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출광물

Search Result 63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Freibergite from the Yeonhwa 1 Mine (제 1 연화광산에서 산출되는 프라이버자이트)

  • 정재일;이영엽;이광식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81-90
    • /
    • 1994
  • 연화 광산 동점 및 묘봉 광체에서 산출되는 프라이버자이트는 후기 광화 시기에 방연석, 피라지라이트, 황철석, 자철석, 알라반다이트, 함망간, 자철석, 섬아연석, 황선석, 석영 등과 밀접하게 공존하고 있다. 화학조성을 보면 Ag가 최고 40.5 wt%까지 높은 함량을 보이고, Zn은 극소량 또는 microprobe의 측정 한계 이하이다. 어떤 입자들에서 Pb가 최고 1.70 wt% 함유되어 있다. 연화 프라이브자이트의 화학 조성상의 다소 고유한 특성은 Me12Sb4S13을 기준으로 할 때 S가 부족하고 Sb가 많이 포함되는 점이다.

  • PDF

경상분지 남동부 일광광산에 산출하는 전기석 기원과 그 중요성에 관한 예비연구

  • 장주연;양경희;이준동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58-59
    • /
    • 2001
  • 부산에서 북동쪽으로 대략 25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일광광산 부근의 지질은 백악기 화산암ㆍ퇴적암 그리고 이를 관입한 화강암류와 이 암주 내에 발달하는 구리-중석을 함유하고 있는 각력파이프광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광광산의 화강암류는 거의 타원형으로 felsic한 중앙부와 mafic한 양상의 주변부로 나뉘어지며, 암주 내에 수직적인 원통형의 각력파이프가 광화대를 이루고 있고, 그 주변에는 모암변질대가 발달되어 있다. 각력파이프를 충진하고 있는 vein과 화강암의 중앙부에는 전기석이 풍부하게 산출되고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은 야외 관찰시 각력파이프 중심에서부터 외곽부쪽으로 전기석의 풍부함이 감소하며 산출형태도 달라진다. 파이프에서 대략반경 150m내에서 전기석은 침상형 의 방사상 모양 내지 rosettes형으로 풍부하게 산출되며, 화강암내의 mafic한 암편을 치환한 형태로 산출되기도 한다. 암주의 중앙부 주변부에서는 거의 미세한 구상형으로 산재되어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복잡한 화학식 {(Na, Ca)(Fe, Mg)$_3$(Al, Li)$_{6}$(BO$_3$)$_3$Si$_{6}$O$_{18}$ (OH, F)$_4$}을 갖는 붕산 규산염광물이다. 이러 한 다양한 성분은 마그마의 진화과정, 모암의 특성, 온도, 압력, 성분과 같은 물리ㆍ화학적 성질에 따라 전기석의 성분이 체계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모암과 전기석 기원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파이프 부근의 화강암류는 현미 경상에서 전기석이 석류석과 같이 풍부하게 나타나며 장석들은 변질받은 상태로 세리사이트, 녹렴석으로 나타나고, 흑운모와 각섬석은 녹니석화되어 변질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파이프 중심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전기석의 함량은 줄어들고 있고 장석들이 알바이트ㆍ칼스베드 쌍정을 보이며, 흑운모가 각섬석보다는 우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전기석은 주상 결정,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입자로 다색성을 보이며, 결정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파란색과 황갈색의 광학적 누대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일광광산에서 산출되는 전기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은 열수기원임을 지시하고 있다. 야외조사와 현미경 관찰의 예비조사에 의하면 일광광산의 전기석이 형성된 환경은 다른2가지 화학적인 저장소의 혼합 효과의 결과로 생성되어진 것으로 예상된다. 일광의 화강암류를 만든 마그마는 전기석을 형성할 만큼의 Fe-Mg성분이 충분하지 않았을 것이다. 화강암 내에 흑운모와 각섬석의 결정작용에 의해 마그마의 Fe-Mg성분이 고갈되어지고 이로 인해 그 함량이 감소하며 상대적으로 마그마 내에 남은 붕소(B$_2$O$_3$)는 열수로 용리되고 흑운모, 각섬석과 평형을 유지하며 열수에 남아있게 된다. 잔류용융체에 남은 붕소의 함량은 전기석을 만들기에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Fe-Mg 함량이 부족하여 마그마 기원의 전기석 결정을 만들 수가 없다가 광맥이 형성된 시기에 또 다른 열수가 공급되면서 이전의 평형이 깨지고 기존의 흑운모와 같은 염기성 광물이 붕소(B)를 함유한 새로운 열수와 반응하여 전기석을 형성한 것으로 예상한다. 앞으로 전암과 광물에 대해 지화학적 연구를 통해 화강암류와 전기석과의 지화학적 연관성, 주성분 원소와 열수의 특성과의 상관관계, 전기석의 기원(마그마 기원인지 열수기원인지)이 보다 정확하게 파악될 것이다. 마그마 진화에 따른 전기석의 성분변화와 기원을 이용하여 일광광산의 동광화대를 형성한 마그마 계에서 열수계로 이어지는 지질학적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암석 성인론적 지시자로서 어떠한 중요성을 갖는지 논의되어질 수 있다.

  • PDF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of Cu-bearing Green Minerals Used as Traditional Pigments (전통 안료로 사용된 구리함유 녹색광물의 광물학적 특성과 산지추정)

  • Do, Jin-Young;Jung, Jongmee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1 no.2
    • /
    • pp.123-135
    • /
    • 2018
  •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clue to Seokrok province by comparing Seokrok used in painting culture properties with Seokrok ore from domestic occurrence and imported Seokrok ore. To this end, chemical and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were identified with portable X-ray Florescence (p-XRF), micro X-ray diffraction (micro XRD) and SEM/EDS Analysis. To obtain Pb isotopic ratio, the Pb contained in Seokrok has been analyzed with 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er. Atacamite (or botallackite) and small quantity of brochantite were identified from Seokrok in Dancheong, and malachite was also identified from Buddhist painting besides those two ingredients. Without distinction of type, most Seokrok used in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is atacamite composed of Cu and Cl. From Pb isotop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okrok in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was closer to that of north Korea, north China and Japan than south Korea as in regional division for East North Asia suggested by Mabuchi. The Pb isotopic ratio of domestic green mineral belongs to the distribution of Seokrok inside the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but imported malachite showed considerably difference. Considering the fact that atacamite, the main mineral of Seokrok in painting cultural properties is rarely produced from southern mine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result of Pb isotope analysis.

Occurrence of Clay Minerals from the Bobae Pottery Stone Mine in Pusan (부산 보배도석광산에서 산출하는 점토광물의산상)

  • Hwang, Jin-Yeon;Kim, Kwang-Hye;Jeong, Yoon-Yeong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1
    • /
    • pp.27-37
    • /
    • 1993
  • The clay minerals such as sericite, pyrophyllite, chlorite and smectite abundantly occur in the Bobae pottery stone mine in Pusan. In this study, the processes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these minerals were studied by examing their occurrence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The so-called pottery stone of this mine is characterized by the predominance of sericite and quartz. The sericite of the pottery stone is mostly $2M-{1}$ type. And many of quartz particles are smaller than a few micron in diameter. The pottery stone also contained a small amount of pyrophyllite and muscovite. The pottery stone deposit occurs within the Cretaceous rhyodacite and is particularly well developed near the contact with the quartz porphyry which intrudes the rhyodacite. The fact implies that the pottery stone is the product of hydrothermal alteration of the rhyodacite by the intrusion of quartz porphyry. The pottery stone was formed by the alteration that accompanies the dissociation of feldspar and chlorite in parent rocks and subsequent formation of sericte and quartz. Smectite, laumontite and kaolinite occur locally within the altered rocks. These minerals were formed after formation of pottery stone. It is noteworthy that beidellite occurs as a pink-colored clay from the altered rocks in the mine.

  • PDF

Au-Ag-bearing Ore Mineralization at the Geochang Hydrothermal Vein Deposit (거창 열수 맥상광상의 함 금-은 광화작용)

  • Hong, Seok Jin;Lee, Sunjin;Choi, Sang-H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2
    • /
    • pp.171-181
    • /
    • 2022
  • The Geochang Au-Ag deposit is located within the Yeongnam Massif. Within the area a number of hydrothermal quartz and calcite veins were formed by narrow open-space filling of parallel and subparallel fractures in the granitic gneiss and/or gneissic granite. Mineral paragenesis can be divided into two stages (stage I, ore-bearing quartz vein; stage II, barren calcite vein) by major tectonic fracturing. Stage I, at which the precipitation of major ore minerals occurred, is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stages (early, middle and late) with paragenetic time based on minor fractures and discernible mineral assemblages: early, marked by deposition of pyrite with minor pyrrhotite and arsenopyrite; middle, characterized by introduction of electrum and base-metal sulfides with minor sulfosalts; late, marked by hematite with base-metal sulfides. Fluid inclusion data show that stage I ore mineralization was deposited between initial high temperatures (≥380℃ ) and later lower temperatures (≤210℃ ) from H2O-CO2-NaCl fluids with salinities between 7.0 to 0.7 equiv. wt. % NaCl of Geochang hydrothermal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salinity and homogenization temperature indicates a complex history of boiling, fluid unmixing (CO2 effervescence), cooling and dilution via influx of cooler, more dilute meteoric waters over the temperature range ≥380℃ to ≤210℃. Changes in stage I vein mineralogy reflect decreasing temperature and fugacity of sulfur by evolution of the Geochang hydrothermal system with increasing paragenetic time. The Geochang deposit may represents a mesothermal gold-silver deposit.

Chemistry of Chlorite and Its Genetic Significance in the Talc Deposits in the Yesan-Gongju-Cheongyang Area, Chungnam, Korea (충남 예산-공주-청양지역의 활석 광산에서 산출되는 녹니석의 화학적 특징과 광상 성인과의 관계)

  • 김건영;김수진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8 no.2
    • /
    • pp.91-107
    • /
    • 1995
  • 충남 예산-공주-청양지역의 대흥, 평안, 신양(청당)광산에서 산출되는 녹니석에 관하여 화학적 및 성인적 연구를 하였다. 이들 광상은 초염기성암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다. 활석 광석의 주 구성 광물은 활석, 녹니석, 금운모, 각섬석류, 사문석, 탄산염광물 등이고 이밖에 감람석, 휘석류, 크롬철석, 스멕타이트, 녹니석/스멕타이트의 혼합층상광물들과 같은 팽윤성 광물들이 소량 산출된다. 이 중 감람석과 크롬철석은 광상의 초염기성암 기원을 지시하는 중요한 광물이다.녹니석은 활석 광석의 불순 광물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광물이다. 이들 녹니석은 성인적으로 활석과 밀접하게 연관된 녹니석과 그렇지 않은 녹니석의 두 가지 뚜렷한 타입으로 나뉘어지며 이들은 화학적으로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전자의 녹니석은 Mg/(Mg+Fe)비가 높으며 매우 일정한 범위의 Mg/(Mg+Fe)qkl (0.784∼0.951/산소수 14 기준)를 보여주고, 높은 8면체 치환양 (0.892 (-0.200∼0.692)/산소수 14, 이상적인 클리노클로어/차모사이트 성분 기준)과 넓은 범위의 Al 함량 변화 (2.975 (1.085∼3.160)/산소수 14 기준), 높은 Cr, Ni 함량을 갖는다. 이들은 매우 제한되고 높은 Mg/(Mg+Fe)비를 갖는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따라서,활석과 밀접하게 연관된 녹니석은 생성시, 주변암에 둘러싸여 있는,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에 의해 주로영향을 받았다. 후자의 녹니석은 전자의 녹니석에 비하여 Fe 함량이 더 놓으며 광범한 범위의 Mg/(Mg+Fe)비 (0.378∼0.852/산소수 14 기준)를 보여주고, 더 적은 범위의 8면체 치환양 (0.560 (-0.035∼0.525)/산소수 14, 이상적인 클리오클로어/차모사이트 성분 기준)과, 전반적으로는 더 높은 값을 가지면서 더 좁은 범위의 Al 함량 변화 (1.491 (1.468∼2.959)/산소수 14 기준)를 보여주며, 낮은 Cr, Ni 함량을 갖는다. 이들은 낮은 Mg/(Mg+Fe)비를 갖고 전자에 비해 Al이 풍부한 환경에서 생성되었으며, 따라서 활석과 연관되지 않은 녹니석은 생성시 광체와 인접한 화강아질 편마암에 의해 주로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녹니석의 이러한 2가지 화학조성상의 경향은 녹니석과 공존하는 운모류나 각섬석류들의 화학분석결과와도 잘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 지역의 활석 광상이 초염기성암 기원의 사문암이 열수변질작용을 받아 생성되었음을 명확하게 지시하며, 따라서 활석 광석내에 존재하는 녹니석은 활석의 근원 광물로서 녹니석편암 및 녹니석 편마암 매의 녹니석이 활석화되고 남은 잔존광물이 아니라, 주변암에 의해 성분상의 영향을 받은 열수와 사문암과의 변질교대작용에 의한 활석화과정 중에 주로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지역의 활석광상이 초염기성암의 사문암화 작용과 활석화 작용의 두 가지 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되어졌음을 알려준다.

  • PDF

만장광산에서 산출되는 황동석의 풍화과정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이인경;이평구;박성원;최상훈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57-60
    • /
    • 2003
  • 광업활동이 중지된 후 적절한 조치없이 방치된 폐광석들은 보다 빠르게 풍화될 수 있는 환경에 접하게 된다. 황화광물이 풍화되면 중금속이 용해되어 주변의 지표수나 지하수 및 토양의 오염을 초래한다. 용해된 중금속 이온들은 물리화학적 환경변화가 야기되면 보다 안정한 상태로 침전, 공침 또는 흡착되어지게 될 것이다. 만약 침전된 2차광물들이 불용성 광물이거나, 산성환경에서 비교적 안정한 광물에 흡착되어 제거된 중금속이라면 자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화학반응을 통하여 자연정화가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중략)

  • PDF

Mineralization Environments and Evaluation of Resources Potentials for the Absorbent-functional Mineral Resources Occurred in the Coal-bearing Formation of the Janggi Group (장기층군의 함탄층에서 산출되는 흡착기능성 광물 자원의 부존 환경 및 자원잠재성 평가)

  • Noh, Jin-Hwan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3 s.49
    • /
    • pp.197-207
    • /
    • 2006
  • In the coal-bearing formations of the Janggi Group, which are reported as typical clastic sediments, several beds of volcaniclastic rocks are actually found in the Yeongil area. The coal-bearing formations generally exhibit alternating lithologic characteristics of pyroclastic and epiclastic sedimentary facies. Tuff and tuffaceous sandstone rich in pumice fragments are characteristic in the coal-bearing fermations. Diagenetic minerals found in the pyroclastic rocks of the upper and lower coal-bearing formations are montmorillonite, clinoptilolite, opal-CT, and quartz. Several tuffaceous beds correspond to the low-grade ores of zeolites and bentonite, and moreover, these ores mostly occur as thin beds less than 1 m in thickness. Thus, the potential of altered tuffaceous rocks as the resources typical of zeolite and bentonite seems to be low. However, based on mineral composition and CEC determinations, it can be evaluated that these tuffaceous rocks mostly have the promising potential for utilization as the absorbent-functional mineral resources such as acid clays, if these low-grade ores plus adjacent tuffaceous rocks are collectively exploited.

Evolution of Glaucony in the Tertiary Marine Sediments in the Pohang Area, SE Korea (포항지역 제3기 해성퇴적층에서의 해록석 진화)

  • Byeong-Kook Son;Sang-Mo Koh;Hag-Ju Kim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3
    • /
    • pp.171-181
    • /
    • 2002
  • Glauconization was investigated by morpholog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glaucony from the Pohang Tertiary marine sediments. The glaucony, which is present sparsely in turbidite sandstones, shows two distinct stages in morphology and chemistry. Crystallization of glaucony starts preferentially from the interior of pellet-like grains, then to the outer region of the grains with increasing K and Fe, and decreasing Al. Furthermore, smectite-like glaucony is evolved into illite-like glaucony through interstratified glauconite-smectite with increases in K and Al, and decrease in Fe.

Origins of Clinopyroxenes in Alkaline Basalts from Jeju Island (제주도 알칼리 현무암에 산출되는 단사휘석의 기원)

  • Yang Kyounghee;Hwang Byoung-Hoon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1
    • /
    • pp.33-43
    • /
    • 2005
  • Three types of clinopyroxenes in alkali basaltic rocks from Jeju Island can be identified on the basis of geochemical and textural data. Type Ⅰ is Cr-rich diopside in spinel peridotites from the upper mantle. Type Ⅱ is augite in fine-grained pyroxenites which are possibly either magmatic vein or metamorphic segregations owing to anatexis of the upper mantle. The augite of Type Ⅱ contains high Ca and Mg and relatively low Ti. Type Ⅲ is thought to be either cumulates or cognate phenocrysts and can be subdivided into Ⅲa, Ⅲb, and Ⅲc based on their occurrence mode. Clinopyroxenes of Type Ⅰ have the highest Mg# and Si and the lowest Ti, whereas those of Type Ⅲhave lower Mg#와 Si and higher Ti. Thes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i+Al/sup Ⅵ/)/Si and Al/sup Ⅵ//Al/sup Ⅵ/ increase from Type Ⅰ to Type Ⅲ. It is possibly interpreted that Type Ⅰ is of the highest pressure origin and Type Ⅲ of the lowest. Fractionation of high-pressure clinopyroxenes would result in evolved undersaturated alkali-enriched liquids, probably producing the alkali-enriched host basaltic rocks in Jeju Is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