제주지역의 국가 기준점 정확도 분석 (Analysis of National Control Points in Jeju Area)

  • 정영동;양영보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3-282
    • /
    • 2005
  • 인공위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각종 공간정보의 취득과 이를 응용하는 다양한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 기준계가 세계좌표계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현재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삼각점에 대한 성과는 신성과와 구성과로 구분하고 있고 2007년부터는 전면 세계좌표계로 전환할 예정에 있다. 현재 제주지역의 삼각점은 최초, 복구 또는 재설한 삼각점 성과 차이로 인해 측량자 들이 그 성과를 이용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현행삼각점간 부합관계를 점검하기 위해 1, 2등 삼각점을 기준으로 최초 측량 당시의 측지망을 재 구성하여 GPS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후 성과분석을 통해 삼각점간 부합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측지기준망을 구축하고 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지형 단면을 이용한 의미점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tracting Surface-Specific Point Using The Cross Section of The Terrain)

  • 류승택;윤경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41
    • /
    • 1998
  • 지형 모델링은 사각그리드에 의한 방법과 불규칙 삼각망을 이용한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불규칙 삼각망에 의한 방법은 적은 지형 데이터로써 지형의 특징을 잘 표현할 수 있고 렌더링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불규칙 삼각망을 만들기 위해서는 의미점 추출과정과 삼각형화 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처리 작업 중 의미점 추출과정의 개선에 중점을 두었다. 의미점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8방향 이웃점 검사 방법과 이를 변형한 방법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다각형 감소 기법을 응용하여 불필요한 점들을 제거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그중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8방향 이웃점 검사 방법을 이용한 의미점 추출 방법은 필요 없는 점들을 추출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형 단면을 이용한 의미점 추출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의미점 추출 시간이 빠르고 적은 지형 자료로 보다 정확한 특징점을 추출할 수 없다.

  • PDF

GPS에 의한 제주지역의 측지기준망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n Geodetic Network in Jeju area using GPS)

  • 강상구;정영동;양영보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5-74
    • /
    • 2006
  • 인공위성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각종 공간정보의 취득과 이를 응용하는 다양한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GPS를 이용한 위치결정은 국가 기준계가 세계좌표계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현재 국토지리 정보원에서 발급하는 삼각점에 대한 성과는 신성과와 구성과로 구분하고 있고 2007년 부터는 전면 세계좌표계로 전환할 예정에 있다. 현재 제주지역의 삼각점은 최초, 복구 또는 재설한 삼각점 성과 차이로 인해 측량자 들이 그 성과를 이용함에 있어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현행삼각점간 부합관계를 점검하기 위해 1, 2등 삼각점을 기준으로 최초 측량 당시의 재 구성하여 GPS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 후 성과분석을 통해 삼각점간 부합되는 안정점을 추출하고 제주지역에 적합한 측지기준망을 구축하고 그 활용 가능성를 제시하였다.

  • PDF

울릉도 해역의 정치성 구획어업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 (Pilot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tationary Fishery in Coastal Waters of Ulleungdo Island, thd East Sea of Korea)

  • 윤성진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30
    • /
    • 2018
  • 본 연구는 울릉도 수산자원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로서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을 위한 시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용 어구인 삼각망은 울릉도 해역의 환경, 운영 및 관리 비용, 소형 어선 및 인력이 운영할 수 있는 조건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삼각망을 이용하여 11회 어획 조사한 결과, 총 개체수는 2,735개체, 중량은 983.4 kg으로 계측되었으며, 우점종은 참돔, 방어, 넙치, 한치, 전갱이, 쥐치류 등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기간 중 유용 수산자원은 어류의 경우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볼락(S. inermis), 개볼락(S. pachycephalus), 쑤기미(Inimicus japonicus),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농어목 어류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참돔(Pagrus major) 그리고 말쥐치(Thamnaconus modestus)로 분류되었으며, 두족류인 한치(Uroteuthis chinensis)의 어획량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울릉도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살오징어의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경우, 삼각망과 같은 소형 정치성 구획어업의 도입은 어민 수입 창출의 대체 수단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