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단지하수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n effect of heavy metal and Retention time to nitrification using industrial wastewater (중금속과 체류시간이 산업단지하수 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 Im, Jiyeol;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0 no.4
    • /
    • pp.390-397
    • /
    • 2018
  • The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MWTP), located industrial estate, has a problem of decreasing nitrification efficiency. In this research, it was analyzed that effect of heavy metals and retention time to nitrification based on operational result of laboratory scale reactors. And suggest improving MWTP operation method for increasing nitrification efficiency based on findings. According to operational result, laboratory scale reactor shows over 60% nitrification efficiency over hydraulic retention time(HRT) 0.5 day. However, the nitrification efficiency of S MWTP(high heavy metal concentration) sample was lower than that of A MWTP(low heavy metal concentration) sample in same operational condition. The main reason was heavy metals in industrial wastewater. This heavy metals was acted as inhibitor to nitrifier in reactors. So, activity of nitrifier was analyzed based on specific nitrification rate(SNR). The SNR of S MWTP sample shows 0.13 ~ 0.21 mg NH4/gMLSS/hr and that of A MWTP sample shows 0.74 mg NH4/gMLSS/hr. As a result, the activity of nitrifier of S MWTP was lower than that of A MWPT. In other words, retrofit methods for improving nitrification efficiency in MWTPs located industrial estate were that to increase retention time in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or to pretreat heavy metal before being injected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Analysis on Nitrogen Faction of Influent Sewage in Domestic STP Based on Long-term Incubation Method (장기 배양법을 이용한 국내 하수처리장 유입 하수의 질소 성상 분석)

  • Im, Jiyeol;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2
    • /
    • pp.216-222
    • /
    • 2017
  • Recently, opinions on the need for revision regarding the nitrogen effluent standard of nitrogen from sewage treatment plant(STP) are consistently suggested. However, it is axiomatic that if nitrogen effluent standard is strengthened without a clear basis, it will cause confusion in domestic STP. In this research, nitrogen fraction was analyzed based on a long-term incubation method, according to STP capacity, and the linked treatment of industrial wastewater. As a result, NBDDON, which is difficult to treat in STP, ranged from 1.0 to 1.9 mg/L. larger DON and NBDDON/DON was detected in small STP (under 10,000 m3 /d) as opposed to the large STP. NBDDON/DON in industrial STP was about 0.7 and it was higher than municipal STP. This research result will be used in the important raw data for revision of nitrogen effluent standard of nitrogen from STP.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Bukpyeong Industrial Complexes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 Park, Woon Ji;Shim, Jung Min;Choi, Yong Hun;Lee, Gwan Jae;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25-425
    • /
    • 2021
  •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6,500톤/일)의 가동률은 30% 이하로 매우 저조하며, 폐수배출업체는 29개소로 그 수가 적어 배출오염부하량 비율에 따른 처리비용이 일부 업체의 경우 과도하게 부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입주업체 운영비용 부담을 저감하기 위해 해당 지자체에서는 운영비용의 65% 이내에서 일정금액을 지원하고 있으나, 동일업종에 대한 원인자비용부담금 비율의 경우, 동해시 A업체는 30.18%로 타 지역 B업체의 4.83%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자체 지원금을 제외한 순수 처리부과금의 경우 A업체가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전체 운영비 절감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현황을 검토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운영시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법률 및 계획등을 검토한 결과, 북평산단 지역은 하수처리 구역이 아닌 공공폐수처리구역으로 산업폐수의 공공하수도처리시설 연계처리 지침에 따라 인근 공공하수처리시설과의 연계처리가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가동률이 저조한 처리시설에 대해서는 시설개선을 통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현 처리시설의 공정개선을 통한 운영비 절감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현재 생물 반응조 후단에서 운영 중인 가압 부상조에 새로운 배관을 설치하여, 최초 침전지 유출수를 가압부상조 처리 후, 생물 반응조로 유입하고, 최종 침전 후 총인을 제어 할 수 있는 약품투입 시설을 설치하는 공정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생물 반응조 이전에 가압부상조를 설치하고, 후단 가압 부상조 미운영시 공정개선 전·후에 따른 총 슬러지 발생량은 24.2%, 탈수케익 처리비용은 27.6%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산정되었으며, 전체 처리시설에 대한 총 운영비 감소율은 13.4%로 분석되었다.

  • PDF

광양만의 유기물 증가 환경에서 주요오염원과 오염원의 영향권

  • Lee, Yeong-Sik;Gang, Chang-Geun;Choe, Yong-Gyu;Lee,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69-272
    • /
    • 2006
  • 유기물 증가에 미치는 환경인자를 중심으로 그 수평분포 특성, 원인, 주요오염원의 영향권에 대하여 검토하기 위해 표층 해수와 표층 퇴적물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물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주요 오염원은 크게 섬진강과 동천 등의 담수, 광양시 생활하수, 여수산업단지로 크게 나누어볼 수 있었다. 해수와 퇴적물의 환경인자에 대한 수평분포 특성과 해수의 흐름 등을 고려하여 이들 주요 오염원의 영향권을 구분한 결과, (I) 섬진강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 (II) 광양시와 동천의 영향이 큰 해역, (III) 여수 산업단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으로 나누어졌다. 그리고, 오염원의 영향권별 수질환경인자의 특성으로는 섬진강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은 낮은 염분, 높은 농도의 $NO_3$-N과 $SiO_2$-Si, 담수와 생활하수의 영향이 큰 해역은 낮은 염분, 높은 농도의 $NO_3$-N, $NH_4$-N, $SiO_2$-Si, 여수 산업단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해역은 표층해수의 경우 높은 수온, 높은 농도의 $NH_4$-N과 $PO_4$-P, 퇴적물의 경우 높은 농도의 $NH_4$-N, $PO_4$-P, $SiO_2$-Si로 특징지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Analysi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nitrification using industrial wastewater with high Nikel concentration (고농도 니켈을 함유한 산업하수의 질산화율 분석 및 개선 방안)

  • Im, Jiyeol;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501-507
    • /
    • 2017
  • The heavy metal such as Nikel (Ni) in industrial wastewater is one of the major reasons of decreasing nitrification efficiency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MWTPs). In this study, laboratory scale reactors were operated in order to analyse of nitrification efficiency and improvement measures. As a result, nitrification efficiency during high Ni concentration (0.295 mg/L) was about 20%. However nitrification efficiency during low Ni concentration (0.114 mg/L) was over 70%. The changes of the micro-organism activity according to Ni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as being the major reason behind the gap of nitrification efficiency through analysing AUR and SNR. Increasing the HRT in high Ni concentration also increased the nitrification efficiency. Thus, maintenance of microorganisms and increasing the HRT in nitrification reactors suggests that measures taken to treat wastewater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gh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Ground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llution Concerned Area in Gyeongnam Using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지하수수질측정망 자료를 활용한 경남 오염우려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

  • Cha, Suyeon;Seo, Yang Gon
    • Clean Technology
    • /
    • v.27 no.2
    • /
    • pp.174-181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ground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and quarter (season) by using data from the pollution exclusive monitoring network in the Gyeongsangnam-do area for five years (2013-2017).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was the industrial complex areas, waste mines, an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e analysis items were field measurement items (water temperature, pH, electrical conductivity, dissolved oxygen, oxide reduction potential), positive ions, and negative ions. Water temperature and pH did not vary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In industrial complex areas, the value of electrical conductivity was the highest, and dissolved oxygen value was the lowest. The mean concentration of positive and negative ions was the largest in industrial complex areas, followed by sewage treatment facilities and waste mines. It was shown that the concentration of sodium ion was the highest in industrial complex areas and calcium ion in waste mines and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he concentration of bicarbonate ion was the highest in all main sources of pollution. Water temperature, pH, and concentrations of cations and anions did not vary significantly from quarter to quarter. Of the water quality types, the Na-HCO3 typ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but the Na-Cl type, which has a high possibility of external contamination, accounted for about 20% of the total data in the pollution exclusive monitoring network.

A study on Estimation of Nonpoint Pollution Loads in the Industrial Site of Urban Area (도시유역 공업단지의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

  • Shon, Tae-Seok;Kim, Mi-Eun;Joo, Jae-Seung;Shin, Hyun-Suk;Yoon, You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7-201
    • /
    • 2011
  • 공공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해 그동안 하 폐수 처리장 등 친환경시초시설의 건설과 하수관거의 확충으로 점오염을 통제해왔으나, 여전히 하천, 호소, 연안의 수질은 목표 수준까지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점오염원 삭감에 따라 상대적으로 비점오염원의 수질오염 기여도는 증가하고 있다. 비점오염물질은 도로상 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지표상 퇴적오염물질, 농지에 살포된 농약, 축사에서의 유출물 등이 강우시 빗물과 함께 유출되면서 발생한다. 특히, 도시지역에는 대 소규모 공단들이 밀집되어 있기 때문 발생되는 비점오염물질의 특징은 단위면적당 오염부하가 크고 각종 유독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의 개별 공장이 아닌 이러한 비점오염원 특징을 가진 대 소규모 공업단지(김해시 나전농공단지, 부산시 녹산 국가산업단지)를 선정하여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PDF

광양만 종합개발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의 해양생태변화 1. 엽록소 $\alpha$량의 시ㆍ공간적 분포 특성

  • 윤양호;한명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6-218
    • /
    • 2001
  •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광양만 및 인근해역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에 의해 다량의 생활하수와 산업배(폐)수가 유입되면서 매우 빠르게 부영양화가 진행되게 되어 급격한 생태계의 천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연안해역의 개발과 인위적 부영양화 과정에 따른 생태계 천이과정을 추구하는 한가지 수단으로 외부 환경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ㆍ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중략)

  • PDF

NH$_3$ Removal Efficiency Characteristics by using Pyroligneous Liquid (목초액을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효율 특성 연구)

  • 김재일;박정호;정재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409-410
    • /
    • 2001
  • 악취 발생원은 하수ㆍ분뇨처리장, 매립지 등 각종 환경기초시설에서부터 석유화학단지, 각종 산업시설, 그리고 농촌의 축사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주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탈취시설은 일반적으로 분뇨처리장을 제외하고는 보편화되어 있지 않으며, 특히 일반 농촌 축사의 경우는 탈취 시설이 전무한 상태로서 축사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한 주민 민원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축분의 대사과정에서 주로 발생되는 악취인 암모니아는 강한 악취성분의 하나로 배설된 분뇨에서 미생물의 유기물 분해에 의해 암모늄이 생성되고, 생성된 암모늄은 암모니아 가스로 대기중으로 휘산되어 강한 악취를 발생시킨다.$^{1)}$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