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업체 수요조사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31초

원자력산업 중견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발 (College-bound Curriculum Developement for Training of Atomic Industry Technician)

  • 유광열;김성수;안성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8권1호
    • /
    • pp.33-44
    • /
    • 2005
  • 국내 원자력 방사선 산업의 높은 성장과 전문 인력 수요의 증가는 기술 발전 단계관점에서 기술 공학자 혹은 중간기술자의 수요 확대를 가져왔다. 그러나 원자력 방사선 기술의 발전과 이용에 비해 전문인력 양성 교육기관은 빈약한 실정이다. 산업체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인력은 초중급 기술인력으로 이들을 양성할 교육기관이 필요하며 이들의 교육 수요를 만족시켜줄 가장 유리한 교육기관은 전문대학이라 하겠다. 따라서 현재 의료분야로 편중된 우리나라의 전문대학방사선과 교육과정을 산업체에서도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개발의 내용과 그 범위는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 교육과정 시행의 대상인 방사선 산업체 관련 인력환경 기초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세부 시행 업무로서 국내의 방사선 산업체 종사자, 전문대학 방사선과 재학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하였다. 두 번째,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서 국내외 방사선 관련 대학들의 사례를 통해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또 이를 위해 국내, 일본, 미국의 방사선 관련 대학의 교육과정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세 번째, 방사선 산업에 필요한 기초 과학 교과목과 방사선 전공 교과목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공학교육 인증원에서 제안하고 있는 원자력, 방사선 관련 교육 프로그램 지침을 참고로 하였다. 네 번째로 정규 교육과정에 필요한 교과목 즉 선택형 교과목을 개발하였는데, 여기에는 교과목 운영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과 정규 교육과정 이외의 심화과정 및 부전공제 운영 모델의 개발이 포함되었다. 연구의 핵심 결과는 방사선 산업체 업무 분야에 적합한 선택형 세부 교육과정을 제안하였는데, 각 대학의 특성과 교육 목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첫 번째는 업무분야별 세부교육과정으로, 방사선 이용분야에 적합한 교과목과 방사선 안전관리 분야에 적합한 교과목을, 두 번째로 업체 유형별 세부교육과정으로 제조업체에 필요한 교과목, 비파괴검사업체에서 필요한 교과목, 판매기관에서 필요한 교과목, 그리고 연구소에서 필요한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교과목을 시행하기 위하여 교과과정 2가지 운영 모델을 제안하였는데, 첫째는 현재 전문대학 방사선과 3년 과정에서 의료분야 전공과 산업분야전공 별로 전공제를 실시하는 방법과 둘째로, 전문대학을 졸업 후 심화과정(1년 과정)에서 산업방사선을 전공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운영모델을 좀더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보다 심도 있는 학제 연구와 더불어 교재의 개발이 전제되어야 하며, 교과운영에 필요한 교수인력, 실습공간, 기자재 등의 재정의 확보 역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 PDF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현장밀착형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on for the activation-type curriculum development site close)

  • 김흥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59-69
    • /
    • 2013
  • 우리나라 20대의 고용률은 57%로 최근 4년래 최저치에 머물고 있다. 대졸자들이 몰려 있는 25~29세의 실질 실업률은 20%를 웃돈다는 분석도 있을 만큼 청년실업 문제는 심각하다. 이에 따라 산학협력 활성화는 이제 이러한 국가현안을 해결해주는 주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향후 정부정책이나 국가지표에서 더욱 관심과 지원을 받게 될 것이 분명해 보인다. 정부는 2012년부터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을 추진함으로써 기업이 요구하는 인력양성, 실제적인 연구개발 및 기술이전을 활성화시키고 대학-산업체-연구기관간의 유기적인 상호연계를 바탕으로 지역대학과 산업의 동반성장을 위해 다양한 산학협력 선도모델을 창출-확산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현장밀착형 인재를 발굴 육성하는데 필수적인 현장밀착형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공학과(부)별 실시한 전공교과과정 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학협력을 확산하기 위한 현장밀착형 교과과정을 분석하고 연차별, 영역별 추진방안을 제안하였다.

RRC 연구과제의 성과 연결을 위한 탐색적 연구 (The exploratory study of link to performance of RRC research topics)

  • 박준병;최종인;김응규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9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산학협력의 일환으로 진행된 RRC 연구과제가 성과로 연결되기 위한 필요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3년간 수행된 67건의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책임자와 참여업체를 연구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산학협력에 대한 이론적 고찰 후, 연구과제의 도출과정과 운영과정을 기술한 뒤, 성과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주요 차원별 구성형태(configuration)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성격은 이론 검증적 연구가 아닌 이론 도출적 연구이며, 이중 탐색적 단계에 해당된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과제제안의 경우 연구책임자 단독보다 업체의 참여가 중요하며, 이는 차후 과제활용도를 높이고 경쟁력제고에 도움이 된다. 또한 운영상 개선할 사항으로 연구부문에서는 연구성과의 응용보완, 산학협동에서는 소재분야의 수요조사와 미래형 소재산업 방향 제시 등이 있으며, 인력양성에서는 배출된 인력의 재교육과 연구원의 산업체 연수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개발 후 일관 기술이전보다 개발과정 중 참여 업체 연구원 참여를 통한 단계적 이전이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공적인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의 구성형태를 살펴보았으며, 이 두 집단을 판별하는 중요한 변수로는 과제 선정시 개발가능성과 기술이전 후의 지속적 기술지원의 고려정도가 있으며, 참여기업의 혜택면에서 기술특허 활용정도와 기술관련 애로 사항 해결여부가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 PDF

누가 '산업체 수요 조사'를 수요하는가? : 추격형 수요기반 공학교육의 역설 (Who demands the Survey of Industry Demand?: Paradox of Demand-Based Engineering Education Under Catch-up Paradigm)

  • 한경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72-82
    • /
    • 2016
  • In Korea, engineering education based on industry demand is highly emphasized; the survey of industry demand or company satisfaction is frequently conducted. Although engineering schools have often attempted and implemented the reform of engineering education, it was found that company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was always low.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cause of the low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social background for the active survey of industry demand and company satisfaction, and its progress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urvey of industry demand in Korea has limitation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or developing its future demand, contrary to its intention. This industry demand based approach has its historical and social root in the Korea-specific model of the catching-up style industry develop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ppropriate academy-industry relations and discover future vision based on this model. This study presents a new way to understand and develop the future-oriented industrial and social demand, not just arguing for the uselessness of the survey of industry demand in engineering education.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잠재적 수요처 파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tential Industries in Demand for Sustainable Water Resources Technologies)

  • 정다연;김현경;허은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72-1376
    • /
    • 2006
  • 기술개발자 혹은 기술공급자의 예측에만 의존하는 기술의 가치 추정은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될 우려가 있으며, 정확한 기술가치평가를 위해서는 공급측면에서의 분석과 함께 수요측면에서의 가치평가가 요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술을 사용하게 될 잠재적 수요처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술의 잠재적 수요처 파악을 통해 기술개발자들은 수요산업에 보다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여 기술 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부가 시행하는 21C 프론티어 사업의 2단계 주요사업으로 선정된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에서 개발 중인 기술의 수요처 선정을 위한 준비 단계로써 공급지장비용 분석을 포함한 산업연관분석을 사용하여 수자원의 확보 또는 공급지장에 따른 산업부문별 파급효과를 산출하였다. 파급효과의 산업부문별 순위는 용수의 재분배 우선순위의 주요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으나, 공공재인 수자원의 특성과 산업의 특성에 따른 현실적인 제약조건들을 고려해볼 때 직접적으로 기술의 수요처라고 보기는 어렵다. 하지만 파급효과의 순위에 따라 기술의 수요가 발생했을 때 기술의 최대가치가 실현됨은 자명한 사실이며, 개별기술에 대한 사례연구 시에 수요산업의 대략적인 틀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술개발자들이 수요처에 대한 인식을 보다 명확히 함으로써, 정부와 산업체를 통해 실용화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결과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수도산업의 수요측면 공급측면 파급효과가 산출되었고, 수도의 공급지장으로 인한 파급효과의 순위는 농림수산품 음식료품 제1차금속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별기술의 달성가능한 최대가치가 산출되고, 개별기술의 사례연구 시에 설문대상 산업이 선정되어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수요처 선정을 위한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 수 있었다. 인공순환에 의한 저감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조사 기간중 H호의 현존 식물플랑크톤량의 $60%{\sim}87%$가 수심 10m 이내에 분포하였고, 녹조강과 남조강이 우점하는 하절기에는 5m 이내에 주로 분포하였다. 취수탑 지점의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 PDF

철도수요예측을 위한 직접수요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Direct Demand Estimation Model for Forecasting of Railroad Traffic Demand)

  • 김효종;정찬묵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66-2178
    • /
    • 2010
  • 현재 철도계획에 이용되고 있는 교통수요예측 지역간기종점(OD)자료는 국가교통데이타베이스(KTDB)를 이용하고 있다. KTDB의 자료는 우리나라 지역간 총통행량을 조사한 후 도로, 철도, 항공등으로 배분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하고 있다. 그러나 철도의 경우는 철도역이 기존의 존과 일치하지 않거나 1개존에 다수의 철도역이 존재하여 Connector가 연결되지 않아 적용 방법상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KTDB를 이용한 철도부분의 교통예측은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신뢰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검토 분석하고,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집계모형(Aggregate Model) 기법을 활용한 철도의 교통수요예측 방법(직접수요추정 : Direct Demand Estimation)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집계모형에 지역간의 인구, 거리, 산업체종사자수, 자동차대수, 도로연장등 사회경제지표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철도분야 수요예측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

캐릭터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2년제 전문교육을 중심으로 (A Study of Development a Curriculum for Character Designer -Focused on Two-Year Course Work of College Education)

  • 김용우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231-244
    • /
    • 2004
  • 직업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은 학생이 졸업 후 취업 가능한 직종과 고용기회, 이들 직업에 종사하는데 필요한 능력이 어떤 것인가를 근거로 계획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직업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계획에서 교육내용을 선정하는 과정에는 전공분야와 관련된 산업체 관련인사의 참여와 산학협동을 통한 밀접한 관계 유지를 통해 지속적이며 점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교육의 교육과정이 취업을 준비하기 위한 것이라면 교육과정의 초점이 고용에 맞추어야하며, 이러한 직업교육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대학과 산업체(특히 지역산업체)간 관련 자료가 종합적으로 수집.분석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이 계획되어야 한다. 지역사회와 관련된 자료는 산업체별 인력수요 전망,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특히 앞으로 전망이 밝은 취업 가능 직종 등을 고려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과 기존 교육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내용 (기술의 변화, 실험.실습시설의 형태, 계속 교육의 유형 등)이 객관적으로 조사.분석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애니메이션 산업의 발달과 멀티미디어 시장의 확대로 더욱 역할과 기대가 증대하고 있는 캐릭터산업에서 종사할 캐릭터디자이너를 전문 육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개발하여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문제 시 되어 왔던 교육과 현장 실무의 괴리를 줄여 산업체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함에 목적이 있다.

  • PDF

융합기술교육에 대한 산업체 수요조사 : 나노, 바이오, 로봇,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Industrial Needs Investigation on Technological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the Field of Nano-tech, Bio-tech, Robot, and Design)

  • 진성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8-27
    • /
    • 2017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dustry needs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eld of nano-technology, bio-technology, robot, and design. Firstly, the area of convergence technology in nano-tech, bio-tech, robot, and design fields was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The areas were validated by the experts review who consisted of four industry experts and four professors in the relevant fields. Second,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industry's needs on convergence education.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parts: 1) awareness of necessity for convergence education, 2) the needs for convergence new technology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dustry, and 3) opinions on convergence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validated by three engineering education experts. Thir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cooperation with the Sector Council of Industrial Resources. A total of 400 respon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98 in the nano-technology field, 74 in the design field, 58 in the robotics field, and 170 in the bio-technology field. Fourth the industry needs for converg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guideline for developing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GIS 전문인력 양성실태 및 정책방향 연구 (A Study on Present Condition and Policy Direction of GIS Education)

  • 사공호상;임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5-44
    • /
    • 2002
  • GIS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는데 비해서 GIS 기술과 활용방법을 배울 수 있는 교육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이에 따라 공공부문에서는 GIS 응용시스템의 경제적 이용가치가 낮고 산업체에서는 GIS 전문인력을 구하는데 애를 먹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GIS 분석기술이 다양한 분야로 보편화되면서 GIS에 대한 개념과 기술을 배우려는 교육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과 민간 그리고 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GIS 교육의 실태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GIS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공공과 민간 대학의 열악한 교육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는 국가차원의 계획적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다.

  • PDF

부산 해운 비즈니스 클러스터 집적화 단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hipping Business Cluster Complex in Busan)

  • 신용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823-831
    • /
    • 2010
  • 부산의 해운비즈니스 산업은 항만물류 중심으로 영세하며, 지역적으로 분산되어 산업시너지를 창출해 내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부산의 해운비즈니스 산업을 집적화하고 고부가가치 해운서비스 산업을 부산에 유치하기 위한 해운비즈니스 클러스터 집적화 단지의 조성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집적화 단지의 조성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부산 및 수도권의 해운비지니스업체를 대상으로 집적화 단지의 수요를 조사하여 부산신항 중심의 명지지역에 부산 지역의 산업체와 행정기관 및 교육연구기관의 이전 집적화와 국내외 산업체 및 관련기관을 유치하는 집적화 조성 전략을 제시하고 집적화 단지의 경제적 기대효과를 산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