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 활성화

Search Result 3,23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위치 인식 시스템 개발 동향 소개

  • Jin, Jo-Ch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4
    • /
    • pp.5-10
    • /
    • 2008
  • 지능형 로봇은 자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 PC와 기본적으로 다른 점이다. 이동 로봇이 자율 주행할 때 꼭 필요한 기술이 위치 인식 기술과 장애물 감지 기술이다. 장애물 감지 기술은 이동 로봇이 다른 물체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지만 위치 인식 기술은 로봇이 현재 위치를 알고 목적지로 주행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지능형 로봇의 자율 주행 측면에서 위치 인식 기술은 필수적 핵심 기술이다. 위치 인식 센서는 로봇의 절대 위치 및 방향각 정보를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관련 데이터를 지능형 로봇에 전달한다. 이로써 지능형 로봇의 이동 경로와 방향 제어가 가능해지고, 로봇을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로봇이 자기 위치를 인식한 후에야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자율 주행이 가능해진다. (주)나인티시스템은 네트워크 기반 위치 파악용 indoor GPS 개념으로 로봇 위치 파악 센서 iGS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다. (주)나인티시스템이 개발한 iGS는 지능형 로봇의 거리, 위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초음파 송/수신부 및 RF 모듈로 Handware가 구성되어 있고 위치 추정 알고리즘, 장애물에 강건한 알고리즘 등이 Firmware를 구성하고 있다. 로봇 시장의 잠재적 성장 가능성을 고려할 때 로봇의 자율 운용에 필수적인 위치 파악 요소 기술을 선개발하여 상업화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도 큰 의미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위치 파악 요소 기술의 선도적 개발에 의해 미래 지능형 로봇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계기도 기대할 수 있다. Robot에 적정 가격대의 위치 인식 기술이 접목되면 Robot 산업의 활성화가 가능하다. 현재 청소용 Robot은 충돌 방지정도의 인식을 하고 있지만 위치 인식 기술이 접목되면 청소용 Robot이 더 많은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많은 Service의 실행으로 Robot 산업이 활성화되면 관련 요소기술 산업이 활성화된다. Robot 산업과 부품 산업이 활성화되면 Robot 관련 산업의 수익 Model이 다양해 진다. 위치 인식 기술은 Robot 산업뿐 아니라 산업 전반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위치 인식 기술은 지능형 Robot의 자율 주행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위치 인식 기술을 국산화하면 기존 수입품을 대체할 뿐아니라 수출 시장의 진출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haracterizing Business Strategy in a New Ecosystem of Big Data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전략 연구)

  • Yoo, Soonduck;Choi, Kwangdon;Shin, Sung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4
    • /
    • pp.1-9
    • /
    • 2014
  • This research describes strategies to promote the growth of the Big Data industry and the companies within the ecosystem. In doing so, we identif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various objects of this ecosystem and Big Data concepts. We describe the five components of the Big Data ecosystem: governance, data holders, service users, service providers and infrastructure providers. Related to the Big Data industry, the paper discusses 13 business strategies between the five components in the ecosystem. These strategies directly respond to areas of research by the Big Data industry leading experts on its early development. These strategies focus on how companies can gain competitive advantages in a growing new business environment of Big Data. The strategy topics are as follows: 1) the government's long term policy, 2) building Big Data support centers, 3) policy support and improving the legal system, 4) improving the Privacy Act, 5)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Big Data, 6) Big Data support excavation projects, 7) professional manpower education, 8) infrastructure system support, 9) data distribution and leverage support, 10) data quality management, 11) business support services development, 12) technology research and excavation, 13)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of Big Data technology. Of the proposed strategies, establishing supportive government policies is essential to the successful growth of thee Big Data industry. This study foster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Big Data ecosystem and its potential to increases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companies.

Trends and Activation Plans for Next-generation Wireless Broadband Industry (차세대 무선 브로드밴드 산업 동향과 활성화 방안)

  • Shim, Beom-Soo;Yoo, Do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2
    • /
    • pp.13-21
    • /
    • 2015
  • Ongoing advances in wireless broadband technologies can affect all of industrial society. As new wireless broadband technologies emerge, they will improve competition between established industries and their current services and produce new industries and new converged services. This paper analyzes the trend of next-generation wireless broadband and suggests ways of activating the industry further. To this end, we analyze the trend for previous wireless broadband industries and find out three influential factors (content, wireless network technology, and service) that will produce the continued growth of wireless broadband. Using these three factors, we propose a network technology-driven growth model. Based on that model, we offer activation plans for next-generation wireless broadband industries. This study thus provides an insightful perspective for next-generation wireless broadband industries by establishing additional useful guidelines for developing wireless broadband industries in the future.

(1) 신정부의 광학산업 육성정책과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방안-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의 배경과 기본 방향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no.5 s.115
    • /
    • pp.28-30
    • /
    • 2008
  • 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의 기본 방향은 크게 보아 성장잠재력 확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의 전략으로 구별 가능하다. 즉, 총요소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성장동력 확충 전략, 투자의 활성화를 통한 자본축적에 기여하는 친기업환경 조성 전략, 그리고 일자리 창출을 직접적으로 촉진하는 적극적 노동시장 전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신정부 산업경쟁력 강화 정책의 3대 중간 목표는 지식경제화, 설비투자 활성화, 고용창출이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