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화적 변형

Search Result 127,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Effects of Fermented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on Oxidative Modification of Antioxidnat Enzymes (항산화 효소의 산화적 변형에 뽕잎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

  • Kang, Ju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3
    • /
    • pp.985-994
    • /
    • 2019
  • Muberry (Morus alba L.) leaves fermented with Hericium erinaceum mycelium (MA-HE) were assessed for the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modification of antioxidant enzymes, Cu,Zn-superoxide dismutase(SOD) and ceruloplasmin(CP). MA-HE were shown to significantly inhibited oxidative modifications and inactivations of Cu,Zn-SOD and CP induced by peroxyl radical. Antioxidant activity of MA-HE evaluated using peroxyl radical scavenging assays. MA-HE showed 44.03% of pe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t $100{\mu}g/mL$. Thus, MA-HE protect the antioxidant enzymes from oxidative damage by the scavenging peroxyl radicals. The results suggested that MA-HE was effectively removed reactive oxygen species in cells, thereby protecting cytotoxicity caused by oxidative stress.

First-principle study: Optical phonon mode and Born effective charge of strained Sr$TiO_3$ and $BaTiO_3$ lattices (제일원리적 계산에 의한 격자 변형된 Sr$TiO_3$$BaTiO_3$ 격자의 optical phonon mod와 Born effective charge의 특성)

  • 김이준;정동근;김주호;이재찬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11a
    • /
    • pp.55-55
    • /
    • 2003
  • Ferroelectric 물질은 고유전성, 자발분극과 전기장에 따른 유전상수의 변화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러한 ferroelectric 물질의 유전 특성에 미치는 요소로는 물질의 조성비, 박막의 스트레스, 결정성 등이 있다. 특히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 산화물 인공격자를 이용하여 단일박막에서 얻을 수 없는 격자변형도를 얻어 격자 변형이 박막의 유전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BaTiO$_3$ (BTO)/SrTiO$_3$ (STO) 산화물 인공격자를 Pulsed laser deposition (PLD)법으로 (La,Sr)CoO$_3$ 전극이 코팅된 MGO (100) 단결정 기판위에 증착시켰다. 적층 주기에 변화를 주어 BTO와 STO 각각 1.01~1.095와 0.925 ~ 1.003의 단일 막에서는 얻을 수 없는 격자 변형도를 얻었다. 이 실험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라고 불리는 범함수밀도론를 기초한 제일원리적 계산 방법을 통하여 격자 변형된 SrTiO$_3$의 구조적, 전기적 특성을 계산하였다. SrTiO$_3$와 BaTiO$_3$ 격자의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Vienna Ab-intio Simulation Package (VASP) code가 사용되었다. SrTiO$_3$와 BaTiO$_3$ 산화물 격자의 안정성 분석 후, frozen-phonon 계산 방법을 사용하여 zone-centered optical phonon mode가 계산되었으며, mode effective charge는 Berry-phase polarization 으로부터 얻어졌다. SrTiO$_3$ 격자가 격자변형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로부터 c/a= 0.985로 격자 변형 이 일어남에 따라 optical phonon mode는 점차 hardening되었다. BaTiO$_3$ 격자의 경우 SrTiO$_3$ 격자와는 달리 격자 변형이 1.01~1.023으로 진행됨에 따라 optical phonon mode의 증가를 가져왔으나 Born effective charge의 증가하였으며, 더 이상 격자 변형이 진행됨에 따라 optical phonon mode의 감소를 가져왔으나 Born effective charge의 증가 유전상수는 증가했다. 격자 변형이 SrTiO$_3$ 와 BaTiO$_3$ 산화물 격자의 optical phonon mode와 Born effective charge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 PDF

Cracking Near a Hole on a Heat- Resistant Alloy Subjected to Thermo-Mechanical Cycling (열 및 기계적 반복하중 하의 내열금속 표면 홀 주변 산화막의 변형 및 응력해석)

  • Li, Feng-Xun;Kang, Ki-Ju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9
    • /
    • pp.1227-1233
    • /
    • 2010
  • In the hot section of a gas turbine, the turbine blades were protected from high temperature by providing a thermal barrier coating (TBC) as well as by cooling air flowing through internal passages within the blades. The cooling air then passed through discrete holes on the blade surface, creating a film of cooling air that further protects the surface from the hot mainstream flow. The holes are subjected to stresses resulting from the lateral growth of thermally grown oxide, the thermal expansion misfit between the constituent layers, and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high-speed revolution; these stresses often result in cracking. In this study, the deformation and cracks occurring near a hole on a heat-resistant alloy subjected to thermo-mechanical cycling were investigated. The experiment showed that cracks formed around the hole depending on the applied stress level and the number of cycles. These results could be explained by our analytic solution.

Effects of Fermented Kalopanax pictus on oxidative damage of neurofilament protein (신경세사 단백질의 산화적 손상에 엄나무 발효물이 미치는 영향)

  • Kang, Ju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1
    • /
    • pp.194-204
    • /
    • 2018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xtract(KP-HE) from Kalopanax pictus(KP) fermented with Hericium erinaceum(HE) mycelium on oxidative modification of neurofilament-L(NF-L) which is closely related to neurodegenerative disorders.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NF-L was induced by AAPH producing peroxyl radicals in solution, and KP, HE, and KP-HE was investigated. KP and HE did not protect NF-L against peroxyl radical-mediated NF-L modification whereas KP-HE significantly prevented NF-L modification induced by peroxyl radical. KP-HE inhibited the formation of dityrosine in oxidative modification of NF-L and stimulated the pe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effects of KP, HE, and KP-HE on the modification of NF-L by tetrahydropapaveroline(THP), a neurotoxin found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was investigated. KP-HE also prevented THP-mediated NF-L modification as compared to KP and HE. In addition, KP-HE significantly inhibited the formation of dityrosine in oxidative modified NF-L and enhanced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ROS) was generated by THP. The results suggested that KP-HE can contribute to protected cell from oxidative stress was induced by ROS and neurotoxin. Therefore, KP-HE could potentially be used as a valuable functional food ingredient to prevent neurodegenerative disorders.

플라즈마를 이용한 그래핀의 산화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460-460
    • /
    • 2011
  • 그래핀은 탄소원자로 구성된 2차원의 나노재료로서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들을 기반으로 그래핀은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전 자기 차폐재 등의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하다고 예측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특성은 그래핀의 구조 및 결함, 불순물 등에 의하여 변화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특성의 변화를 통해 전자소자로의 응용도 가능 하다고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그래핀의 구조를 제어하고 적절한 결함 및 불순물을 부여하는 것은 그래핀의 기초물성 연구 뿐 아니라 응용연구 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그래핀의 구조변형을 도모하였다. 그래핀은 열화학 기상증착법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TCVD)을 이용하여 300 nm 두께의 니켈박막이 증착된 기판위에 합성하였다. 합성된 그래핀은 산화처리 시 기판의 영향을 배제하고자 트렌치(trench) 구조의 산화막 실리콘 기판위로 전사함으로서 공중에 떠 있는 (air suspended) 구조를 구현하였다. 산화처리를 위한 장치는 직류 플라즈마 장치를 이용하였으며 0.1 Torr의 압력에서 0.4W의 파워로 공기 플라즈마를 방전하여 5분간의 산화처리와 특성평가를 매회 반복함으로서 처리시간에 따른 산화처리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공기 플라즈마 산화처리를 통해 그래핀에 결함을 부여하고 그래핀의 구조변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래핀의 특성분석을 위해서는 광학현미경, 라만 분광기, 원자간힘현미경 등을 이용하였다.

  • PDF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Using Modified Fenton's Oxidation (변형 펜턴산화법을 이용한 유기폐수의 처리)

  • Kim, Ji Yeon;Yoon, Tai Il;Park, Se Jin
    • Clean Technology
    • /
    • v.5 no.1
    • /
    • pp.49-61
    • /
    • 1999
  • Fenton's oxidation can improve the biodegradability of refractory organic wastewater by generating $OH{\cdot}$ which is one of the most reactive species. Fenton's reagent is used to treat a variety of industrial waste containing a range of toxic organic compounds. But this process cannot be economical because of high chemical cost of $H_2O_2$, ferrous ion solution and high sludge disposal cos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odified Fenton's oxidation process which can reduce the reagent cost and obtain better removal efficiencies with less Fenton's reagents, and have a good potential of sludge recycling. In modified Fenton reaction, ferrous ion solution is adjusted to optimal pH with NaOH. Then it added to the sample and reacted to $H_2O_2$. For the experiment, synthetic wastewater made of phenol, which is one of the typical water pollutants, was used and the ionic strength of this wastewater was controlled by adding $NaHCO_3$. The effects of DO, ionic strength, and $H_2O_2$ dosing method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modified Fenton's treatment efficiencies are better than conventional Fenton's reaction treating leachate and dyeing wastewater. And modified Fenton's treatment efficiencies combined to the sludge recycling for a half of Iron dosage are as good as the conventional Fenton's for a normal Iron dosage.

  • PDF

$UO_2$ 소결펠렛의 건/습식 산화반응 연구

  • 김익수;이원경;신희성;신영준;노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a
    • /
    • pp.805-805
    • /
    • 1995
  • 핵연료저장시설의 화재 등 극단적인 사고조건하에서 $UO_2$ 소결펠렛의 습식산화와 건식산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손상된 지르칼로이 피복관 속의 $UO_2$ 소결펠렛을 산성분위기의 습윤조건하에서 산화시킬 때의 $UO_2$ 펠렛의 산화속도는 IDR(mg/$\textrm{cm}^2$.min) = 1.55 [H$^{+}$]$^{1.21}$ 로 나타났다. 또한 습윤조건하에서 $UO_2$ 분말에 알카리 및 알카리 토금속 산화물, 그리고 백금족 및 회토류 산화물 등과 같은 불순물들이 존재할 때의 산화속도를 조사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영향도 관찰하였다. 핵연료저장시설의 가상화재를 바탕으로 한 400~$7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피복관이 씌워진 $UO_2$ 소결펠렛의 건식산화반응을 조사한 바 $UO_2$ 소결펠렛은 산화초기에 U$_4$O$_{9}$ 또는 U$_3$O$_{7}$ 등의 중간상 형성에 따른 3-4%의 부피축소에 의해 결정립계 균열이 일어나고, $600^{\circ}C$ 이하에서는 온도증가에 따라 중간상에서 U$_3$O$_{8}$ 상으로의 상변화에 의한 부피팽창으로 피복관의 변형과 함께 산화속도의 가속을 발견할 수 있었고, $600^{\circ}C$ 이상에서는 핵연료소자의 소성변형으로 인한 산화속도의 지연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UO_2$ 펠렛의 건식산화거동은 기체-고체 반응시의 전형적인 형태인 shrinking core model에 잘 적용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산화아연 나노로드 기반의 피에조 나노발전소자 향상을 위한 상부 전극 제작

  • Go, Yeong-Hwan;Yu, J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283.1-283.1
    • /
    • 2014
  • 최근 주위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회수 또는 수확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energy harvesting technology)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압전 나노발전소자(piezoelectric nanogenerator)의 연구가 활발해 진행되고 있다. 한편, 수열합성법 또는 전기화학증착법을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수직으로 성장된 산화아연 나노로드(ZnO nanorod)는 광대역 에너지 밴드갭(wide bandgap energy)과 압전(piezoelectric)특성을 갖게 된다. 이렇게 수직 정렬된 나노로드의 기하학적 구조는 외부 물리적인 힘에 의해 구부러짐(bending) 변형이 일어나 압전특성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며, 이런 현상을 이용하여 압전 나노발전소자에 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부의 전극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증가시켜 외부 힘에 의해 산화아연 나노로드가 효과적으로 변형을 일으켜 압전 특성을 향상시켰다. 실험을 위해, 산화아연 마이크로로드 어레이 (microrod arrays)와 실리카 마이크로스피어(silica microsphere)를 각각 템플릿으로 이용하여 그 위에 금(Au)를 증착하여 상부전극을 제작하였다. 산화아연 나노로드와 마이크로로드는 전기화학증착법을 이용해서 저온공정($75^{\circ}C$)으로 ITO가 코팅된 PET 기판위에 성장하였으며, 인가된 전압의 세기를 변화시켜 산하아연 구조물의 크기를 조절하였다. 또한 화합합성법으로 실리카 마이크로 스피어를 준비하였다. 이러게 제작된 상부전극을 통해 기존의 사용되었던 전극과 비교하여 성능이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이와 함께 이론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 PDF

Raman Spectroscopic Study of CVD-grown Graphene on h-Boron Nitride Substrates

  • An, Gwang-Hyeon;Go, Taek-Yeong;Ryu, Sun-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382-382
    • /
    • 2011
  • 이차원 결정인 그래핀(graphene)은 전하도핑(charge doping)과 기계적 변형에 민감하기 때문에 기판의 물리 및 화학적 구조 및 특성에 따라 그래핀의 물성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산화실리콘($SiO_2$/Si) 기판에 존재하는 나노미터 크기의 굴곡과 전하 트랩(charge trap)은 전하 이동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의 면에서 그래핀 고유의 뛰어난 물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질 산화실리콘 기판을 대조군으로 삼아 편평도가 높은 결정성 h-BN (hexagonal boron nitride) 기판이 그래핀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화학기상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CVD)으로 성장시킨 그래핀을 각 기판에 전사시킨 후 라만 분광법을 통해 전하 도핑 및 기계적 변형 정도를 측정하였다. h-BN 위에서는 외부 환경에서 기인하는 전하 도핑 정도가 산화실리콘 기판보다 적게 관찰되었다. 또한 h-BN 위에 고착된 그래핀 시료에서는 기판-그래핀 상호작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는 새로운 라만 분광 특성이 관찰되었다.

  • PDF

그래핀 층수에 따른 산화 특성 연구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358-358
    • /
    • 2011
  • 탄소원자로 구성된 2차원의 단원자 층의 그래핀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전기전도도, 화학적 안정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래핀의 물성은 그래핀의 층수, edge 형태, 구조적 defect의 양, 불순물의 양 등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원인들의 영향을 살펴보는 일은 그래핀 물성 제어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그래핀을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CVD합성법이나 화학적인 박리법 등과 같은 대량의 그래핀 제조법이 요구되며, 이러한 그래핀들의 산화거동을 알아 보는 것은 향후 산화 분위기에서 사용될 그래핀 응용소자 개발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 층수에 따른 산화 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그래핀을 산화시킨 후 Raman 분광법과 AFM 분석을 통하여 광학적, 구조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래핀은 니켈박막을 촉매층으로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에 메탄가스를 원료가스로 한 CVD법으로 합성하였다. 효율적인 산화처리를 위해 합성한 그래핀은 홈이 있는 기판 위에 전사하여 산화반응시 기판의 영향을 제거하였다. 산화처리는 열 산화처리 및 플라즈마 산화처리로 나누어 각각 실시하였으며, 5분간의 산화처리와 특성평가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였다. 한편, 층수에 따른 산화 거동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합성한 그래핀 내에 존재하는 단층영역, 수층영역, 다층영역을 지정하여 매회 동일영역을 분석함으로써 산화 거동을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