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지지형

Search Result 48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Effect Factors about Sediment Delivery Ratio in the Small Mountain Watershed (산지소유역의 토사유출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Shin, Seung-Sook;Park, Sang-Deog;Lee, Kyu-Song;Kim, Young-Min;Shim,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08-612
    • /
    • 2006
  • 산지사면에서의 토양침식량은 실제 유역을 빠져나가는 토사유출량과 같지 않다. 이는 토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지형적인 요인 등에 의해 퇴적되거나, 가중되는 유수에 의해 더 많은 토양이 침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토사유출률(SDR)은 유역의 크기뿐만 아니라 지형, 기후, 토양, 식생피복, 토지이용도 등에 관계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 특성인 강우크기에 따른 토사유출률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산불 이후 5년 동안 산지 소유역의 시험유역을 운영하여 유출 및 토사유출량을 실측하여 자료를 구축하였고, 이 유역에 산지지역의 토양침식 모형인 SEMMA을 적용하여 토양침식량을 산정하고 유역출구로 이송한 실제 토사유출량과 비교하였다. 5년 동안 SDR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강우량, 강우강도, 강우에너지와 같은 강우사상의 크기에 따라 증가한다. SDR은 2001년에서 2002년까지 대부분 1.0 이상이고, 2005년에는 1.0을 초과하지 않으며, 강우특성 뿐만 아니라 식생피복, 산불시간경과 등의 인자에 의존한다.

  • PDF

Complex Terrain and Ecological Heterogeneity (TERRECO):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in Production Versus water Quantity/quality in Mountainous Landscapes (산지복잡지형과 생태적 비균질성: 산지경관의 생산성과 수자원/수질에 관한 생태계 서비스 평가)

  • Kang, Sin-Kyu;Tenhunen, Joh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2 no.4
    • /
    • pp.307-316
    • /
    • 2010
  • Complex terrain refers to irregular surface properties of the earth that influence gradients in climate, lateral transfer of materials, landscape distribution in soils properties, habitat selection of organisms, and via human preferences, the patterning in development of land use. Complex terrain of mountainous areas represents ca. 20% of the Earth's terrestrial surface; and such regions provide fresh water to at least half of humankind. Most major river systems originate in such terrain, and their resources are often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competition and political disputes. The goals of the TERRECO-IRTG focus on building a bridge between ecosystem understanding in complex terrain and spatial assessments of ecosystem performance with respect to derived ecosystem services. More specifically, a coordinated assessment framework will be developed from landscape to regional scale applications to quantify trade-offs and will be applied to determine how shifts in climate and land use in complex terrain influence naturally derived ecosystem services. Within the scope of TERRECO, the abiotic and biotic studies of water yield and quality, production and biodiversity, soil processing of materials and trace gas emissions in complex terrain are merged. There is a need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1) the ecosystem services derived in regions of complex terrain, 2) the process regulation occurred to maintain those services, and 3) the sensitivities defining thresholds critical in stability of these systems. The TERRECO-IRTG is dedicated to joint study of ecosystems in complex terrain from landscape to regional scales. Our objectives are to reveal the spatial patterns in driving variables of essential ecosystem processes involved in ecosystem services of complex terrain region and hence, to evaluate the resulting ecosystem services, and further to provide new tools for understanding and managing such areas.

A Basic Study on Disaster Mapping Techniques in Mountainous Watershed (산지유역 재해지도 작성 기법에 관한 기초 연구)

  • Lee, Hyun Chae;Jun, Kye Won;Oh, Chae 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9-179
    • /
    • 2017
  •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약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고서저의 지형을 이루고 있다. 강원도 영동지방의 경우는 고도가 높으며 경사가 급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지형적 특징으로 태풍 및 집중호우 시, 산지재해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에 의해 태풍 및 집중호우가 빈번해 산지재해의 발생빈도도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라 대규모의 인적, 물적 등의 피해 또한 증가하고 있다. 산지재해 같은 경우, 예측이 어려우나 그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지재해의 발생예상 지역, 피해정도 및 규모에 대한 예측 자료가 필요하다. 재해지도는 그에 따른 예측 자료로써 대상 지역의 위험요인과 잠재적인 영향 등을 표시하여 재해를 예방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재해지도를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으로는 정량적 기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 결정론적 기법(SHALATAB, SINMAP, GEOtop-FS), 확률론적 기법(빈도비분석법, 우도비, 증거가중법 등), 통계적 기법(로지스틱 회귀분석, 인공신경망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기법 중 하나인 결정론적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 실제 위험지역과 비교하였다. 추후에 확률론적 기법과 통계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위험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Building a GIS Based Forest Land Information System (GIS 기반 산지정보시스템 구축)

  • Lee, Chong-Soo;Hwang, Sung-Tae;Won, Dong-Bok;Shin, Cheol-Young;Yoon, Hoon-Jo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266-269
    • /
    • 2009
  • 산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규제지역 정보, 임상, 지형 등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다. 반면에 산주들은 산지 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렵다. 산지를 개발하고자 토지 매입 등을 거친후 인 허가 과정에서 개발 적지가 아닌 것으로 판명되면서 사회적 비용이 낭비될 우려가 있다. 산림청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축척의 산지구분도를 구축하여 '09년부터 산지정보시스템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산지관리 업무를 기존의 단 방향적이며 정적인 C/S 기반에서 개방과 참여를 중시하는 웹 2.0 기반으로 개편한 것이다. 산림청에서는 서비스하는 산지 정보 변화 내역 모니터링 등 시스템 유지 관리를 통해 최신 산지 정보를 제공하는 한편 사용자 편의성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 PDF

Geoecological Situation and Promotion of Mountain Settlements in Korea (I) (한국 산지촌의 실태와 진흥방안에 관한 연구 (I) -강원 남부지역의 산지촌을 사례로 한 경관생태학적 접근-)

  • 김일기;이민부;박승규;전종한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1
    • /
    • pp.27-46
    • /
    • 1999
  • 이 글은 상대적으로 연구 성과가 미비하고 그 접근방식도 다양하지 못했던 기존의 산지촌 연구를 회고하면서, 경관생태학적 관점을 활용하여 산지촌의 분포지역을 세분하고 이 틀 속에서 산지촌에 접근하자고 하였다. 특히 산지촌들이 생태지역에 따라 그 존립방식에 있어서 내적 차별성을 보인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연구지역은 산지촌이 전형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강원 남부지역의 태백산맥 일대로서 지형경관, 사면경사도, 해발고도 등에 의거하여 세 개의 생태지역으로 세분될 수 있었다. 고위평탄면지역 산지촌, 고위산간지역 산지촌, 그리고 급사면산간지역 산지촌이 그것이다. 이러한 생태지역의 개념에 기초하여 먼저 산지촌의 형성과정을 역사적으로 추적해본 후, 자연경관, 촌락의 분포 패턴, 생활방식 등을 생태지역별로 비교하면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도출된 세 곳의 생태지역, 생태지역별 자연경관 및 생활양식의 차별성, 산지촌 생활의 현실태, 촌락존립상의 문제점 등은 산지촌의 진흥방안을 모색하는 데 매우 중요한 관점과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고에서 사용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은 연구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도 적용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전국의 산지촌으로 확대될 때 현실에 바탕을 둔 산지촌의 진흥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Analysis of Slope Characteristics of Solar Power Plants in Gangwon Province based on Geospatial Database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의 지형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사면 특성 분석)

  • Kim, Ji-Ho;Song, Ki-Il;Yune, Ch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40 no.4
    • /
    • pp.155-167
    • /
    • 2024
  • In Korea, many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being installed in mountainous regions, which cover 70% of the country' area.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lope characteristics of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stalled in such regions, considering the potential for mountain hazards. A database was created for 663 mountainous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 Gangwon province, including data on area, slope angle, slope direction, altitude, and soil depth. G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ze the slope characteristics of these facilities. The area of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stalled in the Gangwon Mountains ranges from 606 to 320,718 m2. We found that a notable number of these facilities have slopes exceeding the permit standards for mountain solar power installations and steep slope criteria. In addition, most facilities are located south, making them vulnerable to landslides. The correlation between soil depth and slope or topographical altitude was found to be quite low.

Comparison of Drone and Terrestrial LiDAR DEM generation data for Analyzing Estuary Topographic Changes (하구부 지형변화 분석을 위한 드론과 지상LiDAR DEM 생성자료의 비교)

  • Lee, Jeong Hoon;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40-140
    • /
    • 2017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의 증가로 국토의 64%가 산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재해의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재해 분석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지형자료의 정확도는 재해분석결과에 있어 중요하며, 지형촬영방법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매우 크다. 지형자료 중 하나인 DEM(Digital Elevation Model) 활용분야 또한 확대되고 있고 지도제작에 있어 DEM을 사용하면 지형도를 신속히 제작할 수 있고, 편집 용이, 수작업 인원 감축, 정확도 향상 및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이루어져 체계적으로 종합적인 지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생성한 DEM은 매우 정확한 방법이며, 접촉식 측량장비에 비하여 누락되는 데이터가 적으며 정밀하게 자료를 수집가능 한 것이 장점이다. 지상LiDAR를 이용한 자료 취득 시식생과 구조물에 의해 촬영 각도가 제한되는 경우 충분한 자료를 얻기 위해 여러 위치에서 스캔이 필요하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드론의 도입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드론을 이용한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소규모 및 중간 규모의 하천, 산지 등의 현장 조사의 경우 LiDAR장비의 진입이 어려운 구간의 촬영 시 드론을 활용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상LiDAR와 드론을 이용하여 얻은 DEM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드론으로 생성된 DEM 자료 활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지역에 지상LiDAR와 드론 촬영을 실시하여 지형자료를 각각 획득한 후 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점을 선정한 후 지형 좌표의 편차, 표고의 편차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Topographic Tourism Resources of Mureung Valley in Donghae-si: Analysis and Valuation (동해 무릉계곡의 지형관광자원 분석과 평가)

  • Kwon, Dong Hi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0 no.3
    • /
    • pp.65-77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topographic landscape resources of Mureung Valley in Donghae-si from the viewpoint of geotourism in order to suggest the tourism contents and tour course. A total of 29 topographic landscapes were observed; these are broadly divided into 4 features including weathering landform, mountainous landform, fluvial landform, and structural landform. Major topographies are fluvial landform (13) and weathering landform (12). At least 19 topographies (14 sites, 19 topographic landscapes) are currently used as tourism resources, with 10 topographies having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new tourism resources. The 10 topographic landscapes are as follows: (1) Jamryong Bawi (Hidden Dragon Rock), (2) Janggipan Bawi (Korean Chessboard Rock), (3) Nurungji Bawi (Parched Rice Rock), (4) Damjang Bawi (Fence Rock), (5) Gyedan Bawi (Stairs Rock), (6) Heundeul Bawi (Rocking Rock), (7) Jeopsi Bawi (Dish Rock), (8) Dol Umul (Stone Well), (9) Jogak Bawi (Carved Rock), and (10) Dubu Bawi (Topu Rock). The topographic tour course can be divided into 3 routes considering accessibility and time. Route 1 is a basic one that anyone can easily use; Route 2 and 3 can be used by visitors who have more time to spare or who are more active.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Dongcheon-gugok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경상좌도 동천구곡의 지형적 특성)

  • KEE, Keun-Doh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5 no.2
    • /
    • pp.95-109
    • /
    • 2008
  • This work is to describe the geomorphological features of Dongcheon-gugok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sang Province, and attempt to develop a basic data for traditional natural heritage. The bedrocks of the study area is typically sedimentary rocks of Gyeongsang Series. Dongcheon-gugok in the study area is almost distributed in the valley of Taebaek Mountain range in Gyeongbuk Province. These valleys almost belong to tributaries of Nakdong River, and are characterized by narrow meandering valley in the moutainous region. Dongcheon-gugok in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these valleys with steep slopes or rocky cliffs. And there are pools, point-bar with sands and gravels, riffles, etc in the river valley. Ancesters named these landscape with Jeolbyuk(rocky cliff), Bong(peak), Dam(pool), Tan(ripple), Cheonsa(point-bar), Pok(waterfall), Dae(hill), etc.

A Classification of Mountain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Mountain Ordering (산지 차수에 근거한 남한지역의 산지 구분)

  • JIN, Qiuhong;SON, ILL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2
    • /
    • pp.1-13
    • /
    • 2010
  • The technique of mountain ordering developed by Yamada(1999) has been tested to two small islands (Namhaedo: 301km2, Geojedo: 378km2). The results and experiences above were extended and applied to the whole area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ree areas such as Seorak-Taebaek Mountains, Jiri-Deogyu Mountains, and Youngnam Alps are identified as the highest, 5th order mountains. 10 areas are classified as the 4th order and 87 areas as the 3rd order. It is suggested that the 5th order mountains are related to the axis of uplift and the 4th and 3rd order mountains have the same direction (NE-SW) as that of the secondary mountain system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logarithmic values of number, area, and relative altitude of the ordered mountains have the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order, as the laws of stream order. The several mountain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ountain systems could be identified among the ordered mountains, and those mountains could be used as the basis to understand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Most of the National Parks and the Provincial Parks are distributed on the 3rd, 4th, 5th order mountains. It is especially confirmed that the Songnisan National Park take a role to link the Seorak-Taebaek Mountains and Jiri-Deogyu Mountains as a important ecological axis. Therefore, it would be validated that the technique of mountain ordering has the practical values as well as the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