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체

Search Result 1,402,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Operational Method for Advanced Course to Confer Bachelor's Degree through Student Preliminary Investigation (재학생 사전조사를 통한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 운영방안 연구)

  • Kim, Kyong-Ah;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1a
    • /
    • pp.199-200
    • /
    • 2018
  • 현재 전문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공심화과정은 산업체 경력이 있는 전공심화과정과 산업체 경력이 없는 전공심화과정으로 구분된다. 산업체 경력이 없는 전공심화과정은 기존의 산업체 경력이 있는 전공심화과정과는 달리 현재 전문대학 재학생들이 가장 중요한 입학대상자이다. 따라서 산업체 경력 없는 전공심화과정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수립하기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전공심화과정에 대한 재학생 특성 파악 및 의견 조사 분석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경력이 없는 전공심화과정에 대한 재학생 사전조사 및 분석을 통해 산업체 경력이 없는 전공심화과정의 운영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Research on the Workers' Awareness and the Status of the Current Working Conditions in Domestic IT and Non-IT Industries (국내 IT 비IT산업체 근로조건 실태 및 근로자 인식조사 연구)

  • Moon, Tae-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9
    • /
    • pp.225-238
    • /
    • 2012
  • This research measured the current working conditions and workers' awareness of their working conditions in both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non-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Furthermore, the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ertaining industries and age, sex, and job status of the worker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us of the working conditions and awareness of domestic workers in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necessary data to establish the policy that guides ramifications to the current problems to restore the fame that Korea earned as one of the top information technology countries, and that requires a thorough paired comparison analysis between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The paired comparis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generally have had much worse working conditions than non-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This research also verified that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have scored low on the satisfaction to the average working hours, employee welfare, social perception by other industries, the degree of anxiety, and the growth potential compared to the non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ies. Data collected during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a sense that it provides basic yet crucial information that encourages the policies that are in favor of information technology employees to be adopted. The fact that there is a tacit skepticism in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mo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workers supports the adoption of better policies that will improve not only working conditions but also find the solutions to eliminate the sources of insecurity of the retire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Suggestions of HACCP implementation for small and mid-sized food business (중소규모 식품산업체를 위한 HACCP 적용 방안)

  • Won, Jun
    • Safe Food
    • /
    • v.1 no.4
    • /
    • pp.44-49
    • /
    • 2006
  • 식품관련 질병의 증가, 식품산업의 거대한 성장과 제품, 생산과정의 다양성 등으로 식품안전성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식품위생 시스템에 기초한HACCP을 확대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HACCP은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식품의 생산단계에서 발생 가능한 위해 요소를 사전에 관리하는 과학적 관리시스템이다. 국내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규모 식품산업체는 현실여건상 HACCP을 적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규모 식품산업체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HACCP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미국, 일본, 캐나다, EU, 한국의 HACCP 현황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미국, 일본, 캐나다, 영국의 중 소규모 식품산업체를 위한 지원방안을 조사하였다. 국외의 경우기업체의 크기 등에 따라 차등화 된 유예기간을 적용하거나, HACCP 적용을 위해 재정상의 보조금 지급, 교육, training, 의사소통 등으로 식품산업체에 HASCP적용을 지원하고 있었다. 설문 방문조사를 통해 국내 중소규모 식품산업체에서의 실태 및 HACCP 적용의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재정상의 어려움, 전문인력의 부족, 경영자의 위생인식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토대로 유예기간 지정으로 그 문제점을 개선하는 한시적 간소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식품의 안전성은 기업의 크기와 상관 있는 것이 아니라 operation과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중소규모 식품산업체도 대기업과 같은 식품위생기준을 적용하여 관리하여야한다. 따라서 HACCP 적용의 일정 기간의 유예기간를 두고 경제적 지원과 지도 교육, HASCP 원칙 중기록 및 검증의 단순화, 전문 인력의 양성 등을 통해 그 기간 후에는 중소규모 식품산업체에 HACCP 적용을 용이토록 하는 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ole of Industrial Mentors According to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산업체 멘토의 역할에 대한 연구)

  • Lee, Juhyeon;Park, Hyung Ku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4 no.2
    • /
    • pp.104-109
    • /
    • 2012
  • Cooperative education, a new paradigm of education, is a educational method of combining classroom-based education with practical work experience. To obtain appropriate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work period, industrial mentors who provide beneficial advice and instruct students, are needed. Industrial mentors, basically, performs various roles in helping students to make the experiential learning efficiently, and the scope of their role is broad. In this paper, we classified the role of industrial mentors, proposed appropriate operating models and described the detail of their responsibilities.

  • PDF

A Study on the industrial Work Force Training to Improve the National Competitive Power in the Electric Power IT Field (전력IT산업분야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업체 인력양성 방안에 관한연구)

  • Kim, J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1a
    • /
    • pp.363-365
    • /
    • 2008
  • 국가는 전력IT 산업의 융복합화를 통하여 국제경쟁력 재고 및 국가 성장 동력으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전력IT 10대 연구개발 과제와 인력양성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전력IT 인력양성사업은 크게 산업체의 인력을 양성하는 사업과 대학의 저변인력을 양성하는 사업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체의 재직 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교육프로그램과 산업체 수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rofessor's Industrial Training Operation of the Project Enhancing the Universities Competency(PEUC) (교육역량강화사업에 의한 교수 산업체연수 활성화 방안)

  • Yang, Ok-Y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307-31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전문대학 교육역량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교수의 산업체현장연수가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산학협력활동 중에 교수의 산업체현장에서의 재교육 차원의 연수는 학생들의 취업, 현장실습, 교수의 연구활동, 기술지도 등 지역대학의 내실을 기하고 경쟁력 기반구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속적인 교수 산업체현장연수를 통해 전문대학 학생의 수업 만족도 및 현장적응능력을 향상시켜 현장중심교육으로 접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iciency Analysis of Defense Industry Company Using DEA and Super-SBM (DEA와 Super-SBM을 이용한 국내 방위산업체 효율성 분석)

  • Baek, Ji-Hy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8
    • /
    • pp.130-139
    • /
    • 2020
  • The defense industry is a future-oriented industry, in which high-tech technologies are concentrated. In addition, it is a key industry for maintaining national security, and the R&D of the defense industry is very important. With the introduction of a competitive system by defense industry companies, the necessity of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defense industry companies is emerging. In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the defense industry was measured using the CCR and BCC model. In addition, super efficiency was derived using the Super-SBM model. For this study, the 2019 defense industry management analysis data of the Korea Defense Industry Association (KDIA) was used,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sett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and investments of domestic defense industry companies as the input variables and sales as the output variable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fense industry's R&D efficiency will be grasped, which will help establish a policy for fostering the defense industry in the future.

Directions of Convergence Technology Education related to New Industry Field through Analysis of Industrial Needs (산업체 요구분석을 통한 신산업 융합기술교육의 방향)

  • Jin, Sung-He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8
    • /
    • pp.105-113
    • /
    • 2019
  • Convergence education, which is operated by many engineering colleges, is mainly led by government-led projects. Convergence majors ar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field of the university professors rather than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needs of th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s of convergence technology education related to new industry fields by analyzing industry needs. Participants were 299 industrial workers in various fields. Instrument consisted of three parts: necessity for convergence education, demand for convergence new technology education from industry perspective, and opinions about undergraduate convergence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industry needs for fusion technology education was high,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IoT convergence, bio-health, advanced new material, and renewable energy fields among convergence technology field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industry demand for convergence new technology education were presented. The suggestions for expectations, problems, and improvements in undergraduate education were presented and implications for convergence technology education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ESCO Case - 산업체 에너지절감 Case Study

  • Choe, Dong-Gyu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77
    • /
    • pp.28-39
    • /
    • 2012
  • 산업체 에너지소비량은 전체 에너지소비량의 60%에 육박하고, 이들 산업체 대부분의 업종에서 '요' 및 '로'를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한다. '요' 및 '로'는 열에너지 사용량이 매우 많은 설비일 뿐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 송풍기와 같은 전기에너지와의 상호 연계성이 높아 이에 대한 개선을 통해 열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동시에 절감할 수 있다.

  • PDF

KRISS 진공재료의 탈기체 측정장치 소개 및 시험의뢰된 재료 분포에 산업체 경향

  • Seong, Dae-Jin;Im, In-Tae;Sin, Y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103-103
    • /
    • 2011
  • 고진공의 바이러스격인 탈기체의 속성과 KRISS에서 보유중인 탈기체의 측정장치들의 각 특징들을 소개한다. 또한 산업체에서 시험 의뢰한 재료 종류 분석을 통해 산업체의 동향을 간접적으로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