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림경관

Search Result 25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the Effects of Soundscapes on Forest Landscape Preference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산림경관 선호도 평가에 관한 연구)

  • Min, Su-Hui;Lee, Chun-Yong;Joo, Woo-Y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3 no.3
    • /
    • pp.473-482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oundscapes on forest landscape preference in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The study sites were selected in Jeombongsan and Sobaek National park selected within the Baekdudaegan. The landscape preference surveys were conducted by using landscape adjectives classified with Nature, Sound, Attractiveness, and Aesthetics. The comparative analyses examined the difference of preferences between only visual landscapes and visual landscapes with soundscapes. The research found out that soundscapes were associated with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mprovement in landscape preference. Thus, the research can infer that forest landscape assessment consider visual attributes as well as soundscape cues.

Beneficial Effect of Forest Landscape on Relieving Stress Based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asures (심리적.생리적 측정에 근거한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 Kyoung, Y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2
    • /
    • pp.70-8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생리측정(피부 돌출치와 심장박동시간)과 심리측정 (ZIPER 설문지)을 통하여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가설은 두 가지로 첫 번째 가설에서는 산림경관을 본 사람들의 스트레스 측정치가 인공경관을 본 사람들의 측정치보다 낮을 것이라고 예측되었다. 두 번째 가설에서는 산림경관을 본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가 인공경관을 본 사람들보다 보다 빠르고 완전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험에는 대학 학부학생 70명이 참여하였으며, 실험에 이용된 산림 및 인공경관은 예비설문을 거쳐 선정되었다. 실험결과를 보면 첫 번째 가설은 피부 돌출치와 긍정적인 심리요인 그리고 부정적인 심리요인에서 채택되었다. 두 번째 가설 중 스트레스 해소속도에 대한 가설은 피부 돌출치와 심장박동시간에서 모두 채택되었으나, 스트레스 해소의 완전성에 대한 가설은 피부 돌출치에서만 채택되었다. 비록 심장박동시간과 집중/호기심 요인에서 연구가설이 채택되지 못했지만 전반적으로 산림경관과 인공경관을 비교할 때 산림경관의 스트레스 완화효과가 더 크고 빠르고 완전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산림경관의 효과를 두 가지 측정(생리적, 심리적)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는 점과 국외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음으로써 이러한 효과가 지역에 관계없이 공통적임을 밝혔다는 점이다. 본 연구결과는 산림이 인간의 건강과 복지에 긍정적이라는 점을 입증함으로써 산림의 조성과 보존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발전적인 후속연구를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인공경관과 일반시민들의 참여, 그리고 인지능력의 병행이 필요하다.

A Zoning Method for Forest Landscape Management by Visual Quality Assessment (시각적 질 평가에 의한 산림경관 관리구역 구획방법)

  • Lee, Gwan-Gyu;Park, Chan-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1 no.1
    • /
    • pp.148-157
    • /
    • 2012
  • Korea, with 63.7% of the land being forests, has unique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scapes coming into view for most residential areas and roads. This study was undertaken with a purpose of support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by partitioning the areas that landscape management is needed. Through analysing the degree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needs and the visual absorption capability for landscape changes, the zoning process and method for landscape management were conducted. In order to select the areas that are managed by priority for landscape, the degree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need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with the main scenic sites, travel frequencies, major forest landscape resources, and areas with demand for walking and automobile travel as the basis. The visual absorption capability that means the visual acceptance capability against physical landscape changes of the designated areas was analyzed in order to select the areas that are suitable for artificial landscape management. As a result, it became possible to express the degrees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needs in high, middle, and low sub-areas, and the visual absorption capability in high, middle, and low sub-areas, for each of the three zones in terms of spaces in the forest landscape management areas. For example, among the forest landscape transition zones, if the degree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needs is high and the visual absorption capability is high, then aggressive landscape management would be possible; this would also mean that this area could accept certain levels of physical landscape changes. By applying zoning methods like these, it was possible to attain a conclusive result that proper means of landscape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forest landscape resources and the surrounding areas could be provided.

A Study on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산림경관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Chan-Woo;Jeong, Mi-Ae;Lee, Yeon-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4 no.2
    • /
    • pp.300-308
    • /
    • 2015
  • Landscape planning system established in 2007. It is necessary that forest landscape management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the long-term and wide scope plan for forest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ed the considering factor while the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plan for forest characteristics. Forest landscape type was consisted of 4 medium classification(geographical resources, waterscape, forest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and 12 small classification(geographical resources: panorama of ridge, ridge of curious rock peaks, waterscape: waterfall, valley, lake, forest resources: crown layer scenery, royal azaleas of main ridge, autumnal tints of ridge slope, flowers in herbaceous plants, inside of forest, forest trail scenery, cultural resources: facilities). This study suggested that consideration on 6 functions of forest in landscape zone planning and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each classification (main ridge, sense of season, waterscape, rock resources).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Between Famous and General Korean Forests Using Landscape Indices (경관지수를 이용한 산림청 지정 명산(名山)과 일반 산의 산림경관구조 비교분석)

  • Han, Hee;Song, Jung-Eun;Seol, A-Ra;Park, Jin-Han;Chung, Joo-S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1
    • /
    • pp.1-11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andscape structures of the National and Provincial Forest Parks in the list of "100 Famous Forests of Korea"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the non-designated forests. Among the designated and the non-designated, 34 mountain forests were chosen respectively over all provinces of Korea.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orest landscapes were quantified as the landscape indices independently using FRAGSTATS and the two sets of results of analyses were compared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study, the designated forests were found on the higher elevation with the higher average slope and the more complicated relief conditions rather than those of the non-designated. In terms of landscape structure, the designated forests show the larger average patch size, the lower edge density and the higher diversity of landscape compon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e hilly mountain forests with the more complicated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patche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ated forests. The indices of the forest landscape structure would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perception of forest landscap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Forest Landscape Classification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 Kang, Mi-Hee;Kim, Se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9 no.6
    • /
    • pp.777-78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valuation indices for forest landscape classification. The indices were chosen to enable forest managers to establish effective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three times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email survey with experts. The 13 landscape evaluation indices were final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y were ecological health (degree of green naturality, degree of ecological naturality, disease and insect damage, crown vitality), aesthetic visual quality (naturalness, harmony, diversity, traditionality, aesthetic appreciation, rarity), and sensitivity (level of tourism/recreational use), interruptions (damaged land, artificial structures). The five-level was suggested for the forest landscape classification system.

Study on the Local Officials' Awareness for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산림경관관리 방향 설정을 위한 지자체 관리자 의식분석)

  • Kim, Jae-Jun;Park, Chan-Woo;Kang, Min-J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9 no.4
    • /
    • pp.603-61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urrent awareness of local officials and to give a proposal that can establish the meaningful directions for the forest landscape policy.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Total 232 questionnaires were launched and valid 10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se data analysis, we found out that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forest landscape was high and they thought forest landscape plan was needed. However supply of the information and data such as guidelines to improve forest landscape condition was not enough. Through the IPA method, we had 15 properties of forest landscape policy were settled. It show us what needs to be kept up the good work, what needs to be concentrated here, what the low priority are, or what the possible overkill are. We finally suggest that direction of forest landscape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above investigation.

논단-국립공원과 산림경관

  • Seo, Won-U
    • 공원문화
    • /
    • s.5
    • /
    • pp.6-12
    • /
    • 1976
  • "한구루의 작은나무라도 생물학적으로 소우주적인 원리를 배태하고, 미학적으로는 진.선.미의 표상이 됨으로 국립공원에 있어서 산림의 유기체적 경관은 미시적으로는 생동하는 자연경관의 아미이고, 거시적으로는 대자연의 오묘한 질서와 조화를 이룬다.

  • PDF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Forest Patches Due to the Recent Land Development in North Korea (북한 도시지역의 산림파편화 변화조사)

  • Kim, Sang-Wook;Park, Chong-Hwa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0 no.1
    • /
    • pp.39-47
    • /
    • 2001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 및 원격탐사기법을 응용하여 북한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으며, 과거 약 20년 동안의 평양 및 남포지역의 산림면적의 변화 및 경관구조 변화측면에서의 산림 파편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자료로는 Landsat MSS 및 TM 영상의 NDVI값을 이용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피복분류를 위하여 변형된 Cluster-Busting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산림과 비산림지역으로 단순화시켜 분석하였다. 경관구조의 변화를 살피기 위해서 조각밀도, 형태 및 핵심내부지역의 면적 등의 경관지수(Landscape Indices)를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을 거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luster-busting 방법을 활용한 토지피복 분류결과 87.3%의 총 분류 정확도를 얻었으며, Binary Map을 이용한 변화감지(Change Detection)기법 또한 그 결과가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79년에서 '98년에 이르는 기간동안, 평양의 경우 '79년 산림면적의 15%, 그리고 남포지역의 경우 14%가 감소하였다. 셋째,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북한 산림의 파편화 변화를 조사한 결과 산림조각의 개수는 늘어나고 조각의 평균면적 및 핵심내부면적은 감소하였으며 조각크기의 다양성 또한 낮아졌다. 산림조각 형태지수 또한 매우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들은 평양 및 남포지역의 산림조각이 파편화되고 그 형태 또한 불규칙적이며 복잡하게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