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록완사면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Geomorphological Significance of Gyeongiu Alluvial fan and Fans in Korean Peninsula (한국의 선상지와 경주선상지의 지형적 의의)

  • 사이토쿄지;윤순옥;황상일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4.05a
    • /
    • pp.40-40
    • /
    • 2004
  • 지형학연구의 주요 쟁점의 하나는 한반도 산록에 분포하는 완만한 지형면 형성과 정에 관한 논의이다 한국 지형학계의 일각에서는 안정지괴에 속한 한반도에는 선상지발달이 불리하고 친식지형이 일반적이라는 편견이 있어, 산록완사면이 페디멘트로 이해되고 선상지 차체를 부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선상지와 하안단구, 해안단구 대부분이 페디멘트와 같은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되면서 대학의 지형학 교재나 일부 교과서에 반영되어 혼란이 야기된다. (중략)

  • PDF

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the 4 Traditional Settlements in Youngnam District (영남지방 4대 전통취락의 지형적 입지 특성)

  • Choe, Hee-M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9 no.4
    • /
    • pp.413-424
    • /
    • 2003
  •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location of 4 traditional settlements in the Youngnam district of Korea in view of geomorphology. For this study, GIS techniques were used to analyse quantitatively the degree of slope, slope aspect and the relation with river/stream of these regions. Yugok is located on pediment in the valley basin. Cheonjeon is located in the end part of the hill. Hahoe is located on the convex natural levee of the flood plain. Yangdong is located on a hillside. Houses are mostly distributed with south, southeast, and southwest aspect, but in Hahoe face all sides. Also, the settlements are located on average $10{\sim}20m$ above river bed. This indicates a safe height above river bed for avoiding an flood damag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location of the traditional settlement is based on a scientific logic and rationale. It is thus argued that the settlements satisfy exellent geomorphic condi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theories of residential location.

  • PDF

The studies of the granite landforms in South Korea (한국의 화강암 지형에 대한 연구)

  • KANG, Tay-Gyo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4
    • /
    • pp.1-15
    • /
    • 2011
  • This work is to review the granite landforms studies by Korean geographers. It is verified that geomorphlogical characteristics of granite present landscapes characterized by 1) in case of mountains, are difficultly or irregularly weathered, so as to develop rocky forms such as domes, cliffs, and tors ; 2) in case of stream valley that is inter-massif lowland, low relief hills and flood plains with alluvium. All these facts owe to the difference of weathering mode granite properties. The granite hills and alluvial plains of southwestern coastal parts in Korean peninsula is low undulatory and large owing not only to the existence of highly weathered granitic regolith, but also to frequent flooding. Cultivated brownish field, orchard, meadow and forest are located at granite hills. On the other hand paddy rice field at granite alluvial plains. Korean peninsula have endured erodible geomorphlogical processes since Miocene when warping it up. Therefore many intermontane basins are located on the weathered granite areas which are surrounded by mountains composed of much less Precambrian gneiss complex. In fact, intermontane basin is mainly linear fault-line valley. The landforms of the intermontane basins are characterized by gentle piedmont slopes, alluvial fans, fluvial terraces and alluvial plains.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의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 분석

  • 박창석;전영옥;조영국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0-123
    • /
    • 2002
  • 본 연구는 농천어메니티의 개념을 토대로 농촌주민과 도시민의 가치라고 할 수 있는 정주기능으로서의 생활자원화와 방문가치로서의 관광자원화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도시민과 농촌주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농촌자원의 중요도와 순위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자원을 자연적 자원과 문화적 자원, 사회적 자원으로 구분하여 37개 자원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어메니티를 형성하거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상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이러한 농촌자원은 농촌주민과 도시민이 지닌 가치에 기초하여 생활자원적 가치와 관광가치적 가치를 동시에 혹은 차등적으로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농촌자원에 대한 중요도 평균에 대한 차이검증(t-test)을 수행한 결과 전체 자원의 56.8%에 해당하는 21개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결과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셋째, 농촌자원에 대한 순위적 상관관계분석에서도 전문가와 전체집단에서 생활자원과 관광자원에 대한 순위상관관계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위의 두번째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농촌자원의 개발 방향과 가치부여가 자원의 속성에 따라 차등적으로 진행되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농촌자원의 유형을 생활자원화와 관광자원화에 대한 중요도의 표준화 점수에 기초하여 4개 유형(유형 I~IV)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유형별 자원중요도를 고려하여 농촌마을의 개발목적에 비추어 생활자원형이나 관광자원형과의 연계를 통해 마을의 정체성과 특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

  • PDF

예천군지역의 역사적 변천과정 -고지도와 지리지의 비교분석

  • 이한방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99-105
    • /
    • 2002
  • 변화의 속도가 느려서 장기지속적인 전체사의 바탕을 형성하고 있는 지리적 환경에 대한 적응결과로서의 지표경관을 도면상에 표현한 고지는 당시대인들의 세계관과 공간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인간을 둘러싼 지리적 환경은 장기적으로 벼하는 구조이다. 장기지속의 구조사는 지리지와 고지도에 잘 표현되어 있다. 지리지와 고지도에 대한 문헌조사와 현지야외답사를 통하여 경관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지역성과 한국전통지역사회의 원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자들에 의하여 정상기의 동국지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북방영토인식, 군현지도, 시대상의 복원과 지리환경 인식, 회화의 측면에서 본 고지도, 지명과 영토문제, 서양식 세계지도의 전래과정등의 연구주제들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왕의 연구는 고지도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 파악과 해제, 전체적인 유형 분류, 특정주제에 대한 고지도 이용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구체적인 지역사회에 대하여 고지도를 통시대적으로 비교 분석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사라져가고 있는 전통경관과 자연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은 촌락경관이 남아 있는 지역사회경관에 대한 고지도와 지리지를 활용한 연구가 시급하다. 고지도는 옛 지명, 산천, 도로, 역원, 행정구역, 역사적 위치의 파악과 문화경과 복원의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크므로 지역사회 단위의 연구가 필요하다. 19세기 말엽에 편찬된 읍지와 지도는 서양과 일본의 침략으로 변모되기 이전의 한국 각 지역의 모습을 추적하고 복원하는데 긴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현대 한국지역사회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지난 400년간의 지역변화를 고지도와 지리지.읍지를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변한 것과 변하지 않는 것을 분석하여 시대상의 복원과 지역사회의 정체성 확립에 일조하고자 한다.곡물의 여러 줄기가 합수하고 물이 역류하지 않으며 잘 감아도는 곳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명당의 기본적인 원리는 장풍(藏風)과 득수득파(得水得破)이다. 장풍과 득수란 '국'(局), 즉 산줄기와 수계로 이루어진 일정한 범위 속에 만물이 생태계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인 '체형(體形)'의 의미가 나타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

  • PDF

우리 나라의 감자재배 중심지

  • 이학원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77-80
    • /
    • 2002
  •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우리나라 감자재배지역의 분포 특징과 그 중심지를 밝혀 보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감자가 외국에서 우리나라에 전파해온 경로와 한국 내에서 의 전파경로를 알아보고, 7개 지역의 감자재배지역의 특징, 우리나라 감자재배의 생산량, 재배면적, 재배농가, 각 시기별 감자 재배지의 중심지와 남한의 감자재배 중심지를 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내용은 주어진 자연환경에 인간이 어떻게 적응해가면서 살아가는지를 공부하는 지리학의 전통적인 개념인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 중등학교 및 대학에서 공부하는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학습자료로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과 1970년부터 1995년까지의 전국의 시.군별 감자재배지역의 입지계수를 구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감자가 한국에 처음으로 재배된 것은 1824년(조선조 순조24년) 인데, 전파과정을 살펴보면, 안데스산지의 페루(1500년대) $\longrightarrow$ 에스파냐(1532년) $\longrightarrow$ 중국(1650년) $\longrightarrow$ 한국(1824년)순으로 전파되어온 북방전래설과 영국의 감자가 1832년 충청도의 서산으로, 일본 감자가 1920년에 수원으로 전파되었다는 남방전래설이 있다 2. 감자는 한국 전 지역에서 재배되는 중요 농작물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지형이 남북으로 깊게 뻗은 반도국이므로 위도와 지형 차이에 따라 기온과 고도가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자연적인 요인의 영향이 가장 큰 요인이 되어 고랭지 여름재배지역.중산간 봄재배지역.중부평야 봄재배지역 남부평야 봄재배지역 남부해안 2기작 재배지역.남부 겨울재배지역.제주 가을 월동재배지역 등 7개 지역으로 구분되어 재배된다. 3. 우리나라(남한)의 감자 재배지의 중심지는 강원도 고랭지 여름재배지역과 제주도 가을 월동재배지역, 소백산맥과 진안고원이 만나는 부근 산지지역의 남원군.구례군 거창군.고령군과 남해안의 밀양군.양산군이다. 강원도 지역과 제주도 두지역이 전테 재배면적의 52%를 점유하여 감자 재배지의 핵심지를 이룬다. 4. 한국 감자 재배지역 중심지의 지리적 특징은, 높은 산지지역의 산록완사면에 밭작물로 재배된다는 점과 교통이 불편한 지역으로서 도시화와 산업화 지역의 그늘 지역이 대부분이다. 강원도의 감자 재배지는 감자재배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화전농업의 전통, 감자 재배기술의 전파,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지원하는 각종 연구소 분포와 영농지도, 씨감자 생산과 협동조합의 판로 개척, 도로 개설과 포장 등의 인문지리적 요인이 영농조건을 개선하고 감자 판매를 위한 시장접근을 용이하게 하여, 남한 최대의 감자 재배지역을 형성하였다. 제주도는 산지지형과 따뜻한 기온으로 2기작이 가능하고, 감자가공 공장설립과 교통발달에 따른 육지 시장과의 접근이 용이해졌기 때문에 남한에서 2번째로 큰 감자재배지역이 되었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

  • PDF

The Theoretical Study and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Alluvial Fans in Korean Peninsula (한국 선상지의 이론적 고찰과 분포특성)

  • Saito Kyoji;Hwang Sang-Ill;Tanaka Yukiya;Oguchi Takashi;Yoon Soon-Oc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3 s.108
    • /
    • pp.335-352
    • /
    • 2005
  • The question of whether fan type surface developed at the foot of mountains is pediment or alluvial fan has been discussed consistently through the Korean geomorphic history. Unfortunately the term, 'alluvial fan' was scarcely used, also even the existence of alluvial fan has been denied throughly for a long time in Korea. The negation of alluvial fan brought some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the related Geomorphology. In order to resolve such a problem, more logical and exquisite theory by examination of geomorphic process must be systematically presented on the basis of overall problem recogni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present the theoretical indicator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points at issue that the existence of alluvial fan in Korea was denied. Moreover, we selected 13 alluvial fans in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to compare with the worldwide alluvial fans according to theoretical indicator, and analysed their geomorphic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alysis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Cropland Increase Using Multitemporal Landsat Images in Lower Reach of Duman River, Northeast Korea (다시기 위성영상을 이용한 두만강 하류지역의 농경지 개간의 공간적 특성분석)

  • Lee, Min-Boo;Han, Uk;Kim, Nam-Shin;Han, Ju-Youn;Shin, Keun-Ha;Kang, Chul-S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8 no.4
    • /
    • pp.630-639
    • /
    • 2003
  •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 distribution and change of cropland and forest, the Onseong, Saebyeol, and Eundeok counties on the lower reach of Duman(Tumen) river, northeast Korea, using 1992 year Landsat TM data, 2000 year Landsat ETM data, and 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DTED). Land cover and land use of the study areas are classified into cropland, forest, village, and water body, using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including 1:50,000 DTED analysis, image band composition,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present that each growth rate of cropland of Onseong and Eundeok are 22.8% and 14.7% corresponding to decreasing rates of forest, 8% and 13.6% during 8 years from 1992 to 2000. In Onseong, Saebyeol, and Eundeok, each values of mean elevations and slope gradients increased to 192m, 95m, and 91m from 157m, 85m, and 78m, and to 6.6$^{\circ}$, 3.0$^{\circ}$, and 4.4$^{\circ}$ from 5.2$^{\circ}$, 2.5$^{\circ}$, and 3.0$^{\circ}$. Especially, in case of newly developed cropland, the values of mean elevation and mean gradient have 225m, 122m, and 127m, and 9.4$^{\circ}$, 5.1$^{\circ}$, and 8.0$^{\circ}$, in above three regions. These new croplands were developing along to deeper valleys and toward lower hill and mountain slope up to knickpoint zone of gradient change. Deforested lands for cropland have formed irregular pattern of patch-type, and become sources for the sheet erosion, rilling and gulleying in mountain slope and sedimentation in local river channel. Though there were no field checking, analysis using landsat images and GIS mapping can help understand actual environmental problems relating to cropland development of mountain slope in North Korea.

Reflection and perspective of the geomorphology in Korea (한국 지형학의 50년 회고와 전망)

  • ;Oh, Kyoung-Seob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1 no.2
    • /
    • pp.106-127
    • /
    • 1996
  • In Korea, modern geomorphology has developed as one of main subjects in geography, such as in Europe. Geomorphology is one of the most advanced specialties in the geography dicipline, since foundation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in 1945. Untill 1960's study, first generation of the Korean geomorphologists trained the younger ones, together with energetic research activities. Their great works in education and research established the base of ulterier development of the geomorphology in Korea. Since 1970s, research manpower and quality has incresed rapidly, partly due to the various international activities and cooperations of Korean geomorphologists. Owing to above development, Korean geomorphologist was able to found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in 1990 and publish "Journal of GAK", since 1994. Furthermore, geomorphologists are playing important roles in interdisciplinary academic societies, such as "The Korean Quaternary Assocition". Still 1960s, our research had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erosional surfaces in Korea Peninsular. Of course, W.M. Davis's "Geographical Cycle Theory" and L.C. King's "Pedimentation Theor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Koerans' works. After 1970s, the study of erosional surface played the important role in setting up the morphoclimatic viewpoint and methodology. Research scope tend to be notably broad and various than it was untill 1960's. Disposotion of the scientific methods and techniques become more and more apparent. These trends of research has settled precise descreption and interpretation of actual landforms, based on the careful field works, scientific measuring, and analisis, rather than methodology focused on the particular master theories. Recent geomorphological researches show the scope from climatic geomorphology and Quaternary geomorphology to granite and limestone weathering, pedo-geomorphogenic environment and periglacial landforms, focused on the small-to-medium scales. And then there have been new trying to interprete erosional surfaces such as hillslopes and terraces. Also, studies of coastal and plain landforms have been successfully developed. Recent new trends show the quantitative and analytic modelling using field measurement and laboratory work, and study on the human impacts on the natural landforms.y on the human impacts on the natural landforms.

  • PDF

The First Discovery of Quaternary Fault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Yangsan Fault - Sinwoo Site (양산단층 남부 이서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제4기 단층 - 신우지점)

  • Choi, Sung-Ja;Ghim, Yong Sik;Cheon, Youngbeom;Ko, Kyoungta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3
    • /
    • pp.251-258
    • /
    • 2019
  • During the detailed geological survey around the southern Yangsan Fault, we newly found a Quaternary fault outcrop, which cuts unconsolidated sediments. The fault named the Sinwoo site, located in the Sinwoo pasture, Miho-ri, Duseo-myeon, Ulsan metropolitan city, is the first discovered Quaternary fault near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Yangsan Fault. In this study, we provide information on characteristics of fault geometry and unconsolidated sediment at Sinwoo site based on the analysis data of topography, drainage, and lineament around the study site. The fault site is situated at pediment slope, but fan-shaped middle terrace, as well as thick sediment exposed at low terrace, indicates that the unconsolidated sediments have been deposited in the alluvial fan environment. The drainage develops to the third-order drainage system, and the first and the second drainage system meet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form a radial drainage pattern. In addition, the NE-SW direction lineaments can be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 curvature of the river and the step of the topographic relief, running over the Sinwoo site. The fault of $N30-35^{\circ}E/79-82^{\circ}SE$ shows ~ 5.8 m apparent vertical offset and dominantly reverse-slip sense based on slickenline, rotation of pebbles, and drag folding at footwall. However, some discontinuous sediments observed in the footwall are interpreted as fissure-filling materials due to the strike-slip movement. Now, we are under multidisciplinary investigations of additional field survey and age dating in order to determine the evolution of Sinwoo site fault during the Quater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