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혁명

Search Result 2,49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표준통신표준화정책 방향-"민간참여 활성화, 정부는 지원"

  • Jeon, Yeong-Man
    • 정보화사회
    • /
    • s.97
    • /
    • pp.46-48
    • /
    • 1995
  • 정보통신 환경은 너무나 급격히 변하고 있어 소용돌이의 장이라고 불리울 정도다. 농업혁명, 산업혁명을 이어 정보화 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를 몇가지 측면에서 간단히 살펴보겠다.

  • PDF

로봇산업 -- 차세대 IT혁명의 챔피언으로 부상 중

  • Korea Electronic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n Electronics
    • /
    • v.27 no.11
    • /
    • pp.6-15
    • /
    • 2007
  • 디지털 컨버전스의 진전으로 산업현장 뿐만아니라 인간의 삶과 질을 향상시키는 일상의 서비스산업으로 진출하며 차세대 IT 혁명의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로봇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명한다.

  • PDF

Survey of Service Industry Policy and Big Data Analysis of Core Technology in Prepar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서비스산업 정책 고찰과 핵심기술의 빅데이터 분석)

  • Byun, Daeh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8 no.1
    • /
    • pp.73-87
    • /
    • 2018
  •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reparing policies to promote service economy. Recently,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ccelerating, interest in the service industry is increasing. Korea's service industry is among the lowest among OECD countries in terms of employment, value-added and productivity, and it is time to explore new development strategies. The Korean government is establishing a service economic development strategy to promote employment and economic vitality. However,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ervice industry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has to be fused with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s study examines the service industry policy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ursuing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Big data analysis is used to determine the interest rate of the seven major service industries and core technologies for the fourth generation industrial revolution.

A Study on Accelerating Service Economy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4차 산업혁명의 서비스경제화 촉진 연구)

  • Kim, Hyunso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6 no.3
    • /
    • pp.15-27
    • /
    • 2016
  • The current research suggests a new industry and employment structure accelerat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 in-depth analysis on relevant researches and a macro analysis on industry and employment structure change have been performed. Past and present industrial revolutions have been reviewed based on the nature of employment and industry structure. With technological advances and increase in productivity, the services industry has developed during the 1st and 2nd industrial revolutions. Moreover,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more changes are expected within the services industry. A new U-model has been derived and a service economy acceleration model has been suggested.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deriving desirable industry and economic policy.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detailed solution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for service economy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 Insight Study on Keyword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Utilizing Big Data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 키워드에 대한 통찰)

  • Nam, Soo-Tai;Jin, Cha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7.05a
    • /
    • pp.153-155
    • /
    • 2017
  •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베이스에 잘 정리된 정형 데이터뿐 아니라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모바일 환경에서 생성되는 웹 문서, 이메일, 소셜 데이터 등 비정형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말한다. 대부분의 빅데이터 분석 기술 방법들은 기존 통계학과 전산학에서 사용되던 데이터 마이닝, 기계 학습, 자연 언어 처리, 패턴 인식 등이 이에 해당된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들은 빅데이터를 2011년 이래로 최근 가장 주목받는 신기술로 지목해오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산업에서 기업들은 빅데이터의 적용을 통해 가치 창출을 위한 노력을 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 커뮤니케이션의 빅데이터 분석도구인 소셜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2017년 5월, 1개월 시점을 설정하고 "4차 산업혁명" 키워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들을 살펴보았다. 빅데이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 키워드에 대한 연관 검색어 1위는 "후보"가 빈도수(7,613)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관 검색어 2위는 "안철수"가 빈도수(7,297), 3위는 "문재인"이 빈도수(5,183)로 각각 나타났다. 다음으로 "4차 산업혁명" 키워드에 대한 검색어 긍정적 여론 빈도수 1위는 새로운(895)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여론 빈도수 1위는 위기(516)가 차지하였다. 이러한 결과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Challenges of Public Policy Management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제4차산업혁명에 대응하는 공공관리의 변화와 향후 과제: 사회-기술시스템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 Jin, Sang-Ki;Bang, Min-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4
    • /
    • pp.39-47
    • /
    • 2018
  • This paper aim to propose and suggest for government to reinvent and re-steering the policy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Korea. To do it, this paper annalize the advanced country's policies and hard-data sets from many 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s. So this paper emphasized the concept and frame of socio-technical system approach by Geels. According to this approach, this paper can get a conclusion that Korea government has to focus on the roles to solve the big social dilemma with high-tech tools from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is paper point out the necessary of increasing the diversity and multidisciplinary in 4th industrial revolution policy of Korean government. These findings of this paper recommend for Korea to redesigns the governance mechanism and legislation platform and to design the future readiness.

The Impact of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rporations on management Performance (4차 산업혁명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Yoon, Sun-Jung;Seo, Jong-Hyen
    • Korean small business review
    • /
    • v.43 no.1
    • /
    • pp.51-83
    • /
    • 2021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how the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ffects management performance. It also analyze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 in business performance betwe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nd the non-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The samples for analysis were analyzed using in-situ data of 2,543 enterprises classified as technical innovation enterprise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through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s in-house technical evaluation. Variables for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were analyzed using variables such as the size of manpower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leve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the number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ratio of intangible assets, the amount of knowledge properties, the amou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vestment, and the intensiveness degre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erms of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technology innovation competence on business performance, all factors except for the leve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were found to affect business performance, which supported the study hypothesis.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knowledge properties has had a relatively greater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the averag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and the non-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confirmed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nterprises conducted higher values in the business performanc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the Relations between Firms (4차 산업혁명과 기업들의 관계 변화)

  • Jung, Se-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1-367
    • /
    • 2017
  • 4차 산업혁명은 모든 산업 분야에서 제품 및 서비스와 ICT가 융합되어 공급사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혁신을 통해 공급사슬 내 기업들의 관계가 변화하고, 기존 제품 및 서비스와는 차별화된 혁신적인 제품 및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혁신 주체의 공급 사슬 내 역할에 따라 혁신이 기업 및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달라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제조업체와 하나의 유통업체가 존재하는 공급사슬 모형을 가정한다. 이러한 공급사슬에서 1) 제품 및 서비스의 차별화 정도와 2) 혁신의 주체의 공급사슬 내 역할(제조업체 또는 유통업체)에 따라 혁신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선도적 혁신과 관련된 실무적 시사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4차 산업혁명시대의 소비자이슈와 소비자정책

  • Choe, Byeong-Ro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13-421
    • /
    • 2017
  •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하여 대두되는 핵심기술로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3D 프린팅, 블록체인 등을 들고 있다. 과거와 현재는 생산자가 최적의 비용으로 고성능 고품질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4차 산업 혁명 시대는 소비자가 제품의 종류 및 특성, 생산 시점 등 전 과정에 관여하고 상품 자체보다 상품이 제공하는 가치를 중시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소비 트렌드가 변한 것은 AI, IoT, VR, 3D 프린팅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혁명이 지대한 기여를 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서 새로운 유형의 소비자문제도 발생하고 기존의 소비자문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로 사전 예방적인 소비자정책과 사후구제의 소비자정책 모두 새롭게 정립해 두어야 한다. 사전예방적인 소비자정책으로는 (1) 위해방지, (2) 규격의 적정화, (3) 거래의 적정화, (4) 표시광고의 적정화, (5)소비자정보제공의 충실화 및 소비자능력의 향상을 위한 소비자교육의 강화, (6) 개인정보보호의 강화가 필요하다. 사후구제의 소비자정책으로는 (1) 소비자분쟁해결기준의 정비, (2) 피해구제 관련 법률의 제정이나 개정 등이 필요하다.

  • PDF

A Study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Gender Gap (제4차 산업혁명과 성별 격차에 관한 연구)

  • Seo, Jong Goo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1
    • /
    • pp.143-152
    • /
    • 2019
  • Purpose : To analyze how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ffects the gender gap. Method : This study reg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ICT development index, network Readiness index and gender gap in 145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Results : The ICT development index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network readiness index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emale labor participation rate and gender wage equality ratio, indicating that the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creased female participation in labor but the wage gap has been shown to intensify. Conclusion : The results verify the hypothesi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ed by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evolution affects the labor market conditions of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