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조인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5초

흑찰미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주 동정 및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properties and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or black waxy rice vinegar)

  • 이경은;김소망;허창기;조인경;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3-451
    • /
    • 2015
  • 흑찰미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해 초산생성능이 우수한 초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균주별로 제조한 식초의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산 생성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기 위해 초산균 분리용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8종의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와 시판균주 2종의 초산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시판균주 2종, 분리균주 F-1 및 H-4를 식초 발효 균주로 선정하였다. 분리균주의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분리균주 모두Acetobacter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F-1 및 H-1 균주를 Acetobacter sp. F-1, Acetobacter sp. H-1으로 명명하였다. 초산균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흑찰미식초의 산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 16일까지 꾸준히 높아지다가 일정한 산도를 유지하였으며 시료구간의 최종 산도는 FV-1 식초의 총산 함량이 7.4%로 가장 높았다. 색도의 경우 L값 75.01~80.11, a값 3.34~3.92, b값 12.84~18.09 범위로 나타났다. 균주별 흑찰미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으로 나타났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HV-4, FV-1, CV-2 및 CV-1 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분리균주 F-1 식초가 351.43 m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균주 C-2 식초가 247.74 m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균주에 따른 흑찰미식초의 관능평가 결과는 분리균주 H-4로 제조한 식초는 전반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분리균주 F-1로 제조한 식초가 향, 색 및 종합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낸 F-1 균주가 흑찰미식초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머루 유용성분 추출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of Effective Components from Vitis coignetiae, the Crimson Glory Vine)

  • 조인희;김창연;이태욱;이근호;최용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59-666
    • /
    • 2010
  • 산머루의 유용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하고자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환류 냉각 추출공정 최적화를 실시하였다. 산머루에 함유된 항산화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에탄올 추출을 실시하여 반응표면 분석에 의해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추출 온도($X_1$), 추출 농도($X_2$), 추출 시간($X_3$)을 독립변수로 하고 추출물의 특성 즉, 추출 수율($Y_1$), 총 페놀($Y_2$), 전자공여능($Y_3$), 갈색도($Y_4$), 환원당($Y_5$)을 종속변수로 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수율은 추출온도와 추출농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안장점에서 추출 조건은 시료에 대한 추출온도는 $91.62^{\circ}C(X_1)$, 추출농도는 25.37%($X_2$), 추출시간은 317.70 min ($X_3$)이었다. 총 페놀함량은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며 추출농도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최대값은 4763.46 GAE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추출온도는 $88.20^{\circ}C(X_1)$, 추출농도는 47.79%($X_2$), 추출시간은 349.32 min ($X_3$)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온도와 추출농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안장점에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추출온도 $86.72^{\circ}C(X_1)$, 추출농도 50.61%($X_2$), 추출시간은 265.96 min ($X_3$),였고 최대값은 55.90%로 예측되었다. 갈색도는 다른 조건들보다 농도에 의한 영향을 받았다. 안장점일 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추출온도 $82.66^{\circ}C(X_1)$, 추출농도는 99.27%($X_2$), 추출시간은 252.63 min ($X_3$)으로 나타났으며 환원당은 추출농도와 추출시간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시료에 대한 추출온도 $96.24^{\circ}C(X_1)$, 추출농도는 22.59%($X_2$), 추출시간은 216.06min($X_3$)에서 최대값이 예측되었다. 산머루 추출물의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한 결과 추출온도 $75^{\circ}C$, 추출농도 48%, 추출시간 143 min으로 예측되었다.

한반도 멧돼지 KIT 유전자의 유전적 변이와 신규 돌연변이 (Novel Mutation and Genetic Variation of the KIT Gene in Korean Wild Boars(Sus scrofa coreanus))

  • 조인철;최유림;고문석;김재환;이정규;전진태;이항;오문유;한상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1-8
    • /
    • 2006
  • 포유동물에서 KIT 유전자는 우성 백색의 모색발현에 관여하는 후보유전자로서 mast/stem cell growth factor receptor를 암호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에서 서식하고 있는 야생멧돼지의 모색발현에 있어서 KIT 유전자의 유전적 변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 RFLP와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여 유전적 변이를 관찰하였다. 멧돼지 KIT 유전자의 exon17- intron 17 경계부위에 대한 NlaⅢ-RFLP 결과 splicing mutation이 없고, exon 19 상에서의 SNP C2678T에 대한 AciⅠ-RFLP 결과 역시 백색 품종들의 유전자형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멧돼지 집단 내 교잡에 의해 백모색의 자손이 출현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exon 19과 exon 20에서 새로운 SNP들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중 exon 20에서의 SNP A2760G는 아미노산의 변화(iso-leucine→valine)를 초래할 수 있으나 모색 발현과의 연관은 확인할 수 없었다. 돼지 KIT 유전자의 exon 19, 20과 intron 19 상에서의 새로 발견된 SNP와 splicing mutation의 존재 여부 등은 품종특이적인 양상으로 확인되었고, 이 같은 결과는 돼지에서 백색 모색 발현을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콩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따른 단백질·아미노산 함량 변화 (Protein and Amino-acid Contents in Backtae, Seoritae, Huktae, and Seomoktae Soybeans with Different Cooking Methods)

  • 임정연;김상천;김세나;최용민;양미란;조인희;김행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67-574
    • /
    • 2016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nutritional information (protein and amino-acid contents) of soybeans (Baktae, Seoritae, Huktae, and Seomoktae) with different cooking methods. Methods: Raw, boiled (in $100{\pm}15^{\circ}C$ of water for 4 hr), and fried (in a pan at $110{\pm}15^{\circ}C$ for $20{\pm}5min$) soybean samples were prepared. Contents of protein and amino acids were determined. Results: Protein content in raw Baktae, Seoritae, Huktae, and Seomoktae soybeans ranged from 361.0 to 386.8 mg/g. Protein contents differed according to cooking methods. They were higher in pan-fried beans (107.9-113.5%) than in raw or boiled soybeans (48.2-49.5%). A total of 18 amino acids were analyzed. Amino acid data sets were subjected to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to understand their differences according to soybean types and cooking methods. Bean samples could be distinguished better according to cooking method in comparison with bean types by principle component (PC1) and PC2. In particular, fried soybeans contained much higher levels of cystein. Other amino acids were the dominant in raw and boiled ones. On the other hand, the amounts of threonine, histidine, proline, arginine, tyrosine, lysine, tryptophan, and methionine were higher in raw bean samples than in cooked ones. Conclusion: The contents of amino-acids and proteins are more effect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in comparison with soybean types.

산조인탕치료가 여성갱년기 수면장애에 미치는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Sanjoin-tang (Suanzaoren decoction) for Insomnia in Menopausal Syndr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전지희;최태영;이명수;송은혜;;박선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4
    • /
    • 202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Sanjoin-tang (Suanzaoren decoction, SZRD) for insomnia in menopausal syndromes. Method : We searched the following databases: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Chinese Science and Technique Journals Database (VIP), Wanfang,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 OASI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database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or quasi-RCTs that used SZRD for women in menopause were includ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each RCT was assessed using the risk of bias tool. Results : In total, nine RCTs were finally included. The included RCTs had a high risk of bias across their domains. Three RCTs examined the effects of SZRD compared with western medicine (WM) in insomnia. Three RCTs showed favorable effects of SZRD with insomnia. Infrastructure also showed that SZRD resulted in better clinical WM (RR 1.19, 95% CI 1.07 to 1.32, P=0.001, I2=0%). Four RCTs showed favorable effects of Modified SZRD with insomnia. Infrastructure also showed that Modified SZRD resulted in better clinical WM (RR 1.13, 95% CI 1.04 to 1.23, P=0.004, I2=0%). Among the 4 RCTs, three RCTs showed an equivalent effect on the total Pittsburh Sleep Quality Index (PSQI). The meta-analysis also showed that Modified SZRD had a superior effect on the total of PSQI (total of PSQI : MD -2.55, 95% CI -3.72 to -1.37, P<0.0001, I2=85%). Only 2 trials reported adverse events and none reported severe adverse events. Conclusion : SZRD appears to be safe, but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to make a definitive conclusion because only a few studies reported adverse events. Due to the poor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and the small number of trials included, the evidence cannot be reproduced and assessed. Well-designed RCTs with a larger sample size are needed in the future.

국내 양앵두나무에서 발생한 Cherry green ring mottle virus 동정 (Identification of Cherry green ring mottle virus on Sweet Cherry Trees in Korea)

  • 조인숙;최국선;최승국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326-330
    • /
    • 2013
  • 2012년 국내 양앵두나무에서 발생하는 CGRMV를 조사하기 위해 화성, 평택, 경주, 김천, 대구, 영주 음성의 양앵두 재배과원 7개 지역에서 잎 시료 154점을 채집하였다. 채집한 시료에 대해 CGRMV 유전자 검정을 수행한 결과 6점의 시료에서 807 bp 크기의 PCR 증폭산물이 검출되었다. 이들 PCR 증폭산물은 클로닝과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 GeneBank에 등록된 외국의 CGRMV 분리주들과 88% 이상의 외피단백질 유전자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다. 국내 양앵두나무에서 분리된 분리주들, CGR-KO 1-6 간에는 98.8-99.8%의 염기서열 및 99.6-100%의 아미노산 서열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국내 CGRMV 분리주들은 외피단백질 유전자 계통도 분석에서 기존에 분류된 I, II, III 그룹 중 II 그룹에 속하였다. 또한 CGRMV가 감염된 국내 양앵두나무 이병주들은 ACLSV 등 10종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RT-PCR을 수행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ACLSV가 검출되어 CGRMV와 ACLSV가 복합 감염된 것을 확인하였다.

파프리카 과실에 괴사반점을 일으키는 Pepper mild mottle virus의 병원형 (A Pathotype of Pepper mild mottle virus Causing Necrotic Spot Symptoms in Paprika Fruit)

  • 최국선;최승국;조점덕;조인숙
    • 식물병연구
    • /
    • 제19권2호
    • /
    • pp.124-127
    • /
    • 2013
  • 시설재배단지에서 파프리카의 열매에 검은 괴저 반점 증상이 발생하였다. 이 증상주를 전자현미경, 지표식물 검정 및 RT-PCR 분석 결과, 원인 바이러스로 PMMoV로 동정되었다. 신엽에서 병징은 약한 모틀 증상, 과경과 과일에 검은 반점이 보였지만, 성숙한 잎에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PMMoV의 분리주들에 대한 Tobamovirus pathotype(P)의 판별 고추계통에 접종한 결과, 모두 $P_{1.2.3}$으로 확인되었다. 분리한 PMMoV를 건전 파프리카 유묘에 기계적 접종을 통하여 이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증명하였다. PMMoV 분리주들의 외피단백질 유전자의 상동성은 96-99%였다. $P_{1.2}$인 PMMoV-P2 분리주의 외피단백질 아미노산 배열 139번째가 Met인 반면, 파프리카 분리주 모두 이 위치가 Asn으로 확인되었다. 본 논문은 파프리카에서 PMMoV pathotype $P_{1.2.3}$의 동정에 관한 우리나라 최초 보고이다.

데침에 따른 야콘 된장절임의 항산화 활성 및 품질 변화 (Blanching Effect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Yacon Soaked in Doenjang Sauce)

  • 김기창;김혜선;조인희;김경미;김진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21-926
    • /
    • 2012
  • 본 연구는 가공식품으로 활용도가 낮은 야콘을 이용하여 저장성을 높인 절임식품을 제조하는 과정 중 데침의 전처리가 최종 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야콘의 데침 전처리를 달리하여 된장소스에 절인 야콘의 pH는 전반적으로 절인 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4일 이후 급격한 감소를 보인 데치지 않은 야콘에 비해 데친 야콘은 5.3~5.5의 수준을 유지하였다. 총산도 역시 기간이 지날수록 두 시료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데친 야콘의 경우 데치지 않은 것보다 증가폭이 적었다. 이는 데침의 전처리가 야콘 절임제품의 산과 관련된 품질에 있어 변질을 제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염도와 당도의 경우 데침 전처리를 거친 야콘이 데치지 않은 것에 비해 숙성기간 중 더 높은 값을 보였다. 야콘의 chlorogenic, ferulic, caffeic acid와 같은 항산화 능력이 있는 폴리페놀계 물질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데친 야콘은 숙성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데침의 전처리가 야콘 절임제품 가공 시 항산화력과 관련 깊은 폴리페놀 함량의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구체적인 기작과 최적조건의 설정을 위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된장소스에서 숙성기간에 따른 야콘의 조직감 측정을 위한 hardness는 데침 전처리와 관계없이 모두 21일째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모든 평가항목에서 두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데침의 열처리가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야콘의 데침 전처리는 된장소스에 절임 중 폴리페놀 함량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가공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산조인탕이 수면박탈 흰쥐 심장의 혈역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njointang on Hemodynamic Functions of Isolated Rat Heart Induced by Sleep Deprivation)

  • 신유정;김덕곤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06-120
    • /
    • 2010
  • Objectives: Sanjointang has been clinically used much for treating sleeplessness. However, the effects of Sanjointang in artificial sleep deprivation situations are not 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eart rate, 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dp/dt maximum, -dp/dt maximum, and -dp/dt / +dp/dt ratio which are related to the hemodynamic functions of the heart by using sleep-deprived Sparague-Dawley rats,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 of Sanjointang on hemodynamic functions of the heart of sleep deprived rats. Methods: Eighteen hearts were removed from the male Sparague-Dawley rats weighting about 180g were perfused by the Langendorff technique with modified 37 Krebs-Henseleit's buffer solution at a constant perfusion pressure (60mmH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three groups, 1) Normal group (those which did not have sleep deprivation and received normal saline administration), 2) Control group (sleep deprived and normal saline administered), 3) Sample group (sleep deprived and Sanjointang was administered). Control and sample groups rats were deprived 96 hours of sleep by using the modified multiple platform technique. Heart rate, 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dp/dt maximum, -dp/dt maximum, -dp/dt / +dp/dt ratio were evaluated at baseline after the administration of either normal saline or Sanjointang. Results: The heart rate and -dp/dt / +dp/dt rati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ats with 96 hours of sleep deprive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hange in the heart rate after administering Sanjointa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The 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of the removed heart significantly decreased due to Sanjointang administration, while the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The +dp/dt maximum and -dp/dt maximum both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removed heart after administering Sanjointang.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the -dp/dt / +dp/dt ratio after administering Sanjointang.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sleep deprivation significantly decreases heart rate and -dp/dt / +dp/dt ratio. This is considered as a result of exhaustion due to accumulation of fatigue. Meanwhile, Sanjointang reduced left ventricular systolic pressure and raised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and relieved the contractility and relaxation of the myocardium. Consequently, this reduces the burden of the heart and creates a relatively stabilized heart condition similar to a sleeping condition.

담금 방법을 달리한 전통 삼해주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Fermentation of Traditional Noble Wine, Samhaeju, by Different Brewing Methods)

  • 임채란;손희진;홍은정;한기영;최진영;조인영;김계원;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1-156
    • /
    • 2009
  • 민속주의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함과 함께 전통 반가주의 복원 및 공장 생산의 가능성을 열기 위하여 발효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전통적인 발효 방법을 변형해 발효 시간을 단축하여 2가지 방법으로 삼해주를 제조하였다. 3번의 담금을 기준으로 삼해주의 발효 기간에 따라 이화학적 성질을 분석하였는데, 2단과 3단 담금 직후 pH 값은 상승 하였으며, 총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발효 초 1.31 mg%로 낮았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함을 보였고, 덧술이 첨가된 직후에는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덧술 첨가에 의한 시료의 희석 효과로 여겨진다. 삼해주의 대표적인 유기산으로는 lactic acid, succinic acid로 나타났고, citr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도 일부 검출되었다. 삼해주의 대표적인 유리당으로는 glucose, maltose, lactose로 확인되었고, fructose, sucrose도 소량 검출 되었다. 색도의 경우 덧술 첨가 직후 명도를 나타내는 L 값이 감소하였으며, 발효가 완료되었을 때 a값이 가장 낮고, b 값은 가장 높았다. 전자코로 휘발성분을 분석한 결과 삼해주의 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알코올로 나타났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제 1주성분 값이 음(-)에서 양(+)의 값으로 이동을 하였고, 제 1주성분이 9.00의 값을 나타내었을 경우 삼해주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