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지효과

Search Result 279,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Orographic Effect about the Rainfall Using Radar Data: A Case Study on Chungju Dam Basin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호우의 산지효과 특성 분석: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 Ku, Jung Mo;Ro, Yonghun;Kim, Kyoungjun;Yoo, Chuls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5
    • /
    • pp.393-407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rographic effect using radar data for the Chungju dam basin. First, independent rainfall events were selected by applying the IETD (Interevent Time Definition) and rainfall threshold. Among those independent rainfall events, rather strong events were selected to decide the occurrence condition of orographic effect. Also, the average reflectivity was calculated for the entire period and for the period of storm center, and the change in reflectivity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average reflectivity to that in the mountain area. Important rainfall factors were selected and applied to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decide the occurrence condition of orographic effect. Summarizing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evaluation of the radar data along the passing line of a storm showed the increase of radar reflectivity in the mountain area. Second,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orographic effect in the Chungju Dam Basin mostly occurred when the rainfall intensity was higher than 4 mm/hr, the storm velocity was lower than 4 km/hr, and the approach angle was $90^{\circ}{\pm}5^{\circ}$.

산지 규제 완화 약인가, 독인가

  • 한국산림경영인협회
    • 산림경영
    • /
    • s.189
    • /
    • pp.26-29
    • /
    • 2008
  • 산림청은 올해부터 산지에 대한 개발 및 이용규제 등을 대폭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산지 개발 및 이용에 관한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대폭 이양하는 등 산지 규제를 완화해 지자체와 기업, 임업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 이에 대해 그동안 산지를 마음대로 활용할 수 없어 고민하던 임업인과 지자체들은 환영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지금까지 정부가 강력한 산지규제 정책을 시행해왔어도 골프장, 공장 건설 등으로 산지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 이번 산지 규제 완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산지규제 완화 정책과 이에 따른 효과 및 문제점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 PDF

Effects of Country-of-Origin Dimensions on Product Evaluations: A Role of Motivational Focus (원산지 개념의 구성 차원이 소비자의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동기성향의 효과)

  • Shin, Sohyoun;Kim, Sanguk;Chaiy, Seoil
    • Asia Marketing Journal
    • /
    • v.10 no.2
    • /
    • pp.71-98
    • /
    • 2008
  • Considerably many numbers of studies on country-of-origin(hereafter COO) effects have been presented in international business and marketing areas. Recent studies have been included the effects of COO of manufacture, parts, and design, as well as the effects of brand origin, reflected by the accelerating convergent manufacture circumstances and increasingly competitive environments. Moderating constructs such as knowledge of product category and involvement as individual variables, have been also introduced and researched in various angles. In addition, how the effects of COO occur as processes is also argued in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o explain business corporation's strategic decisions on choosing a domain of its product manufacturing for several critical reasons, for cost reduction or better image. We displayed two constructs of brand and manufacture in a positive and negative country image group to reconfirm the existence of the effects of COO. Additionally, the effects of respondents' regulatory fit between their motivational focus and the contents of product messages, have been declared. Furthermore the respondents' motivational focus moderates the main effect of COO on product evaluations in a positive 'made-in' combination, while, surprisingly, it does not statistically moderate in a negative, except attitud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n how to plan and execute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regarding COO dimensions, especially COO of manufacture, are separately presented for each situations when it has already been determined and when it is to be.

  • PDF

Analysis on Rainfall characteristics in Mountainous River Basin (산지 하천유역 강우특성 분석)

  • Park, Jung-Sool;Kim, Kyung-Tak;Choi, Che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86-886
    • /
    • 2012
  • 우리나라 하천의 대부분은 산지에서 발원하며 전 국토의 약 70%가 산지하천 유역에 포함된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강우의 예측이 어렵고 경사가 급한 산지하천 유역의 피해가 가중되고 있으며 산지하천의 강우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상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체계의 구축이 요구된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11)에서는 산지 하천유역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재해위험지역의 현장관측시스템과 레이더강우를 기반으로 하는 강우유출 시스템을 연계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유역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수집되고 있는 강원도 인제군 가리산리의 관측강우량을 이용해 산지하천유역의 강우특성을 분석하고 산지유역의 강우추정을 위한 레이더 자료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대상유역인 가리산천 유역을 대상으로 작성된 티센 면적평균 강우량과 기상레이더를 이용한 레이더 강우량에서 가리산리 관측시스템 위치의 픽셀을 추출한 후 각각의 방법으로 추정된 강우량이 관측값과 어떤 차이를 갖고 있는가를 비교하였다. 또한, 모니터링 사이트 주위의 AWS를 이용해 레이더 강우를 보정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관측강우 위치의 셀 강우를 비교하여 레이더 강우의 보정 효과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600m 이상의 고지대에 위치한 현장관측시스템의 강우는 고도가 낮은 인근 강우관측소와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티센면적 평균 강우의 경우 산지하천의 강우특성을 반영하기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레이더 강우 역시 실제 관측강우량에 비해 과소추정되며 대상유역 주변의 AWS를 이용해 보정한 레이더 보정강우를 활용시 현장관측시스템의 강우가 가장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산지하천 유역의 강우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상관측소와 레이더 자료를 병행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산지하천유역의 강우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고도에 따른 관측망의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Hydraulic Effect of Vertical-Strip Side Wall in Open Channel Flow (개수로 흐름에서 측벽 수직줄눈의 수리효과)

  • Park, Sang-Deog;Ji, Min-Gyu;Nam, A-Reum;Woo, Tae-Young;Yang, Eun-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0-700
    • /
    • 2012
  • 산지유역은 하천을 따라서 도로가 발달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도로가 홍수시 하천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산지하천은 경사가 급하고 만곡수충부가 많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홍수시 유속이 빠르고 만곡수충부의 편수위가 매우 크다. 이는 만곡부 호안 파괴와 도로 유실의 피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지하천 만곡수충부에는 홍수피해 방지를 위해 콘크리트 옹벽호안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옹벽은 조도가 작기 때문에 유속이 더 빠르게 되고 편수위를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산지하천 만곡수충부의 편수위를 줄이기 위해서는 접근유속을 줄여야 하나 산지하천 특성으로 볼 때 접근유속 저감을 위한 공학적 방법은 제한적이다. 따라서 만곡수충부의 유속을 줄이는 방법으로 콘크리트 옹벽호안의 조도계수를 증대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수로 측벽에 수직돌출줄눈이 설치되었을 때 흐름에 미치는 수리효과를 개수로 수리실험으로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실험결과 돌출줄눈의 간격이 수직돌출줄눈의 무차원 폭이 9일 때 평균유속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이는 돌출줄눈의 간격이 개수로 내부흐름의 유속분포, 최대유속발생 위치, 유수단 면적의 크기에 영향이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수로 측벽 수직돌출줄눈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개수로 유수저항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 PDF

Hydraulic Experiments for Flow Impingement in Mountainous Meandering River (산지하천 만곡수충부 수리모형실험)

  • Park, Sang-Deog;Lee, Seung-Kyu;Kim, Gun-Tae;Kim, Ho-Seop;Shin, Se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64-176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지하천 만곡수충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홍수사상 발생 시 산지하천 만곡수충부 외측의 수위 상승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만곡수충부 모형을 제작하기 위하여 강원지역 지방하천에서 만곡수충부의 형태학적인 특성조사를 통한 대표 산지하천 만곡수충부 조건을 설정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을 위해 왜곡도 1.6의 고정상 만곡수충부 개수로 모형을 제작하여 유량에 따른 수충부의 수위상승을 조사하였다. 유량 $700m^3/s$에서 최대 3.150m의 편수위 상승이 발생하였고 유량에 따라 약간의 상이한 결과가 발생하였다.

  • PDF

A Methodology for Rain Gauge Network Evaluation Considering the Altitude of Rain Gauge (강우관측소의 설치고도를 고려한 강우관측망 평가방안)

  • Lee, Ji Ho;Jun, Hwan D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1
    • /
    • pp.113-124
    • /
    • 2014
  • The observed rainfall may be different along with the altitude of rain gauge, resulting in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events occurred in urban or mountainous areas are different. Due to the mountainous effects, in higher altitude, the uncertainty involved in the rainfall observation gets higher so that the density of rain gauges should be more dense. Basically, a methodology for the rain gauge network evaluation, considering this altitude effect of rain gauges can account for the mountainous effects and becomes an important step for forecasting flash flood and calibrating of the radar rainfall. For this reason, in this study, we suggest a methodology for rain gauge network evaluation with consideration of the rain gauge's altitude. To explore the density of rain gauges at each level of altitude, the Equal-Altitude-Ratio of the density of rain gauges, which is based on the fixed amount of elevation and the Equal-Area-Ratio of the density of rain gauges, which is based on the fixed amount of basin area are designed. After these two methods are applied to a real watershed, it is found that the Equal-Area-Ratio generates better results for evaluation of a rain gauge network with consideration of rain gauge's altitude than the Equal-Altitude-Ratio does. In addition, for comparison between the soundness of rain gauge networks in other watershed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the rain gauge density by the Equal-Area-Ratio is served as the index for the evenness of the distribution of the rain gauge's altitude. The suggested method is applied to the five large watersheds in Korea and it is found that rain gauges installed in a watershed having less value of the CV shows more evenly distributed than the ones in a watershed having higher value of the CV.

A Study on Hypsometric Curves of Mountain Rivers (산지하천의 면적-고도곡선에 관한 연구)

  • Park, Sang-Deog;Lee, Seung-Kyu;Hong, Jong-Sun;Kim, Ho-Sup;Shin, Se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597-601
    • /
    • 2009
  • 우리나라 하천의 중류나 상류는 대부분 산지로 되어 있어서 하천경사가 급하고 하상재료가 크며 지질 및 지형적인 영향을 받아 구속사행이 발달 되어 있는 산지하천이다. 산지하천은 홍수 시 만곡수충부 외측에서 홍수위 상승에 따른 범람과 유속 및 소류력에 의한 하상세굴이 발생한다. 특히 강원도는 산지하천을 따라서 도로가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하천피해는 도로피해와 직결되는 경우가 많다. 산지하천 수충부의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호우에 따른 하천의 홍수위 및 하상 변동에 대한 자료가 필요하나 산지하천 특성을 고려한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하천 발달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역의 면적-고도곡선을 평가하고자 한다. 산지하천은 하상을 구성하는 재료가 모래에서부터 전석에 이르기까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일반 모래와 자갈이 주를 이루는 평지하천과 현저히 다르다. 하천유역의 면적-고도곡선은 유역의 지질 발달상을 판단하거나 홍수효과 또는 지형의 침식과 퇴적 등을 분석하는데 유효한 방법이다. 강원도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을 발원지로 하는 하천의 면적과 고도관계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영서지역은 제1차 하천인 한강과 그 주요 지류 21개 하천, 영동지역은 제1차 하천 6개와 그 지류 3개 하천을 선정하고 무차원 면적-고도곡선을 작성하여 유역의 발달단계를 분석하기 위한 면적고도 발달계수를 정의하였다. 골지천을 제외한 모든 조사대상 하천에서 최대표고의 70%이상인 지역이 전체 유역면적의 10%미만을 차지하여 우리나라 하천유역이 상류의 경우 전형적인 장년기에서 노년기 지형으로 발달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유역의 하류지역은 이미 유년기적인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영동 보다는 영서지역 하천이 하류에서 유년기적 특성이 다소 크고 상류는 장년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hange Prediction of Forestland Area in South Korea using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다항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산지면적 변화 추정에 관한 연구)

  • KWAK, Doo-Ah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3 no.4
    • /
    • pp.42-51
    • /
    • 202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pport the 6th forest basic planning by Korea Forest Service as predicting the change of forestland area by the transition of land use type in the future over 35 years in South Korea.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upcoming forestland area change for future forest planning because forestland plays a basic role to predict forest resources change for afforestation, production and management in the future. Therefore, the transitional interaction between land use types in future of South Korea was predicted in this study using econometrical models based on past trend data of land use type and related variables. The econometrical model based on maximum discounted profits theory for land use type determination was used to estimate total quantitative change by forestland, agricultural land and urban area at national scale using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forestry value added, agricultural income and population during over 46 years. In result, it was analyzed that forestland area would decrease continuously at approximately 29,000 ha by 2027 while urban area increases in South Korea. However, it was predicted that the forestland area would be started to increase gradually at 170,000 ha by 2050 because urban area was reduced according to population decrement from 2032 in South Korea. We could find out that the increment of forestland would be attributed to social problems such as urban hollowing and localities extinction phenomenon by steep decrement of population from 2032. The decrement and increment of forestland by unbalanced population immigration to major cities and migration to localities might cause many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against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so that future strategies and policies for forestland should be established considering such future change trends of land use type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reasonable forestland use and conservation.

Strategy for Improving Forestland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산지이용구분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 Park, Young-Kyu;Jeon, Jun-Heon;Roh, Hye-J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8 no.6
    • /
    • pp.780-790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orestland Classification System' in Korea and to develop a strategy for its improvement. A surve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Delphi technique, one of the interactive survey method relying on a panel of expert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existing 'Forestland Classification System' was initiated for reasonable management of forestland, but now it turned into one of the most strict management restrictions. To improve forestland management in Korea, it was suggested to adopt 'Forest Function System' in this study. Moreover, to avoid indiscreet landuse conversion that might be occurred by substituting the 'Forest Function System' for the 'Forestland Classification System', it was suggested to adopt 'Forestland Conversion Propriety Assessment System'. In fact, landuse conversion has been regulated by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but this system appeared inadequate to be applied to the forested area. Illegal acts for having permission of landuse conversion for reserved forests was another big issue in the forestland management. For example, alteration of the reserved status of forests or partition into patches smaller than the size limit has been attempted. Thus in this study, it was strongly recommended to take sanction against such illegal acts. In orde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forestland management, it was also suggested to integrate administrative agencies related to the landuse conversion or to take over the charge to local gover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