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살충 효과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7초

곤충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이용한 담배거세미나방의 생물적 방제. III.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 살충제 살포효과 (Microbial Control of the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 Using S. litura Nuclear Polyhedrosis Virus. III. Field Evaluation of the Viral Insecticides)

  • 임대준;진병래;최귀문;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2-256
    • /
    • 1990
  •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white carbon 제제, molasses 제제 및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등 3종의 바이러스살충제로 만들어 제제의 살포방법, 살포효과 및 잔류효과를 폿트 및 콩포장에서 살충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채 살포는 콩잎 표면 살포시 약 5일, 이변 살포시 약 12일까지 60% 이상의 살충효과가 지속되었다. 폿트식재 콩잎을 이용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molasses 제제와 with carbon 제제에서 모두 97%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으나 molasses성분을 포함한 제제는 햇빛에 의해 일부 콩잎에 약해를 보였다. 바이러스살충제 살포 1 시간 후 빗물 처리에 의한 영향은 빗물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이 9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다. 야외 콩 포장에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3종의 제제 모두 90%이상의 살충율이었 며, 유기합성농약보다 7일 늦게 효과가 나타난 반면 2주 이상 효과가 지속되었다.

  • PDF

벼멸구에 대한 식물추출물의 살충활성과 기피효과 (Insecticidal Activities and Repellent Effects of Plant Extracts against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äl))

  • 김연국;이종진;최만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5-74
    • /
    • 2008
  • 식물추출물(20과 35종)을 사용하여 미량국소처리방법과 분무방법으로 벼멸구 암컷성충에 대한 살충활성과 기피효과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살충활성과 기피효과의 결과는 식물종과 그 부위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인면과수, 구리광, 미국자리공의 줄기 추출물, 그리고 취춘과 석류나무의 잎+줄기 추출물이 벼멸구에 대하여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식물추출물들의 기피효과는 남학슬의 전부위 추출물, 캐슈나무의 열매추출물, 석류나무와 등나무의 잎+줄기 추출물이 높은 기피활성을 보였다. 이 실험에 사용한 식물추출물들에서 기피효과가 높은 식물추출물들의 살충활성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나 기피효과와 살충률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았다. 따라서 처리된 식물추출물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활성과 기피 효과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곤충기생성 진균이 생산하는 살충성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Searching for Insecticidal Metabolites Produced by Insect Pathogenic Fungi)

  • 윤영남;여운형;서미자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78-85
    • /
    • 1998
  • 전국 각지에서 채집한 사멸곤충에서 분리한 곤충 기생성 진균이 생산하는 살충성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한 결과 곰팡이 분리주 CNAB-63 균주가 목화진딧물과 점박이응애 모두에 대해 다른 분리균주들보다 비교적 높은 살충효과를 보인 바, 본 균주가 생산하는 살충성분을 각종 chromatography로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된 활성물질 CNAB는 점박이응애에서 66.59%, 목화진딧물에서 52.96%의 살충효과를 보였으며, 그 외에도 온실가루이에 살충효과를 보였으나 배추좀나방에는 미미한 살충효과를 보였다. 한편 활성물질 CNAB는 $100\;{\mu}g/disk$ 농도에서 곰팡이, 효모, 세균류에 전혀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CODEX 유기농업허용 살충비누 제조와 진딧물 방제연구

  • 이태근;윤성희;박동윤
    • 한국유기농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기농업학회 2002년도 하반기 학술발표대회
    • /
    • pp.58-73
    • /
    • 2002
  • 지방산을 이용한 살충비누의 제조와 이를 이용한 해충의 환경친화적 방제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지방산의 중화가(Acid value)를 기준으로 비누화에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투입량을 결정할 수 있었으며, 야자지방산의 경우 중화가가 266.3mg KOH/g으로 지방산 1kg당 수산화칼륨 266g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 25%의 비누 함량이 되게 제조하기 위해서 지방산별 반응식을 조사하였고, 이에 따라 물의 첨가량을 결정할 수 있었으며, 야자지방산을 이용한 25% 살충비누의 제조에는 지방산 1kg에 수산화칼륨 266g과 물 3.459 ${\ell}$ 가 소요되고 제조된 비누액은 4.644 ${\ell}$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하는 물은 연수를 이용하여야 하였다. 3. 25% 제조된 살충비누의 물성을 조사한 결과 젤리상의 올레인산 비누를 제외하고는 점도가 낮은 액상이었으며, 산도는 알카리성으로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pH 9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50% 이상 고농도의 살충비누를 제조하면 냉각 후 젤리상태가 되어 희석하여 이용하는데 불편하였다. 4. 살충비누 제조공정의 요인으로 반응온도는 중탕방식으로 90$^{\circ}C$이상, 교반속도는 60 ${\sim}$ 120 rpm. 반응시간은 30분 이상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살충비누제조 공정은 중탕, 교반 가능한 반응기를 활용하여 (1) 수산화칼륨 수용액 제조 및 가온(90$^{\circ}C$) (2) 지방산 투입 (3) 30분이상 교반 반응 (4) 냉각을 통해 제조할 수 있었다. 6. 고추진딧물의 포장 방제가 조사시험결과 모든 지방산에서 살충효과를 나타냈으며, 지방산의 탄소수가 낮을수록, 살포 농도가 높을수록, 살포회수가 증가할수록 방제가가 높은 경향이었다. 7.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배에서 5일간격 2회처리 후부터 고추에 발생하는 진딧물에 대한 방제가가 92%이상이 되었으며, 100배액에서는 5일간격 3회처리 후부터 94%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8. 양배추의 복숭아진딧물에 대한 25% 야자지방산 살충비누 50배액의 살포결과 1회 처리후 95%이상, 2회 처리후 100%에 가까운 방제가를 나타냈다. 9. 강낭콩의 점박이응애에 대한 25% 야자지방산 살충비누 50배액, 100배액 살포결과 2회처리 후부터 거의 100%에 가까운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알에 대한 부화억제효과도 인정되었다. 10. 효과증진제 첨가 실험결과 이소프로필알콜 0.1%이상 첨가 살포에서 2회처리시에 약간의 살충력 증진 효과를 보였으며, 규조토 첨가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노지재배 고추의 약해검정결과 25%카프릴산비누 50배액을 제외하고는 약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25% 카프론산 비누의 100배액은 고추 유묘기에 약해를 나타내었다. 양배추에서는 25% 카프릴산 비누 100배액에서 약해를 보였으나, 25% 야자지방산의 경우 50 ${\sim}$ 100배액 어디에서도 액해를 보이지 않았다. 별도로 적용한 시험에서, 토마토의 경우에도 25% 야자지방산 비누 50 ${\sim}$ 100배액 모두 약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오이에서는 25% 야자지방산 비누 100배액에도 약해를 나타내었다. 12. 이상의 결과, 천연지방산을 이용하여 유기농업에 허용되는 각종의 살충비누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방제가 조사결과 진딧물, 응애 등 껍질이 연약한 곤충의 방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살충비누를 활용하면 환경친화적인 해충방제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감마선과 Methyl Bromide 처리가 녹두의 살충 및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Disinfest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 노미정;권중호;권용정;허은엽;권용순;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44-449
    • /
    • 2001
  • 녹두의 가해해충 살충방법을 연구할 목적으로 현행 검역해중 살충방법인 methyl bromide(MeBr) 훈증처리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살충효과와 몇 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국내산 녹두의 가해해충은 팥바구미(Calloso-bruchus chinensis Linne)로 확인되었으며, 살충처리 후 5일째에 MeBr 처리는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다. 같은 시기에 3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는 유충에 대하여 완전한 살충효과를 보였고, 2 kGy 조사구에서도 약 9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녹두의 성충은 유충에 비해 방사선 감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 처리 후 10~15일 경에 두 충태 모두 1 kGy 조사구에서도 100%의 누적살충률을 보였다. 살충조건에서 녹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질소용해도, TBA가, 총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과 함량은 25 kGy 조사구 및 MeBr 처리구에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녹두의 기계적 색도는 MeBr 훈증처리에 의해 명도의 감소와 적색도 및 황색도의 증가로 전반적인 색차(${\Delta}E$)에서 느끼는 정도(NBS 2.61~2.94)의 색 변화를 가져왔다.

  • PDF

나방류에 대한 thiodicarb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thiodicarb on lepidopterous pests)

  • 최유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21
    • /
    • 2004
  • 본 연구는 6종 나방류(멸강나방, 배추좀나방, 목화바둑명나방, 파밤나방, 담배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대한 유충영기별 thiodicarb의 살충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살충효과 구명을 위하여 효소활성(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glutathione S-transferase)등을 검토하였다. 이 약제는 6종의 나방류 어린유충에 대해서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노숙유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상대적으로 낮았고, 발현속도는 느렸다. 담배거세미나방을 대상으로 한 효소활성저해 실험에서 acetylcholinester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을 저해하였으나, esterase 활성을 저해하지는 않았다.

다양한 과일나무에서 유래된 추출물의 농업해충 및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활성 (Toxicity of various fruit tree extracts to five agricultural and four stored-product anthropod pests)

  • 이상계;박병수;이성은;손재권;송철;이회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7-32
    • /
    • 2001
  • 17과일의 43가지 부위의 메탄을 추출물을 대상으로 5종의 주요 농업해충 및 4종의 저장물 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한 효과는 과일류의 종류 및 해충의 종류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보였다. 5,000 ppm 농도에서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10종의 시료를 2,500 ppm에서 살충효과를 검정하였다. 모과와 석류씨가 벼멸구, 포도씨가 복숭아혹진딧물, 유자, 자몽, 메론, 감, 사과, 복숭아, 포도씨가 배추좀나방, 모과씨가 담배거세미나방, 모과와 포도 추출물이 점박이응애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4종의 저장물해충에 대한 살충효과는 50 ppm의 농도로 처리할 때 모과 및 포도 추출물이 쌀바구미, 모과, 유자, 감 및 포도 추출물이 팥바구미에 대하여 80% 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화랑곡나방와 궐련벌레에 대하여는 사용된 과일류의 추출물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숭아혹진딧물, 벼멸구, 배추좀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및 점박이응애에 높은 방제효과를 보인 상기과일류 추출물들은 농업해충 방제제로서 사용 가능성이 예상되었으며, 또한 쌀바구미와 팥바구미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인 추출물은 저장물해충방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배추좀나방에 대한 Indoxacarb의 작용특성 및 기작 (Property and Mode of Action of Indoxacarb agains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 최유미;안기수;황인천;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7-322
    • /
    • 2004
  • 배추좀나방의 발육단계별 indoxacarb의 살충활성, 침투이행성 및 잔효성을 조사하였고, esterase, acetylcholinesterase, glutathione S-transferase 등의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알과 번데기에 대해서는 살충율이 $10\%$이하이었다. 엽면침투이행성과 근부침투이행성의 효과는 없었으며, 잔효성은 10일째까지 $80\%$의 살충효과를 유지하였다. Indoxacarb는 esterase와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은 저해하지 않았지만 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장미에서 채집된 점박이 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에 대한 신규 살충제의 방제 효과 (Control Effect of New Developed Insecticide on Two 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Collected from Commercial Roses)

  • Park, Hyean-Cheal;Choi, In-Soo;Kang, Jeom-S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0-153
    • /
    • 2003
  • 현재 각 종 작물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점박이 응애(Tetranychus urticne Koch)의 밀도를 줄이기 위해 새로 개발된 살충제를 각 처리농도별로 (0.5%, 1.0%, 1.5%) 응애가 접종된 콩잎 디스크에 살포하여 살충 효과를 검정하였으며, 대조구로서 증류수만을 살포한 콩잎 디스크와 비교하였다. 공시 살충제의 살충효과는 점박이 응애 성충의 암컷과 약충에는 탁월하였으나, 알에는 비교적 효과가 낮았다. 동일 처리 농도별 성충과 약충의 살충 초과를 비교하였을 때, 성충의 살충률이 약충의 살충률보다 높았다. 또한, 약제 처리구와 대조구 간의 알의 부화율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테르펜계 유기인 화합물의 살충성 (Insecticidal Activity of Some Monoterpenoids)

  • 리영규;송철;경석헌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1호
    • /
    • pp.37-41
    • /
    • 2002
  • 7종의 monoterpene을 이용하여 phosphate, thiophosphate 및 carbamate를 합성하고, 이들 중 유기인계 화합물의 우리나라 주요 해충인 벼멸구(Nilaparvata lugens),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yura) 및 점박이응애(Tetraychus urticae)에 대한 살충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500 mg/l 농도에서 carveol과 geraniol의 thiophosphate형은 벼멸구와 배추좀나방에 대하여 매우 좋은 살충효과를 보였는데 특히 carveol의 thiophosphate는 250 mg/l 농도에서도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은 100%였다. 한편 menthol, thymol 및 borneol의 경우는 phosphate형이 thiophosphate형보다 벼멸구와 점박이응애에 대해 높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