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사태 지진해일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On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landslide tsunami (산사태 지진해일의 수리특성 분석에 관한 고찰)

  • Seo, Minjang;Lee, Changmin;Lee, Woo-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03-203
    • /
    • 2022
  • 일반적으로 지진해일은 지진, 화산에 의한 융기 또는 침강에 따른 급작스러운 해저지각 운동에 의해 발생하며, 이에 따른 수위변동과 유체운동을 일컫는다. 그 밖에 해안/해저 산사태, 운석 낙하, 빙하 붕괴와 같이 암석, 토사, 얼음, 운석이 바다, 호수의 수면과 충돌하여 해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산사태 해일의 피해사례는 많지 않지만, 대부분 인명피해를 동반한다. 이에 과거부터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산사태로 생성된 해일의 전파과정을 조사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최근에는 컴퓨터 성능향상과 다양한 수치모델이 개발됨에 따라 수치해석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산사태 해일의 생성을 직접 모의하기 위해서는 유체-구조 상호작용(FSI; fluid-structure interaction)을 고려할 수 있는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해석이 요구되는 관계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SI에 기초하여 충돌모의에 특화된 LS-DYNA를 이용하여 산사태 해일의 생성, 전파 그리고 직립벽(댐)에서의 처오름 및 파압 등을 검토한다. 그리고 낙하물의 형상, 낙하 높이에 따라 생성된 해일이 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이용하는 LS-DYNA 해석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수리모형실험에서 생성된 산사태 지진해일과 비교·검증한다. 수치해석 결과, 동일한 체적의 낙하물에서는 폭이 좁을수록 최대파고가 낙하물에 근접해 생성되었고, 폭이 넓을수록 파장이 길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낙하물의 낙하높이가 높을수록 산사태 지진해일의 파고가 크게 생성되었다. 낙하물로부터 600m 지점에서 설치한 댐에서의 산사태 지진해일의 처오름은 파고 및 파장이 클수록 증가하였다. 산사태 지진해일의 파압 역시 처오름에 상응하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호소에서 산사태 해일이 발생한다면, 댐 및 제방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maximum tsunami heights using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기반의 최대 지진해일고 예측)

  • Min-Jong Song;Yong-Sik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4-484
    • /
    • 2023
  • 지진해일은 해저지진, 화산활동, 해저 산사태 등에 의해 발생되는 장주기 파랑이다. 지진해일은 발생빈도가 낮지만, 한번 발생하면 많은 에너지가 연안으로 유입되어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과거 수십년동안 지진해일에 대한 연구는 지진해일의 역학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수치모델 개발에 초점을 두어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더욱이, 지진해일 실험적 연구는 많은 경제적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에 수치모델개발 연구가 더욱 중점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지리학적으로 우리나라는 지진해일에 안전하지 못하다. 하나의 예로, 1983년 5월 26일,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은 동해로 전파되어 동해안 지역에 커다란 피해를 야기시켰다. 이 당시, 강원도삼척시 원덕읍에 위치한 임원항에서는 2명의 사상자와 2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고, 당시 금액으로 약3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 기법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한 임원항에서 최대지진해일고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지진해일 수치모델은 뛰어난 정확도를 나타내는 반면, 결과를 산출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해, 인공신경망은 수치모델과 유사한 정확도 및 결과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지진해일 인공신경망 모델 개발은 지진의 단층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작성된 지진해일의 시나리오를 토대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우리나라 동해에 위치한 외해 관측 지점의 지진해일고 자료를 통해, 임원항에서의 최대 지진해일고가 예측되도록 개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공신경망의 학습 및 검증 과정을 수행하였고, 향후 발생 가능한 다양한 지진해일에 대해 평가함으로써, 인공신경망 모델의 예측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n assessment for effect of landslide on Maximum Continuous Rainfall using GIS (GIS를 이용한 최대지속강우량이 산사태 발생에 미치는 영향평가)

  • Yang, In-Tae;Park, Jae-Kook;Jeon, Woo-H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13-423
    • /
    • 2007
  • 우리나라의 자연재해는 기상학적 자연현상에 의해 주로 발생되고 있으며 그 발생원인은 태풍, 호우, 폭풍, 폭풍우, 재설, 폭풍성 우박, 해일 및 기타(낙뢰, 돌풍, 설해, 결빙, 지진 등을 포함)로 구분되며 이중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강우에 의한 재해로 전체 재해발생 원인 중 약 8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사면붕괴와 관련된 자연재해(산사태, 옹벽붕괴, 매몰 등)는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를 포함하여 호우의 집중 강도가 높아지는 등 기상학적 원인에 의해 매년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발생되는 자연재해와 관련한 사면붕괴의 특성을 강우특성에 따라 조사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적합한 대책들이 더욱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산사태 유발인자와 강우조건을 고려하여 산사태 잠재가능성을 평가하고 산사태 취약지역을 분석하여 지역적인 강우특성을 고려한 산사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Edge Wave (Edge wave의 발생과 전파)

  • 조용식;이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0a
    • /
    • pp.71-74
    • /
    • 1995
  • Edge wave는 해안선 근처에서 갇힌(trapped) 파의 한 형태로써, 해안선 근처에서의 산사태(Yeh and Chang, 1994) 또는 지진해일(tsunami)이 해안선에 도달한 후 해안선과의 상호간섭(Shuto, 1990)에 의해서 발생한다. Edge wave는 해안선을 따라 최대 처오름 높이(maximum run-up height)를 유지하며 진행하기 때문에 범람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정확한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중략)

  • PDF

An Evaluation of Landslide Probability by Maximum Continuous Rainfall in Gangwon, Korea (강원지역의 최대연속강우량에 의한 산사태 발생가능성 평가)

  • Yang, In-Tae;Park, Jae-Kook;Jeon, Woo-Hyun;Chun, Ki-S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5 no.4
    • /
    • pp.11-20
    • /
    • 2007
  • Most natural disasters in Korea are caused by meteorological natural phenomena, which include storms, heavy rains, heavy snow, hail, tidal waves, and earthquakes. Rainfall is the most frequent cause of disasters and accounts for about 80% of all disasters. Particularly in recent years, Korea has seen annual occurrences of natural disasters associated with landslides (slope and retaining wall collapse and burying) due to meteorological causes from the increasing intensity of heavy rains including local heavy rainfalls. In Korea, it is critical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according to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to take necessary and proper measures for them. This study assessed the possibility of landslides in the Gangwon region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y taking into account the inducer factors of landslides and the maximum continuous rainfall of each area. It also analyzed areas susceptible to landslides and checked the distribution of landslide-prone areas by considering the rainfall characteristics of those areas.

  • PDF

Propagation of Tsunamis Generated by Seabed Motion with Time-History and Spatial-Distribution: An Analytical Approach (시간이력 및 공간분포를 지닌 지반운동에 의한 지진해일 발생 및 전파: 해석적 접근)

  • Jung, Taehwa;Son, Sang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0 no.6
    • /
    • pp.263-269
    • /
    • 2018
  • Changes in water depth caused by underwater earthquakes and landslides cause sea surface undulations, which in turn propagate to the coast and result in significant damage as wave heights normally increase due to the wave shoaling process. Various types of numeric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to simulate the generation and propagation of tsunami waves. Most of tsunami models determine the initial surface of the water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ovement of the seabed is immediately and identically transmitted to the sea surface. However, this approach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underwater earthquakes that occur with time history and spatial variation. Thus, such an incomplete description on the initial generation of tsunami waves is totally reflected in the error during the simulation. In this study, the analytical solution proposed by Hammack (1973) was applied in the tsunami model in order to simulate the generation of initial water surface elevation by the change of water depth with time history and its propagation. The developed solution is expe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various type of seabed motions, initial surface undulations, and wave speeds of elevated water surfaces.

Study on Disaster Prevention and Monitoring System for Forest Fire Using Multi-Source GSIS Data (GSIS 다중자료를 이용한 산불피해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Kang-Won;Gang Jun-M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193-198
    • /
    • 2006
  • 최근의 동남아시아 발생한 지진해일(쓰나미)과 미국 뉴올리언즈 지역의 허리케인으로 등의 재난으로 인해 막대한 인명과 경제적 피해가 전 세계적으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폭설과 태풍, 산불로 인한 피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05년 양양지역의 대규모 산불재해지역을 중심으로 항공레이저측량, GPS/INS항공사진측량 등의 다중센서를 이용하여 GSIS자료를 취득하였다 이를 통해 수치지형도, 수치고도모형, 수치외관모형, 디지털 영상, 근적외선 영상을 처리하였으며, 과거 항공사진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정확한 피해면적과 피해량, 향후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지역 예측 및 식생에 대한 피해정도와 회생가능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lex Disaster Research Trends Using Network Analys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외 복합재난 연구 동향 분석)

  • Woosik Kim;Yeonwoo Choi;Youjeong Hong;Dong Keun Yo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4
    • /
    • pp.908-921
    • /
    • 2022
  • Purpose: As the connection between physical and non-physical structures in cities is expanding and becoming more complex, the risk of complex disaster which causes damage in a complex way is increasing. Preparing for these complex disasters, it is important to preemptively identify and manage disasters that can develop into complex disast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disaster types studied as complex disasters by analyzing the trend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complex disasters,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complex disaster management in the future. Method: We first established co-occurrence networks between disaster types based on 993 articles related to complex disasters published in disaster-related journals for the last 20 years (2002-2021). Then, through network analysis,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lex disaster research tren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 Research on complex disasters related to storm and flood damage, infrastructure failure and fire was high in domestic studies, and it was analyzed that research on complex disasters related to earthquakes and landslides has recently increased. However, in international studies, the proportion of studies on infrastructure failure along with storm and flood damage and earthquake was high, and various types of disasters such as tsunami and drought appear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trends in complex disaster research and provide suggestions of domestic complex disaster research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