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살모넬라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9초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의 일반성분 및 유해물질 분석 (Analysis of General Composition and Harmful Material of Protaetia brevitarsis)

  • 정미연;권은영;황재삼;구태원;윤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64-66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식 약용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영양성분분석 및 유해물질 검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량 기준 조단백질 함량이 57.86%로 매우 높았으며, 조지방 16.57%, 조섬유 8.36%, 조회분 5.38%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불포화 지방산 중 혈압강하작용 및 여러 약리기전이 알려져 있는 oleic acid (omega-6)가 전체지방산 중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linoleic acid (omega-6) 5.22%, arachidonic acid (omega-6) 0.25% 함유되어 있었다. 유해물질의 분석 결과, 중금속의 일종인 수은이 0.07 mg/kg으로 존재하였으나 일반식품(어패류의 경우, 0.5 mg/kg) 허용 기준치 이하의 미량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병원성 미생물인 대장균 O157:H7과 살모넬라균은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식용으로 사용하기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은 고함량의 단백질과 필수아미노산 및 생체 내에서 합성할 수 없는 영양소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육류나 어류를 대신할 수 있는 대체식품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안전한 식품소재로의 기준 및 규격마련을 통해 식 약용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라 기대된다.

Sodium Alginate 코팅이 계란의 저장시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odium Alginate Coating on Egg Quality during Storage)

  • 홍완표;정윤화;안용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22-826
    • /
    • 2007
  • 계란의 저장성 증진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계란 표면을 sodium alginate 용액으로 코팅하여 $5^{\circ}C,\;25^{\circ}C$에서 저장하면서 저장성 실험 및 코팅 처리된 계란 표면의 미생물 억제 효과 시험을 하였다. 살모넬라균과 같이 음식물의 섭취를 통해서만 감염되는 식중독의 원인 균의 증식 억제 효과 시험에서 $5^{\circ}C$에서 저장 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0.5% sodium alginate처리군이 뛰어난 세균 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 계란의 pH는 저장 기간에 $CO_2$를 방출하거나 저장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코팅된 계란의 pH가 대조군의 pH보다 낮게 나타났다. $5^{\circ}C$의 저장 온도에서 대조군의 pH가 7.72에서 7.94의 변화를 보였으며, 0.5%의 sodium algiante 용액으로 코팅한 계란에서는 7.72에서 7.85의 pH 변화가 나타났다. $5^{\circ}C$$25^{\circ}C$에 30일간 저장하면서 난황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난황 계수와 계란의 품질을 평가하는 종합적인 수치인 Haugh unit를 측정하였다. Haugh unit은 30일간 저장하였을 경우 대조군인 경우 66.02, 0.5% sodium alginate로 코팅한 경우는 70.37로 얻어졌다. 난황 계수는 0.5% 농도의 시료로 코딩한 계란에서 대조군의 0.39보다 높은 0.42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 결과를 통해서 sodium alginate의 코팅 형성 능력이 계란의 표면에 유해 세균을 억제하고 저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도축돈에서 분리된 살모넬라의 혈청형 및 유전형 (Serotypes and genotypes of Salmonella isolates from slaughtered pigs)

  • 최원종;정지헌;원호근;강정무;한태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6
    • /
    • 2008
  • Salmonella infections cause the disease in pigs but also some zoonotic Salmonella serotypes can be transmitted to human through swine products, resulting in food poiso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cteriological prevalence and detection of invA gene using Salmonella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almonella strains cultured from pig samples in Gangwon areas using serotyp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methods. During the period of November 2001 through April 2002, 1,174 ileocecal lymph node were collected from the slaughtered pigs raised in 38 farm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The samples were submerged in boiling water and macerated in saline and lymph node homogenates were inoculated into Tetrathionate broth with iodine (TTB, Difco, 0.5% iodine was added) for enrichment growth. Then additional tests were performed using several mediums, and suspects were identified by API 20E kit (BioMerieux) and PCR. Of total 1,174 samples from 38 farms, 44 (3.7%) were isolated as Salmonella spp from 13 farms (34.2%). Of 44 isolates, 31 were in Yangyang region, followed by 9 in Goseong, 2 in both Gangneung and Sokcho.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gional isolation frequency. All isolates have a 521bp amplified product in Salmonella specific PCR with primer invA which encodes in proteins for invasion of epithelial cells. Of 44 recovered serotypes, 23 (52.3%) were S Eingedi, 10 (22.7%) S Schwarzengrund, 9 (20.5%) S Typhimurium, and 2 (4.5%) S Mbandaka. In RAPD analysis, there appeared to be unique bands distinguishing each serotype, although similarities exist between the different serotypes. Four serotypes of 44 Salmonella isolates appeared to fall into 14 different RAPD types. In PFGE analysis, 9 S Typhimurium were tested with XbaI enzyme and SpeI enzyme. The combination of results obtained with two enzymes subdivided the 9 S Typhimurium into 4 PFGE types.

살모넬라가 발현하는 stf 오페론의 조절과 병원성 인자로서의 기능 (Regulation of stf Operon Expression and Its Virulence)

  • 김삼웅;김영희;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3-560
    • /
    • 2005
  • stf 오페론은 stfA CDEFG로 구성되며, S. typhimurium과 S. choleraesuis에서는 완전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S. typhi에서는 이 오페론이 결여되어 있고 S. paratyphi A에서는 stfC의 유전자가 돌연변이 되어 있다. 이 섬모는 class 1형태의 섬모로 분류되며, StfD chaperone을 다른 섬모를 구성하는 chaperone들과 비교할 때 각 subunit들의 C-말단 잔기의 분석은 StfD chaperone이 FGS subfamily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stf 오페론이 lacZYA 유전자와 fusion된 S. typhimurium 돌연변이 균주를 사용하여 MacConkey 고체배지에서 장시간 배양한 후 $Lac^+$ 표현형을 보이는 21 isolate들을 분리하였다. $Lac^+$ 균주들은 34 세대 당 $0.28\~1.75$의 빈도로 발생하였다. 21 isolate들은 구성적으로 stf operon을 발현했지만, 범용의 조절자인 RpoS, OmpR, CpxR등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Mouse독성 실험에서 S. typhimurium $_X8661$은 야생형인 $_X3761$에 비교하여 6.7배의 약독화를 보였다.

계란가공품의 보관중 품질 변화 (Quality Changes of Egg Products during Storage)

  • 김재욱;김형찬;허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480-1483
    • /
    • 1998
  • 상업적으로 제조한 계란구이와 계란말이 제품의 적정 복관 조건을 알기 위하여 제조 직후 및 각 조건에서 보관 중 경시적인 미생물과 품질변화를 비교 조사하였다. 미개봉한 제품을 각각 5, 10, 15, $20^{\circ}C$하면서 $1{\sim}2$일 간격으로, 개봉한 제품은 각각 15, 20, 30, $37^{\circ}C$에 보관하면서 6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시험하였다. 제조직후의 제품에서 대장균군, 대장균,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초기제품의 일반세균수는 $10^2\;CFU/g$이하 수준을 나타내었다. 두 제품 모두 보관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계란말이 보다 계란구이가 균증식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개봉한 상태에서 두 제품 모두 $5^{\circ}C$에서는 14일, $10^{\circ}C$에서는 계란말이는 7일, 계란말이는 7일, 계란구이는 5일까기 초기균수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양호한 풍미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봉한 상태에서는 $15{\sim}20^{\circ}C$에서는 $18{\sim}24$시간, $30{\sim}37^{\circ}C$에서는 12시간 이후에 현저한 균증식이 나타났다. 이들 결과로부터 시험에 사용한 계란가공품은 $5^{\circ}C$ 이하에서 1주일 이상 보관이 가능하며, 개봉한 후에는 냉장보관이 필요하였다. 개봉한 난가공품의 경우, 상온에서 보관시는 6시간 이내에는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마우스에서 살모넬라 감염증 예방을 위한 신개념 Salmonella Typhimurium 불활화 사균체에 최적 adjuvant 선택을 위한 효능 비교 시험 (Comparative evaluation to select optimal adjuvant of novel type Salmonella Typhimurium inactivated bacteria for protecting Salmonella infections in a murine model)

  • 문자영;;김원경;이준우;조영규;곽길한;박병용;허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89-97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a novel inactivated Salmonella Typhimurium (S. Typhimurium) vaccine candidate for protection of mice against salmonellosis by immunization of BALB/c mice using various type adjuvant. The novel type-inactivated vaccine candidate was constructed by adding Chlorhexidine digluconate solution.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6 groups of 15 mice apiece. The mice were intramuscularly (IM) primed at 6 weeks of age and were IM boosted 8 weeks of age. Groups A and B mice were injected with sterile phosphate-buffered saline as controls; group C mice were inoculated with 5×108 cells/100 µL of formalin-inactivated S. Typhimurium cells and adjuvant ISA70; groups D~F mice were immunized with 5×108 cells/100 µL of the inactivated vaccine candidate and adjuvant ISA70, adjuvant IMS1313 and adjuvant IMS1313 containing 30 ㎍/mL of GI24, respectively. All mice (except group A mice) were orally challenged with a virulent S. Typhimurium strain at 10 weeks of age. Mice from groups C-F had significantly increased IgG levels compared to control groups (A-B) mice. The levels of splenocyte IFN-γ and IL-4 in mice of all groups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ing in increased immunity in group F mice compared to those of groups A-E mice. These data suggested that systemic an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were highly induced by IM immunization with the vaccine candidate and adjuvant IMS1313 containing GI24. Furthermore, clinical signs such as death were observed in only 20% of group F mice after virulent Salmonella strain challenge, however, groups B and C (100%), and groups D and E (60%) mice died. This data suggested that mice immunized by intramuscular prime and booster with this vaccine candidate and adjuvant IMS1313 containing GI24 effectively protected mice from salmonellosis.

제외국 식중독균 위해관리 정책 비교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Foreign Nation's Risk Management Programs for Controlling Foodborne Pathogens)

  • 이종경;신성균;곽노성;조윤희;곽효선;박일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15
    • /
    • 2014
  • 본 연구는 제외국의식중독균별저감화사례를조사, 비교하여 정보를 획득하고 식중독균 저감화 매뉴얼을 작성하며 저감화 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반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선진 외국(미국, 덴마크, 일본)의 식중독 저감화 정책의 현황 및 사례조사에는 인터넷 자료, 관련 기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미국의 신선농산물에서 미생물학적 위험요소 저감화(FDA), 미국 분쇄쇠고기에서 E. coli O157:H7의 저감화(USDA), 덴마크의 닭고기, 돼지고기, 계란에서 살모넬라 저감화, 일본의 어패류에서 장염비브리오 저감화 프로그램을 사례 연구로 제시하였으며 이들 국가의 저감 프로그램의 배경, 전략, 효과를 조사하고 장단점 분석을 실시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들 제외국 정책 사례 연구와 국제기구 CODEX의 위해관리 체계를 결합하고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식중독 저감화 관리 매뉴얼로 저감 프로그램에 관한 일반 모델을 다음 순서로 제시하였다: 1) 위해관리 초기판단, 2) 식중독 저감화 프로그램 계획, 3) 대안 확인 및 선택, 4) 대안 실행(이해당사자별 역할 설정 및 대안 방법 적용), 5) 감시 활동, 6) 중간 재검토, 7) 목적 달성 때까지 대안 실행 지속적 실시 (만일 대안이 효과가 없으면 대안을 대체하거나 수정하여 식중독 저감화 목표 달성 시까지 실시), 8) 최종 평가에 보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필요시 비용 편익 분석실시.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된 식중독 저감화 정책에 관한 시사점 및 식품안전의 이해당사자별 역할별로 도출된 식중독 저감화 정책 모델 및 매뉴얼은 미생물학적 위해관리를 수행하는데 향후 활용될 수 있다.

소규모 베이커리에서의 HACCP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Quality Evaluation for Application of the HACCP System to the Bakery Products at Small Scale Bakeries)

  • 엄애선;권성희;정덕화;오상석;이헌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4-462
    • /
    • 2003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소규모 베이커리 2곳을 대상으로 제빵류(단팥빵, 크림빵, 케익류)의 원료 및 공정별, 제빵기구$.$용기, 제빵종사자와 작업장환경에 대한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급식소에서 위해세균으로 정의되어 있는 E. coli, Salmonella, Yersinia, Staphylococcus와 같은 식중독균에 대한 미생물 검색을 실시함으로써 소규모 베이커리에서의 HACCP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채취한 시료의 일반세균수 및 대장균군수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안전성 수준을 초과하였다. 2. 대장균은 A점포의 혼합기, 수도꼭지, 쓰레기통, 작업장 바닥과 손잡이, 단팥빵 및 크림 빵 성형단계의 시료에서 균이 분리되었다. 3. 살모넬라균은 A점포의 원재료인 마가린과 단팥빵 성형단계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4. 황색포도상구균은 A점포의 계란과 빵자르는 기계 및 B점포의 크림빵 성형단계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독소형은 enterotoxin A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5. PCR분석 결과 E. coli O157은 음성인 반면, Salmonella균은 양성임이 판명되었다. 이상의 결과가 소규모 베이커리에서의 HACCP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의 전반적인 면을 대표할 수 없는 연구의 제한성을 가지고는 있으나 이연구를 기초로 더욱더 체계적인 연구들이 실시되리라 기대한다.

득량만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 Water in Deukryang Bay, Korea)

  • 장동석;정은탁;유홍식;이은우;임성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7-81
    • /
    • 1998
  • 득량만 해수에 대한 세균학적 수질을 평가하여 수출용 패류생산지정 해역수질에 합당한가를 파악함과 동시에 지표세균의 조성, 병원성 세균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득량만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은 만 안쪽의 연동지선의 일부해역 (area IV)을 제외하고는 수출용패류의 생산해역의 수질기준에 합당하였다. 2. 대장균군의 최확수는 해수 100ml당 <\;3.0\~4600$의 범위였으며 230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7.4\%$였고, 분변계대장균의 최확수는 $<\;30\~1,100$의 범위였으며 43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8.5\%$로 한계치 $10\%$에 미달하였다. 3. 강우시에는 비강우시에 비하여 세균 오염도가 높았으며 특히 93mm의 강우가 있은 48시간 이후에도 비강우시의 $6\~7$배나 높은 세균오염도를 나타내었다. 4. 대장균군의 분류결과 Escherichia coli가 약 $54\%$나 되어 오염원의 주류가 분변오염임을 알 수 있었다 5. 살모넬라, 시겔라, 콜레라균 등 수인성 병원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6.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여름철인 $6\~8$월 사이에는 시료의 $15\~20\%$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 PDF

개불 라이소자임 유래 항균성 모델 펩타이드(Uu-ilys-CF)의 재조합 단백질 생산 및 항균 활성 (Recombinant Produc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 Antimicrobial Model Peptide (Uu-ilys-CF) Derived from Spoon Worm Lysozyme, Uu-ilys)

  • 오혜영;고혜진;박남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3-89
    • /
    • 2021
  • 개불 라이소자임(Uu-ilys)은 개불(Urechis unicinctus)로부터 정제된 무척추형 라이소자임으로 병원균에 대한 방어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선천성 면역 물질이며, 비효소적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항균 활성을 지닌 유도체의 개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개불 라이소자임에서 유래된 항균 활성을 가지는 유도체의 디자인과 생산을 기술하고 있다. 여러 항균성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AMP)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항균성 펩타이드 예측 도구를 사용하여 개불 라이소자임에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부위를 예측하였다. 개불 라이소자임 C-말단의 절편이 항균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 펩타이드는 C-말단 절편, Uu-ilys-CF라 명명하였다. Uu-ilys-CF은 이형 발현 시스템인 TrxA-Uu-ilys-CF 퓨전 단백질을 사용하여 생산하였다. 만들어진 퓨전 단백질은 브롬화시안을 사용하여 메티오닌 잔기를 절단하였으며, 절단된 Uu-ilys-CF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역상 컬럼인 CapCell-Pak C18을 사용하여 분리되었다. Uu-ilys-CF의 항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여러 균주(그람양성균 4개, 그람음성균7개, 진균 1개)를 사용하였다. Uu-ilys-CF의 항균 활성은 살모넬라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비록 Uu-ilys-CF는 진균에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사용한 균주들에서 넓은 범위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