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 클러스터

Search Result 47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Concept and Range of Industrial Cluster (산업클러스터의 개념과 범위)

  • Kwon, Ohy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2 no.1
    • /
    • pp.55-71
    • /
    • 2017
  • This paper points out the semantic unclearness of the jargon "cluster" and suggests the substitution of "industrial cluster" for "cluster". Industrial cluster is the intersection of industrial agglomeration and cluster phenomenon while the actual concept of cluster includes not only industry cluster but also political administration cluster, science research cluster, art cluster, religion cluster, education cluster, etc. Partially reconstructing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industry cluster, industrial cluster is a geographic agglomeration of interconnected productional businesses in a particular industry, forming close industrial networks. The advantage of the agglomeration includes reducing the transaction cost between the businesses, promo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dispersion, facilitating the utilization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sharing and connecting the external customer. Moreover, this paper discusses the range of the industrial cluster and its distinctness from the other similar concepts. There is a need to discriminate it from the other related jargons and to clarify their relationship. In particular, there is a task to eradicate the mixed usage of industrial cluster with the jargons related to space for learning and innovation.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ructure of the Machine and Material Industrial Cluster in Yeongnam Region (영남지역 기계금속산업클러스터의 형성과정과 구조 분석)

  • Kwon, O-Hye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2
    • /
    • pp.196-218
    • /
    • 2010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structure of the machine and material industrial clusters in Yeongnam region, Korea. In theoretical analysis, it is proposed that the wide area industrial cluster has three type of development process and a duplicate (or multi-level) spatial structure. We can ascertain from the case study of industrial clusters in Yeongnam region that An wide machine and material industrial cluster has been formed in Yeongnam region and the cluster has the duplicate structure or multi-level structure.

  • PDF

지역, 산업, 정책 클러스터의 생성배경과 특성

  • Park, Jae-Su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20
    • /
    • pp.52-59
    • /
    • 2005
  • 국가혁신체계로서 클러스터의 중요성과 더불어, 향후의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클러스터의 지역, 산업, 정책적인 특성을 파악하여서 미래의 발전방향을 파악해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스터는 지역적으로, 산업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정책적 지원을 통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지역, 산업, 정책 클러스터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지역 및 산업 간의 연결과 정책적 촉진(facilitate)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책은 클러스터의 진화에 필요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설정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시장의 자율적 역할이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진화과정에서 시장의 자율 즉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한 시장의 엄격한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

일본의 '산업 클러스터 계획 프로젝트' 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 TAMA 클러스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

  • 류태수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8a
    • /
    • pp.141-167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보다 앞서 실시하고 있는 일본의 산업 클러스터 계획 프로젝트의 거시적인 현황과 가장 성공적이라고 하는 TAMA클러스터의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클러스터 정책 시행에 필요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특히 TAMA클러스터의 성공은 이를 직접 관리하고 있는 민간차원의 중개조직인 TAMA산업활성화협회의 운영전략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봄으로써 도입 가능성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일본의 19개 지역별 산업 클러스터 계획의 공통점은 어느 것도 도도부현의 영역을 초월한 광역적인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광역단위의 집적은 상대적으로 클러스터 계획에 대한 중요성과 실행주체를 망각하기 쉬워 실패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산학연의 3주체 간 연계를 주로 담당하는 민간중심의 중개조직을 두어 운영하고 있다. 둘째, 클러스터 정책기간은 시작에서 자립까지 20년을 상정하고, 제1기 5년간은 산업 클러스터 네트워크 구축기, 제2기 5년은 산업 클러스터 성장기 그리고 마지막 제3기 10년은 산업 클러스터의 자율적 발전기로서 책정되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있다. 셋째, 개별적인 산업 클러스터의 비전, 목표, 중장기 전략의 올바른 수립이 필요한데 백화점식이 아닌 대상산업 및 대상 주체에 대한 선택과 집중의 전략성이 엿보인다. 넷째, 정책 대상의 범위는 연구개발에서 판매에 이르기까지 전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클러스터 관련 정책수행 주체들의 정책조율, 중복 투자의 회피 그리고 효과적인 정책을 시행하기 위하여 수평적인 연락망과 협의체를 구성하고 있다. 다섯째, TAMA협회는 전통적인 동종 산업중심의 협회 기능과는 달리 제품개발형 중소$\cdot$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신기술개발과 신사업 전개를 위한 전략적 지원을 하고 있다. 비교적 개별적인 기술개발 능력은 물론 독자적인 마케팅 능력을 갖고 있어 일반적인 보호 대상자로서의 중소기업과는 차원이 다르며 기존의 하청관계라는 수직적 의존적인 존재가 아니라 세계적으로 니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대기업과 대등한 입장의 우량기업이라는 것이 특징이다. 여섯째, 지금까지는 기업을 지원하는 각 기관들이 각각 독자적으로 운영하여 경영자원의 분산과 이용으로 수혜자인 중견$\cdot$중소기업의 입장은 물론 지방자치단체 및 중앙정부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볼 경우 경영자원의 Critical Mass를 확보하기 어려웠다. TAMA협회는 네트워크 조직으로서 주로 소프트적인 지원을 통하여 원활하게 수행하고 있음. 정보와 네트워크만을 가지고 조직간 관계를 중개하는 가벼운 네트워크 조직으로서 운영하는 방법은 한국의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매우 유용하다고 생각된다.

  • PDF

A Case Study of Regional Industry Clusters : Clusters Estimate Index and Policy (지역산업클러스터 사례연구 : 클러스터 평가지표와 정책과제)

  • Won, Gu-Hyun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8 no.2
    • /
    • pp.197-223
    • /
    • 2005
  • The industrial cluster policy of 21st century rise to the focus method of regional economic promo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tudy in cluster identification and mapping as policy task will bring into relief. This paper will confirms the estimate index and policy of industrial clusters with regional industry. The result in this case study, Cluster development should embrace the pursuit of competitive advantage and specialization rather than simply imitate successful clusters in other locations. This requires building on local sources of uniqueness. Government should reinforce and building on existing and emerging clusters rather than attempt to create entirely new ones. This sort of role for government is very different from industrial policy. The aim of cluster policy is to reinforce the development of all clusters. Not all clusters will succeed, but market forces should determine the outcomes. In other words, government should build on market- oriented system and innovative infr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 to the development of objectivity estimate index and derivation of cluster-focused policy with a case study of industrial clusters.

  • PDF

Evolutionary & Revival of ChunCheon Cultural Cluster (춘천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진화와 회생)

  • Seo, Jeong-Soo;Kwon, Jae-Woo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25
    • /
    • pp.155-175
    • /
    • 2011
  • The cultural cluster in Chuncheon was initiated in the late 1990s with the combination of diverse components, which were companies, a local government entit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uman resources. In order to hold ability of standing on its own way in a hard time when the local cultural industries could not had developed by themselves, it urgently required the encouragement policy in the name of industry development. GIMC (Gangwon Information & Multimedia Corporation) was established in this situation, and policy strategies for promoting the cultural cluster was decided on the basis of GIMC's strategies. This article analyzes the evolution process of the local cluster and suggests characteristics of its every stage--initiation, development, and decline--on the basis of cluster competition concept because of the problem to deal with the evolution process of cluster from the existing viewpoint. This article finds out that Chuncheon cluster embarked on cultural cluster strategies without concerning basic elements which had to be prepared from the initial stage. This problem worked as the serious obstacle hampering development of Chunchen cluster. This problem was the matter of policies in providing a direction of industry development as well as leading a local cultural cluster and led to a result of weakening the connection among cluster components. As a result, this article shows that the current status of Chuncheon cultural cluster is being entered the decline stage, and, therefore, suggests that the advanced policy to promote cluster for a next round is urgently needed. Stable closing the first round of cultural cluster policies and thorough preparation for the second round is the only practical solution to minimize side effects of cluster decline. It is the prerequisite to restore trust and, at the same time, reinforc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who consist of Chuncheon cultural cluster.

경남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의 타당성분석과 발전전략

  • An, Yeong-Su
    • The Journal of Aerospace Industry
    • /
    • s.69
    • /
    • pp.1-27
    • /
    • 2007
  • 항공우주산업은 생산유발효과가 높고 고용창출도 높을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산업이나, 대규모적 투자에 따른 투자 위험과 기술적 위험이 높아 정부차원에서의 개입이 불가피한 산업으로 인식된다. 최근 항공우주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형태는 클러스터 조성, 지방세 감면, 토지 임대를 통한 기업지원 등 과거에 비해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부지원 형태의 다양성은 기존의 전통적 방식에 의한 지원으로는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국제경쟁에서 경쟁력 우위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산업 중심의 정부지원 전략에서 기업중심의 정부지원 전략으로의 선회 경향은 산업의 주체는 기업이기 때문에 기업의 전체적 역량에 의한 경쟁우위가 글로벌 경쟁에서 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경남의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여건은 인프라 구축면에서 여타 지역에 비해 매우 우수한 하부 기반을 구축하고 있어 클러스터 구축에 따른 효율성과 국제경쟁력 확보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먼저, 클러스터 구축의 핵심이 되는 핵심선도기업인 KAI가 15년 전부터 대상지역에서 생산활동 중이며, 교육 및 훈련 기능도 비교적 풍부할 뿐만 아니라 공항도 인접해 있어 신속한 물류 및 정보공유, 해외시장과의 접근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볼 때, 경남지역의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의 타당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현재의 항공우주산업 발전 단계상으로 볼 때, 부품산업의 발전이 긴요한 과제이므로 동 클러스터는 항공우주 부품 수출중심의 핵심 거점 클러스터로의 조성할 필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러스터 조성에 따른 경남 항공우주 클러스터의 운영체계는 “항공우주산업 혁신 클러스터 추진단”을 중심으로 입주 업체, 항공우주 수출 지원단, 관련 R&D 기관 및 교육기관 등이 긴밀하게 연계 되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중앙정부와의 협의 및 관련 단체들과의 연계를 통해 클러스터의 효율성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활동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 PDF

Cluster policies, cluster evolu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old industrial regions (산업집적지의 구조변화와 클러스터 발전방향)

  • Sadler, David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Industrial Cluster
    • /
    • v.2 no.1
    • /
    • pp.1-13
    • /
    • 2008
  • Despite growing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industrial clusters to regional economic success, there has been only limited attention paid to the effectiveness of cluster policies in old industrial regions. Many of these regions still retain functioning industrial clusters, or have clusters which are adopting new strategies as part of a process of regenerat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effectiveness of cluster policies in old industrial regions depends upon the extent to which they recognise the evolutionary nature of industrial clusters. It reviews the literature on the transformation of old industrial regions in Europe, and examines how cluster policies have risen to prominence as a policy tool. These strands ate brought together in an exploration of cluster policies in old industrial regions. A brief case study is presented of the evolution of the steel industry supply chain in north east England. The conclusions focus upon the data requirements that form a starting point for informed policy intervention into presses of cluster evolution.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Industrial Cluster in Korea (한국의 산업클러스터에 관한 실증연구)

  • Jeong, Byeong-Sun;Pak, Rae-Hye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0 no.1
    • /
    • pp.19-4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industrial clusters in Korea. Based on I/O table in 2000, coefficient matrix was calculated an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matrix. Among 38 derived industrial clusters, 5 of them were unreported clusters, which were indistinguishable. Once these 38 industrial clusters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I/O table, final results of clusters were produced as I/O table was converted into KSIC (Korean Standard Industry Code). Since existing studies on industrial cluster have been focused on qualitative methods such as case studies and interview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carry out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methodology.

  • PDF

Design Industry Clusters of Euljiro and Hongdae Area in Seoul - A Creative Industry Cluster Perspective (을지로와 홍대앞 디자인산업 클러스터 비교 연구 - 창조산업클러스터 관점을 중심으로 -)

  • Hee-Ra, Moon;U-Seok, Seo
    • Review of Culture and Economy
    • /
    • v.21 no.3
    • /
    • pp.89-124
    • /
    • 2018
  • Although design industry belongs to one of the creative industries and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urban cultural economy based on its cluster formation, researches on design industry are rarely made explicit from the perspective of creative industry cluster. After reviewing the life cycle of design industry clusters in Euljiro and Hongdae Area in Seoul, this study compares these two clusters with respect of diverse dimensions of creative industry cluster such as agglomeration economy, spin-off activitie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Research methodology includes the analysis of ?Seoul Business Statistics?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14 professional designers. The result shows that design industry cluster in Euljiro is close to the traditional industry cluster mainly dependent on printing industry with very limited impact on urban economy, while Hongdae Area develops creative industry cluster by virtue of university spin-offs, art markets, hybrid cultural consumption spaces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designers contributing to urban economy in diverse ways. This comparative analys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various environmental components to encourage creative activities in developing the creative industry clu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