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assification of Mountain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Mountain Ordering

산지 차수에 근거한 남한지역의 산지 구분

  • JIN, Qiuhong (Geography Major,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ON, IL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추홍 (부산대학교 대학원) ;
  • 손일 (부산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0.05.0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technique of mountain ordering developed by Yamada(1999) has been tested to two small islands (Namhaedo: 301km2, Geojedo: 378km2). The results and experiences above were extended and applied to the whole area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hree areas such as Seorak-Taebaek Mountains, Jiri-Deogyu Mountains, and Youngnam Alps are identified as the highest, 5th order mountains. 10 areas are classified as the 4th order and 87 areas as the 3rd order. It is suggested that the 5th order mountains are related to the axis of uplift and the 4th and 3rd order mountains have the same direction (NE-SW) as that of the secondary mountain systems in the Korean Peninsula. The logarithmic values of number, area, and relative altitude of the ordered mountains have the linear relationship with the order, as the laws of stream order. The several mountain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ountain systems could be identified among the ordered mountains, and those mountains could be used as the basis to understand th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Most of the National Parks and the Provincial Parks are distributed on the 3rd, 4th, 5th order mountains. It is especially confirmed that the Songnisan National Park take a role to link the Seorak-Taebaek Mountains and Jiri-Deogyu Mountains as a important ecological axis. Therefore, it would be validated that the technique of mountain ordering has the practical values as well as the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s.

실험지역으로 선정된 거제도와 남해도에 대해 Yamada(1999)의 산치차수구분을 시도해 보았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산지차수구분을 남한 전 지역에 확대·적용하였다. 남한 지역의 최고 산지차수는 5차수였는데, 설악·태백산지, 지리·덕유산지, 영남알프스산지 모두 3곳으로 확인되었다. 4차수 산지는 10곳, 3차수 산지는 87곳에 나타난다. 5차수 산지는 대략 한반도의 융기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4차수와 3차수 산지의 분포는 2차산맥과 같은 북동-남서의 방향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하천차수법칙과 마찬가지로 차수별 산지 개수, 면적, 비고의 로그함수 값이 차수에 대해 선형관계를 이루고 있다. 차수별로 구분된 산지 중에서 기존의 산맥체계에서 고려하지 않은 산체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한반도의 지체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이해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국립공원 및 도립공원은 대부분 5, 4, 3차수 산지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속리산국립공원이 남한 지역의 대표적인 두 산체인 지리·덕유산지와 설악·태백산지를 연결하는 생태축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산치차수구분법이 지니고 있는 지형학적 의미뿐만 아니라 실용적 가치를 시사해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부산대학교 자유과제 학술연구비(2년)에 의하여 연구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