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불

Search Result 86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Forest Fire Disaster (산불재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 Lee, Si-Young;Gim, Sun-Nye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4
    • /
    • pp.691-700
    • /
    • 2020
  • Purpose, Methoud: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region of Youngdong, Gangwon Province, to find out their awareness about their forest fire disaster experiences,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forest fire disaster education and coping behaviors for it. It's mean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forest fir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own forest fire disaster experiences? 2. What is their awareness on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disaster? 3. What is their awareness on forest fire disaster education? 4. What is their awareness on coping behaviors for it? Resul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awareness on forest fire disaster experiences, 95.8 percent of the students that accounted for the majority knew about the meaning of forest fire. The students who knew about the meaning of disaster represented 80.8 percent. Second, as for awareness on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35.8 percent thought forest fire broke out the most in summer. The students who had never seen forest fire in person accounted for 79.2 percent, which were the majority. Concerning the route of being aware of forest fire,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learned about it from TV, followed by families, friends, teachers, radio/schools and textbooks. Third, as for learning experiences on forest fire disaster, the students who had received this education accounted for 83.3 percent, which were the majority. This education was mostly provided by schools, and the second most common educational place was fire stations. Fourth, as for coping behaviors for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80.5 percent replied they would dial the 119 emergency center, and the second most dominant answer was going up to the mountaintop, followed by quickly coming down to go home and having no idea.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education on forest fire disasters and produc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consistent and continuous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in Korea (우리나라 30 ha 이상 산불피해의 분포 및 특성 분석)

  • Lee, Hyung-Seok;Lee, Si-Yo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5
    • /
    • pp.39-46
    • /
    • 2011
  • In order to consider the prevention countermeasure to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s, analysing characteristic of the past forest fire data is needed. This research analyzed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based on statistics data of forest fires in Korea between 1975 and 2010. As a result, the number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as 23 was most occurred in 1978. Forest fires show an upward tendency from 1970 to 2000. Forest fires of 30 ha~50 ha damaged area was most occurred. Forest fire in Gangwon province was occurred as the number of total 66 (37.0 %). Gangwon province was superior in point density analysis. The number of forest fire occurrence over 30 ha was most high to 114 (63.0 %) in April and to 44 (24.3 %) in Sunday. The occurrence number of forest fire and damage caused by forest fire is increasing more and more since 1975, appropriate authorities can use effectively in devising policy for forest fire prevention from this result.

Case Study of Construction for a Foreign Forest Fire Prevention and Fire Break Zone - Japan Case - (국외 산불 방화림 조성 및 방화선 구축 사례연구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Kim, Dong-Hyun;Kang, Young-Ho;Koo, Kyo-Sang;Jung, S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488-491
    • /
    • 2012
  • 우리나라는 1960년대부터 실시된 조림 정책을 통해 산림이 점차 울창해지고 있어 산림 내 연소물질이 증가되어 산불 피해 강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산불방지에 대한 예방차원으로 피해를 저감시키거나 위험을 완화시키는 대표적인 임업적 기술을 적용하는 방법으로 방화림 조성과 방화선 구축을 들 수 있다. 방화림 조성은 산림내 연소물질 관리 또는 수종을 갱신하여 산불확산으로부터 화재강도를 낮추어 산림의 산불위험성을 낮추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기술로는 간벌과 가지치기, 하예작업, 활엽수림 조성 등의 방법이 있다. 방화선 구축작업을 임내 연료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여 산불이 확산되지 않도록 구축하는 작업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과 중국의 산불 방화림 조성과 방화선 구축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국내 적용 가능한 기술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불에 강한 수종을 선발하였고 산불에 강한 숲 조성 방법 및 방화선 구축 방법 등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림내 주요사찰, 기간시설 및 군사시설 등과 같은 주요시설물이 산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Forest Fire Conditions on Forest Structure Changing Annually (산불연료 조건에 따른 산불특성 분석)

  • Kwon, Chun-Geun;Lee, Si-Young;Lee, Hae-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421-425
    • /
    • 2011
  • 산불연료 조건에 따른 산불특성 분석을 위하여 산불피해의 조사지역은 2009년, 2010년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고성지역과 양양지역, 강릉지역과 삼척지역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고성군의 경우 활엽수림이 4개소, 칩엽수림 1개소, 양양군은 침엽수림이 3개소, 삼척시의 경우는 침엽수림이 2개소, 강릉시의 경우 침엽수림이 3개소 총 13개소를 각각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산불사례 현장조사를 통해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의 산불피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료의 임상구조에 따른 편면연소율은 침엽수림은 67.4%, 활엽수림 47.9%로 침엽수림의 편면연소율이 활엽수림보다 19.5%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관피해율은 침엽수림은 51.1%, 활엽수림 44.2%로 침엽수림의 수관피해율이 활엽수림보다 6.9%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목고사율은 침엽수림은 44.0%, 활엽수림은 42.3%로 침엽수림의 임목고사율이 활엽수림보다 1.7%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Using Forest Site Digital Map (수치산림입지도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 An Sang-Hyun;Won Myoung-Soo;Kang Young-Ho;Lee Myung-B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9 no.3 s.59
    • /
    • pp.64-69
    • /
    • 2005
  • In order to decrease the area damaged by forest fires an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s, we are making an effort to improve prevention measures for forest fir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the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by means of forest site characteristics such as soil type, topography, soil texture, slope, and drainage and forest fire sites. Conditional probability analysis and GIS were used in developing the forest fire occurrence probability model that was used in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Characteristic Analysis of Forest Fire Burned Area using GIS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역 특성분석)

  • Lee, Si-Young;Kang, Yong-Seok;An, Sang-Hyun;Oh, Je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1
    • /
    • pp.20-26
    • /
    • 2002
  • The forest fire occurrences and burned area are increasing every year since 1990 in Korea, of which 65% is covered by fores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 burned area using GIS, and we also applied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fire characteristics such as weather, forest as fuels and topography in small and large forest fire burned areas.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size of forest fire was related to the slope length, slope degree, wind speed, forest type, and forest continuity.

  • PDF

Detection of Burned Forest Areas Using Landsat TM Images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 발생지역의 탐지)

  • 김철민;이승호;노대균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77-81
    • /
    • 2001
  • 2000년 4월, 강원도 삼척일대에 크게 발생한 산불지역에 대해서 Landsat TM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이용하여 산불의 피해지역을 조사분석하였다. 산불발생 전과 후의 2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변화탐지 기법의 하나인 화상간차이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산불 발생지역의 탐지에는 NDVI를 유도하고 그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피해지역을 구분하는 임계값을 표준편차$\times$0.9로 하였을 때, 현지조사 결과에 대한 전체정확도는 93.8%, 카파계수는 0.82로 매우 높았다.

  • PDF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Reinforcing the Reponse Capacity at a Site of Forest Fire (산불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실태조사 연구)

  • Eom, Tae-Su;Koo, Won-Hoi;Baek, M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7-1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불현장 대응인력 역량강화와 관련하여 국내 산불현장 대응인력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뷰와 현장조사 등을 통해 국내산불 대응사례를 조사하고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를 토대로 산불 대응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f the Forest Fire Management System in the Local Autonomous Entity using RS and GIS (RS와 GIS를 이용한 지방자치단체 산불방재통합시스템에 관한 연구)

  • 변종봉;경천구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1.03a
    • /
    • pp.56-61
    • /
    • 2001
  • 현재 산림청에서는 NGIS와 연계한 국가차원의 산림지리정보시스템(FGIS)을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중이며, 행정자치부에서는 정보화촉진기본법에 따라 국가적 행정종합정보화 차원에서 제안된 2단계 소방/재난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범국가적인 사업과 연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 규모의 산림행정체계 규모의 산림행정체계에 적합하고, 국지적 기상조건 및 확산요인을 고려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일선 실무자의 행정생산성 향상차원에서 실제 활용될 수 있는 개별시스템으로 구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산림담당자가 산불의 사전예방 및 홍보활동을 위한 산불 다발지역을 분석하고, 광범위한 산림지역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기 위한 산불감시카메라 의 위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산불 발생시 국지적 확산요인을 고려한 실시간 산불확산 형태 를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평상시 소방시설물을 관리하고 산불발 생시 신속한 진압을 위한 각종정보(예 : 최단이동거리분석)를 제공하며, 산불감지 시점으로 부터 상황종료 시까지의 종합사고보고를 위하여 위성영상과의 비교분석 등 사후관리까지의 체계를 수립하고자 한다.

  • PDF

Change Analysis of Forest Fire Occurrence Frequencies of Spring Season between 1990s and 2000s (1990년대와 2000년대의 봄철 산불발생빈도 변화분석)

  • Yoon, Suk-Hee;Won, Myoung-Soo;Koo, Kyo-Sang;Lee, My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170-172
    • /
    • 2010
  • 우리나라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봄철(2월~4월) 산불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19년간(1991년~2009년) 발생한 봄철(2월~4월) 산불을 1990년대와 2000년대로 나누어 연대 순기별 산불발생빈도 공간패턴을 분석한 후 산불발생빈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ArcGIS Ver.9.2를 이용하여 $1km{\times}1km$ 공간 해상도로 IDW(Inverse Distance Weighting, 보간법)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1990년대 대비 2000년대의 산불발생빈도 변화는 대전을 포함한 충청 내륙과 전남 지역에서 큰 증가폭을 보였다. 또한 1990년대와 2000년대에는 4월 상순에 가장 높은 산불빈도를 나타냈으며, 1990년대 대비 2000년대의 지역별 산불발생빈도 변화가 한반도의 서쪽인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호남지역과 인천에서 크게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