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이동

검색결과 980건 처리시간 0.023초

기술개발성공사례 - 흥창물산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29권6호통권325호
    • /
    • pp.88-89
    • /
    • 1996
  • 72년 이어폰 잭 부품을 조립 수출하는 단순 조립공장으로 출범한 흥창물산은 80년대말 참여한 이동통신기기산업으로 제2의 도약을 이루며 종업원 1천명에 1천억 매출의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서울과 인천에 연구소를 두고 있는 흥창물산은 무인기지국 원격제어장치와 고주파 전력증폭기 등을 생산, 국내 이동통신에 납품하여 호평을 받고 있다.

  • PDF

리소포스타티드산은 SKOV-3 난소암세포의 mTORC2/Akt1/NOX 신호전달 기전을 통해 활성산소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세포의 이동을 촉진 (Lysophosphatidic Acid Stimulates SKOV-3 Cell Migration through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via the mTORC2/Akt1/NOX Signaling Axis)

  • 김은경;진서연;하정민;배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9-137
    • /
    • 2023
  • 활성산소는 세포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리소포스파티드산에 의해 유도되는 SKOV-3 세포의 이동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기전 연구를 수행하였다. IGF-1 및 LPA는 처리시간 그리고 용량 의존적으로 SKOV-3 세포의 이동을 촉진시켰으며, 리소포스파티드산은 이에 따라 Akt의 인산화도 촉진하였다. 리소포스파티드산에 의한 세포이동은 리소포스파티드산 수용체 억제제에 의해 길항되었으나 IGF-1에 의한 세포이동에는 영향이 없었다. PI3K 및 ROCK의 억제는 리소포스파티드산에 의한 세포의 이동을 길항하였으나 MAPK 억제제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았다. 리소포스파티드산에 의해 형성되는 활성산소는 PI3K 및 ROCK의 억제제에 의해 길항되었으며 활성산소를 킬레이트화하면 리소포스파티드산에 의한 세포의 이동이 억제되었다. 또한 리간드에 의해 활성산소를 형성하는 NOX를 억제하면 리소포스파티드산에 의한 세포의 이동도 억제 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Rictor 및 Akt1의 발현을 억제하면 활성산소 및 세포의 이동이 저해되었으나 Raptor 및 Akt2의 발현조절은 모두 영향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우성활성화형태인 Akt1의 과발현은 리소포스파티드산의 자극이 없어도 SKOV-3 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리소포스파티드산은 mTORC2/Akt1/NOX 신호전달 기전을 통해 활성산소를 형성하고 SKOV-3 난소암세포의 이동을 촉진한다는 것을 제안한다.

전기투석에 의한 초산의 이동특성 연구 (Studies on the Transport of Acetic Acid by Electrodialysis)

  • 최동민;구윤모
    • KSBB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360-366
    • /
    • 1996
  • 전기장에서의 유기산의 이동성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아세트산을 대상으로 하여 한외여과막과 이온교 환막을 사용한 전기투석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기장에 의한 한외여과막에서의 전기적 삼투흐름은 전반적으로 anodic side에서 cathodic side로 진행되었다. 막을 통한 이온의 순수이동은 전기척 삼투흐름 에 대한 전기적 이동속도로부터 결정되였으며, 실험 에서의 순수 전기적 삼투흐름방향은 아세트산의 이 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격막을 통한 전기척 삼투흐름에 의해 특성화된 한외여과막의 표면전하는 모두 음전하를 띠었다. 각기 재질이 다른 regenerated celiuloseCYM series)와 polysul foneCPM series) 재질의 한외여과막을 사용한 실험에서 아세트산이온의 이통양상에 매우 다르게 나타 났으며 전반적으로 YM series의 한외 여과막에서 아세트산이옹의 이동이 원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기적 삼투흐름측정에 따르면 YM series의 격막에 비해 PM series의 격막이 전해질용액에셔 상대적으로 큰 음전하를 띠는 것으로 추측된다. 아세트산 이온의 이동은 전기장의 세기, 전극사이 의 거리, 전극표면적, 이온세기, 온도, 격막의 pore 크기등에 영향을 받았으며, 일정한 전류장의 조건에서 이온교환막에서의 아세트산 이온의 이통은 한외 여과막에 비하여 1.5 에서 3배 수준이였다. 전기장 펄스형성에 의한 이온교환막에서의 아세트산이온의 이동은 10sec/hr의 펄스전기장에서 약 10%의 증가 를보였다.

  • PDF

한라산 아고산대에서의 사면 물질 이동 (Slow Mass Movement on a Subalpine Slope of Mount Halla, Jeju Island)

  • 김태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75-389
    • /
    • 2010
  • 한라산 표고 1,710m에 발달한 나지 표층에 2개의 페인트 라인을 설치하여 자갈의 이동량을 관측하고, 이동 프로세스와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였다. 관측 기간에 발생한 자갈의 이동량은 평균 58.2cm로서 일평균 이동 거리는 0.24cm이다. 계절별로 비교하면 동결기 0.3cm에 대하여 비동결기는 0.05cm에 불과하여 표층 자갈은 주로 동결기에 주빙하 프로세스를 통하여 이동하고 있다. 특히 서릿발 포행을 비롯한 동상 포행이 자갈의 이동을 주도하고 있다. 사면 경사각의 영향은 관측 기간 내내 측선 II의 이동량이 측선 I보다 큰 결과에 반영되어 있지만, 암괴와 식생이 자갈의 이동을 방해하므로 절대적이지는 않다. 자갈의 크기와 비중도 이동량에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특히 스코리아의 작은 비중이 매우 큰 이동량을 가져왔다.

Humic Acid 분리막의 제조와 이온교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and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of Humic Acid Membranes)

  • 이용택
    • 멤브레인
    • /
    • 제7권3호
    • /
    • pp.136-141
    • /
    • 1997
  • 토양 유기물에서 생물학적 난분해성인 부식물질을 알카리에서 추출하고 산성영역에서 침전되는 성분인 부식산을 정제, 추출하였다. 부식산의 주성분인 카르복실기가 이온교환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이용하여 PVA와의 불균질한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여 생리활성 이온인 $K^+$, $Na^+$의 이동 및 이동속도를 검토하여 보았다. 그 결과 수소이온 농도가 높을수록 이동속도는 빠르게 나타나고, 특히 $10^-1$,$10^0$영역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또한 $K^+$, $N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선택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소이온농도 $10^0$ 일때는$K^+$이 2배정도 빠르게 이동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생리활성 이온의 선택성 및 이동속도의 향상으로 부식산이 이온교환막의 새로운 재료로서의 그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 PDF

다당유도체를 기초로 한 키랄 컬럼에서 이동상에서의 산 또는 염기 첨가제가 아미노 알코올의 광학분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id or base additive in the mobile phase on enantiomer separation of amino alcohols using polysaccharide derived chiral columns)

  • 황호;김경옥;이원재
    • 분석과학
    • /
    • 제22권4호
    • /
    • pp.313-318
    • /
    • 2009
  • 다당유도체를 기초로 하는 키랄 컬럼들을 사용하여 여러 amino alcohol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산 또는 염기 등의 첨가제가 포함된 이동상에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광학분리를 수행하였다. 산 또는 염기 등의 첨가제가 각각 포함된 이동상뿐만 아니라 사용한 키랄 컬럼에 따라 광학분리된 선택성과 분리 인자가 크게 영향을 받았다. 특히 Chiralcel OD 컬럼에서 이동상에 0.1% trifluoroacetic acid를 산 첨가제로 사용했을 경우 0.1% triethylamine을 염기 첨가제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머무름인자 값은 더 작게 나타났지만 광학분리의 선택성과 분리인자는 크게 증가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Chiralcel OD 컬럼에서 이동상에 0.05% trifluoroacetic acid와 0.05% triethylamine을 함께 사용했을 때 광학분리의 선택성과 분리인자가 어느 이동상 조건보다도 가장 좋은 광학분할 결과를 보여주었다.

반달가슴곰의 서식지 확대 사례 (A case study of the habitat expansion of the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ussuricus))

  • 김정진;김태욱;최주열;박석호;한상현;이사현;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7권2호
    • /
    • pp.196-203
    • /
    • 2019
  • 과거 한국에는 반달가슴곰이 많은 개체수가 서식하였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반달가슴곰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산업화, 서식지 파괴, 밀렵으로 인해 절멸 상태에 이르렀다. 2000년대 초반 지리산국립공원에서 극소수의 개체가 활동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에 환경부에서는 절멸 위험에 처해 있는 생물종에 대한 복원과 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복원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외부로부터 한반도에 서식하는 반달가슴곰과 동일한 아종을 도입 방사한지 14년이 흐른 2017년에 지리산에서 약 80 km 떨어진 수도산에서 반달가슴곰이 발견되었다. 유전자 분석결과 과거 지리산에서 방사했었던 3년생 반달가슴곰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지리산에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을 추진한 이후 가장 멀리서 이동한 사례이다. 이후 지리산에서 2회 재방사를 하여 다시 수도산으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지리산에서 활동하는 반달가슴곰에 비해 많은 이동거리와 행동권을 나타냈다. 수도산에서 3번째 방사 이후 안정적인 이동 패턴과 서식영역을 띠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사례 연구를 통해 지리산 반달가슴곰 집단의 서식지 확산과 이에 따른 광역적 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무등산 암설지형의 유형과 특징 (Type and Characteristics of Debris Landform in Mt. Mudeung)

  • 오종주;박승필;성영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53-267
    • /
    • 2012
  • 본 연구는 무등산에 분포하는 암괴류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무등산의 암설지형은 암괴노출형, 노출혼합형, 거력잠재형, 기후단구 노출혼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암괴노출형의 대부분은 암괴류의 형태를 보인다. 암설지대 암괴의 공급은 암질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안산암질이 우세한 암설은 암설지대 상부의 주상절리 또는 단애에서 암괴의 이동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되고. 화강암질은 심층풍화된 암괴가 사면이동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암괴의 이동방식은 암괴의 낙하보다는 미끄러짐이 우세했던 것으로 추론된다. 그 이유는 단애와 암설지대 사이에 $10^{\circ}$ 내외의 완만한 사면에서 암괴의 장거리 이동이 불가능하고, 거력을 이동시킬만한 수류가 없고, 암설의 장축 방향성은 사면 최대경사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화강암과 안산암질 암설이 만나는 지역에서는 화강암이 하부에 안산암질이 상부에 있으며, 솔리플럭션과 동결포행이 활발한 시기에 화강암질 매트릭스가 평탄성이 현저한 사면을 형성한 후 안산암질 거력이 그 위를 덮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기후환경을 고려할 때 무등산 암설지대의 암괴는 이동이 거의 없다. 우주기원 동위원소 36Cl 연대측정 결과로 추론할 때, 최소 50,000년 전 암괴가 단애로부터 떨어져 나와 하부에 이동되었음을 의미하고 있다. 상부는 각력이 우세하고, 하부는 원마도가 좀 더 높은 아원력이 우세한 점을 고려할 때, 암설은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되어졌을 것으로 추론되며, 노출연대를 고려했을 때, 안정화된 화석지형이라고 추정된다.

  • PDF

산이동 설화에 대한 지형학적 검토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Landforms Associated with Folklore and Geo-storytelling)

  • 박경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3-52
    • /
    • 2019
  • Place names or toponyms including Gosan, Busan and Buraesan can be very important and interesting storytelling subjects in terms of geomorphology and folklore studies also. Several studies done by folklorists, those sixty five mountain-moving stories with similar names can b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through formation processes and origin, transport media and imposition of tax. Geomorphological studies can focus on transport media. They can be classified into six different categories; 1) flood from upstream through river, 2) voluntary walk of mountains, 3) by wind, 4) upwelling from underground, 5) involvement of mythical beings such as Mago Granny or Dokkaebi (kind of goblin), or 6) migration by ocean cur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