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업용 IoT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산업용 IoT 환경을 위한 고성능 키-값 저장소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a High-performance Key-value Storage for Industrial IoT Environments)

  • 한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27-133
    • /
    • 2021
  • 산업용 IoT 환경에서 센서들은 감지하고 있는 대상의 데이터들을 연속으로 생성하며, IoT 게이트웨이에 전달한다. 따라서 대량의 실시간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은 IoT 게이트웨이에 필수적인 기능이며 이러한 센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키-값 스토리지 엔진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IoT 게이트웨이에 사용되는 키-값 스토리지 엔진들은 산업용 IoT 환경에서 생성되는 센서 데이터들의 특징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이 때문에 제한된 성능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용 IoT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특징을 활용하여 키-값 스토리지 엔진을 최적화한다. 제안하는 최적화 기법은 키-값 스토리지 엔진의 입력인 키를 분리하여 계층적인 색인화 작업을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과도하게 발생하는 쓰기 증폭을 줄이며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최적화 기법을 LevelDB에 구현하였으며, 제안하는 기법을 평가하기 위해 TPCx-IoT의 워크로드를 사용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제안하는 기법의 성능은 기존의 방법보다 21배 더 좋으며 이는 제안하는 기법이 산업용 IoT 환경에서 데이터 수집을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음을 보인다.

산업용 밸브의 위험요소 분석을 통한 IoT 기반 안전관리 방안 개발 (Development of IoT-based Safety Management Method through an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Industrial Valves)

  • 김정훈;김영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5-43
    • /
    • 2019
  • 플랜트시설의 핵심부품인 산업용 밸브에 대한 기존안전관리는 인력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점검 영역이 넓고 시설물의 특성상 제한된 접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다. 플랜트 시설의 수많은 산업용 밸브에서 누출 및 고장 발생 시 생산중단, 독성물질 및 가연성 가스의 누출 및 폭발로 인한 인명피해, 사고 위치 파악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기 때문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 및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IoT 기반 무선통신을 통한 산업용 밸브의 안전관리 및 액츄에이터 제어 시스템 개발 내용 중에서 위험요소 예측기술 개발과 관련 된 내용이다. 밸브의 구조적 특성 분석을 하고 고장데이터, 문헌 등으로 부터 주요 위험요소 분석, 위험요소 원인분석 및 사고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주요 위험요소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IoT 기반 산업용 밸브의 안전관리 기법을 개발하였다.

산업용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s in Industrial Internet-of-Things Networks)

  • 강호용;박미룡;이승식;신창섭;박찬원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5호
    • /
    • pp.92-102
    • /
    • 2021
  • Owing to various restrictions in-field application, the low-speed, low-power-based industrial Internet-of-Things (IoT) network built in extremely harsh industrial environment sites requires multi-hop, channel hopping, and low-latency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In the past, wired networks were used in industrial facilities; however, network technologies based on the Industrial IoT Network standard standardiz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such as WirelessIO link, WirelessHART, SmartMesh, and eStar Link satisfy industrial requirements. Recently, the use of industrial IoT networks in industrial facilities has rapidly expanded. This paper covers the developments in industrial IoT network technologies and summarizes the major industrial IoT standard technologies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industrial sites.

해상/산업용 IoT를 위한 Edge Device 설계 (Design of Edge Device for Marine/Industry IoT)

  • 이성렬;임춘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6-678
    • /
    • 2021
  • 본 논문은 해상 및 산업용 IoT 서비스를 위한 에지 기기의 설계에 대해 설명한다. 에지 기기는 IoT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여 외부 망을 전달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고, 통신 방식은 사용 LoRa와 LTE Cat.M1을 적용하였다.

  • PDF

MEC 산업용 IoT 환경에서 경매 이론과 강화 학습 기반의 하이브리드 오프로딩 기법 (Hybrid Offloading Technique Based on Auction Theory and Reinforcement Learning in MEC Industrial IoT Environment)

  • 배현지;김승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2권9호
    • /
    • pp.263-272
    • /
    • 2023
  • 산업용 IoT는 대규모 연결을 통해 데이터 수집, 교환, 분석과 함께 산업 분야의 생산 효율성 개선에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최근 산업용 IoT의 확산으로 인해 트래픽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해줄 할당 기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용 IoT 환경에서 성공적인 태스크 처리율을 높이기 위한 2단계 태스크 오프로딩 결정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컴퓨팅 집약적인 태스크를 셀룰러 링크를 통해 이동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서버로 오프로드 하거나 D2D(Device to Device) 링크를 통해 근처의 산업용 IoT 장치로 오프로드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오프로딩(Hybrid-offloading) 시스템을 고려한다. 먼저 1단계는 태스크 오프로딩에 참여하는 기기들이 이기적으로 행동하여 태스크 처리율 향상에 어려움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설계한다. 메커니즘 디자인 중 McAfee's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태스크를 처리해주는 기기들의 이기적인 행동을 제어하고 전체 시스템 처리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 후 2단계에서는 산업용 IoT 장치의 불규칙한 움직임을 고려하여 비정상성(Non-stationary) 환경에서 멀티 암드 밴딧(Multi-Armed Bandit: MAB) 기반 태스크 오프로딩 결정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로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다른 기법에 비해 전체 시스템 처리율, 통신 실패율, 후회 측면에서 더 나은 성능을 달성할 수 있음을 보인다.

산업용 IoT 네트워크 기술의 진화: 과거, 현재, 미래 동향 (Evolution of Industrial IoT Network Techn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Trends)

  • 박태준;김은희;차재선;이계선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8권3호
    • /
    • pp.20-28
    • /
    • 2023
  •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mainly been used to fulfill the demands of industrial sites at which performance is not a critical concern. However, ongoing discussions and efforts are now focused on securing cor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enable the transformation or expansion of wired industrial IoT (Internet of Things) network technology into a flexible and dynamic smart manufacturing system.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current wireless industrial IoT network technology and the recent wireless time-sensitive networking technology. It outlines the challenging level of reliability requir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o coexist with or replace its wired counterpart in future smart manufacturing systems. Additionally, we introduce ultra-reliable time deterministic network as the core technology of wireless industrial communications and focus on its reliability and delay characteristics.

산업용 사물인터넷에서 포그 컴퓨팅을 위한 인지 IoT 플랫폼 조사연구 (Research study on cognitive IoT platform for fog computing i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 홍성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9-75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의 맥락에서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 FC)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혁신적인 인지 사물인터넷(Cognitive IoT)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 IoT 플랫폼의 복잡한 설계 및 기능적 아키텍처에 초점을 맞추고, 이 아키텍처는 서비스 제공, 인지 의사결정, 분산 모니터링 및 제어와 같은 핵심 구성 요소를 원활하게 통합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플랫폼의 중요한 측면은 기계 학습(ML) 및 인공 지능(AI)을 통합하는 것으로, 다양한 산업 애플리케이션에서 운영의 유연성과 상호 운용성을 향상시켜 실시간 기계 상태 모니터링에 중점을 둔 예측 유지보수-서비스(Predictive Maintenance-as-a-Service, PdM-as-a-Service) 모델을 통해 제시된다. 이 모델은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유지보수 및 관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전통적인 유지보수 접근법을 뛰어넘고, 실증적 결과는 포그 컴퓨팅 환경 내에서 플랫폼의 효과성을 입증하며, 산업용 IoT 애플리케이션 분야에서의 변혁적 잠재력을 보여 IIoT 플랫폼 개발에 기여 하는 연구이다.

산업용 IoT 환경에서 MEC 기반의 에너지 효율적인 오프로딩 결정 알고리즘 (Energy-Efficient MEC Offloading Decision Algorithm in Industrial IoT Environments)

  • 구설원;임유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0권11호
    • /
    • pp.291-296
    • /
    • 2021
  • 사물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하여 수많은 디바이스가 생겨나고, 큰 계산 자원을 요구하는 태스크들이 많이 발생된다. 이런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Mobile Edge Computing(MEC)는 지리적으로 사용자와 근접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MEC 서버로의 태스크 오프로딩은 제한된 배터리 수명과 계산 능력을 갖고 있는 디바이스에게 효율적이다. 본 연구는 높은 신뢰도를 요구하는 산업용 IoT 환경을 가정하였다. 많은 디바이스와 여러 MEC 서버와 같은 환경으로 최적화에 있어서 복잡성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두 개로 나눠 해결한다. MEC 서버의 큐 상태를 고려하여 큐의 제한 길이를 충족하는 MEC 서버를 선택한 뒤,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뢰도를 고려하면서도 에너지 소모량을 최적화하는 오프로딩 결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하여 에너지 소모량과 신뢰성 측면에서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이 효율적임을 분석하였다.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위한 캐시 적중률 기반 파워 소모 모델 (A Cache Hit Ratio based Power Consumption Model for Wireless Mesh Networks)

  • 전승현;서용준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69-75
    • /
    • 2020
  • 산업용 IoT는 비용 효율적이고 넓은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 관심이 많았다. 하지만, 무선 메쉬 네트워크는 멀티홉 환경의 심각한 성능 절하를 겪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메쉬 라우터에 캐시를 장착하는 연구가 많았으나 캐시 파워 소모 모델 연구는 적었다. 최근 캐시 파워 효율 기반 모델은 캐시까지 콘텐츠 전달 파워를 모두 측정했기 때문에 무선 메쉬 네트워크에서 쓰기에 부적절합니다. 본 논문은 CPU의 동작속도가 캐시 크기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캐시 적중률 기반 파워 소모 모델을 제안하고, 기존 캐시 파워 효율 기반 소모 모델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측정되었다. 제안된 캐시 적중률 기반 파워 소모 모델은 산업용 IoT에서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할 시 에너지 효율적인 캐시 운용을 위한 참조 모델로 활용되길 기대합니다.

TTA와 함께하는 ICT표준자문서비스 - 화승엑스윌, 4차 산업혁명으로 내딛는 첫걸음

  • TTA 표준화본부 표준진흥단
    • TTA 저널
    • /
    • 통권177호
    • /
    • pp.116-119
    • /
    • 2018
  • 2007년 화승그룹, R&A에서 분사한 (주)화승엑스윌은 컨베이어 벨트, 산업용 유압 호스, 특수물, 시트 등의 산업용 고무제품과 철도 장비 등을 제조 도매한다. 특히 해양 방현재의 설계 및 제작 기술도 보유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포스코,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해양수산부 등을 해외에서는 SUMITOMO, TEXCEL, TRELLEBORG 등을 주요 거래처로 하는 중견기업이다. (주)화승엑스윌은 세계적 대세를 따라 기존의 컨베이어용 벨트를 IoT 융합형 스마트 컨베이어로 업그레이드하고자 했고, 개발 기술의 표준화도 염두에 두었다. 그러나 제조업 기반 기업으로서 표준 IoT 관련 전문성은 외부에서 구할 수밖에 없었다. 주변의 추천으로 TTA 자문서비스를 신청한 (주)화승엑스윌은 현재 IoT 표준 제품의 개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정부 과제 참여를 검토 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