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란주기

Search Result 24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Characteristics of Smoke Layer Formation Affected Periodicity of Fire Plumes (Plume의 주기성이 연층형성에 미치는 영향)

  • 한용식;김명배;오광철;신현동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6 no.2
    • /
    • pp.38-42
    • /
    • 2002
  • This experiment is to understand a characteristics of smoke layer formation affected periodicity of fire plumes. The ON-OFF jet was used to constitute the oscillating flow, which was formed by a mixture of nitrogen gas with kerosene particles. The instantaneous images was obtained by digital video camera using laser sheet technique. The results were confirmed that the smoke layer in the near fire source comprise vortices which are formed by impingement from the periodicity of fire plume. The periodic impinging of plumes were thickened the smoke layer and produced the back-flow.

LDV Measurement of Turbulent Flow Inside the Cylinder in an Engine (엔진 실린더내 유동 LDV측정)

  • 강건용;정동수
    • Journal of the KSME
    • /
    • v.33 no.12
    • /
    • pp.1063-1068
    • /
    • 1993
  • 왕복식엔진에서 연소과정은 실린더내 유체유동에 지배되므로 최적조건의 엔진설계를 위해서는 실린더내 유체유동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소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압축말기 연소실내 난류강도는 흡입과정시 생성된 유동의 에너지가 압축과정을 거치면서 작은 스케일의 에디(eddy)로 깨지면서 발생된다. 연소과정시 이러한 에디들은 초기화염생성을 촉진 시키고 화염전파속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실린더내 유체유동에 대한 이해증진을위해 실린더내 평균속도 및 난류유동을 측정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엔진유동은 매사이 클의 유동이 엄밀히 주기적인 운동을 하지 않고, 각 사이클의 유동이 비정상유동을 하며, 유동의 생성 및 소멸이 매우 짧은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산란입자가 측정체적을 통과할 때 속도데이 터가 발생하는 LDV(laser Doppler velocimetry) 측정에 있어서 레이저빔의 산란광노이즈 감소와 산란입자의 효율적인 공급으로 데이터 발생률을 높이는 것이 어려운 점이다. 이 글에서는 엔진 유동의 LDV측정시 고려해야 할 문제점들, 실험장치구성, 그리고 데이터처리 방법과 주요측정 결과에 대해 본 연구팀에서 지금까지 수행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stimulated Brillouin scattering in Optical Fiber Sensor by using Neuro-Fuzzy Theory (뉴로-퍼지 알고리즘을 적용한 광파이버 유도 브릴루앙 산란 센서에 관한 연구)

  • Hwang, K.J.;Yeoum, K.T.;Kim, K.K.;Song, Y.X.;Wang, X.;Kim, Y.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a
    • /
    • pp.242-243
    • /
    • 2007
  • 본 논문은 1310nm 단일모드 광섬유를 이용하여 온도센서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이다. 기존광섬유센서의 연구는 복잡한 여러 가지 기기를 이용하여 구성된 시스템이었다. 그리고 산란 변화를 주기 위하여 Bragg 격자나 Pulse generator를 이용하여 광주파수의 변화를 측정하거나, YAG 레이저를 이용 벌크형 시스템을 택하여 구성하였는데 실험 환경을 구성하는 어려움과 측정된 데이터의 정확도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유도 브릴루앙 산란(sBs: stimulated Brillouin scattering)광을 이용한 온도센서 시스템은 기존의 측정방식 보다 간소화된 직렬방식의 시스템이다. 광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와 애매한 결과에 대해서 신뢰성과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지능형인 뉴로-퍼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기존 시스템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sBs는 빛의 산란 특성 중 광주파수가 온도에 변화에 대해 각각의 온도 변화당 천이가 이루어졌음을 측정하였다. 시스템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뉴로-퍼지로 분석한 변화율은 1.1MHz/의 결과를 얻었다.

  • PDF

Effects of Photoperiod and Temperature on the Gonadal Activity in Small Filefish, Rudarius ercodes (그물코쥐치, Rudarius ercodes의 생식활동에 미치는 광주기 온도 영향)

  • LEE Taek Yuil;HANYU Isao;FURUKAWA Kiyoshi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7 no.6
    • /
    • pp.523-528
    • /
    • 1984
  • The small filefish, Rudarius ercodes, generally spawning from mid May to early October in the natural habitat, was exposed to various photoperiod and temperature regimes. These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gonad activity, regression and recrudescence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based on the mechanism of reproductive cycle. Spawning season was initiated in the early spring with the gonad activated by long photoperiod(13L) and stimulated by compensatory temperature rising. Even when the gonad activated readily at the above critical daylength (12L to 13L)was kept back at the below if, it went on maturing. At the end of spawning period (mid September), since the shortening of daylength (12L) resulted in the gonad regression regardless of temperature, the short daylength might be related to the termination of spawning in situ. When the regressive gonad at the post spawning period was treated by the above 13L: $20^{\circ}C$ condition, it could recrudesce and bring forth even spawning. From this fact, the feasible control of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small filefish was recognized. But even in the long daylength, the temperature above $28^{\circ}C$ was preventive of gonad maturation.

  • PDF

Production of Supermale(YY) and Superfemale(${\Delta}$YY)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Sex Reversal and Chromosome Set Manipulation -IV. Large Scale Production of Male Seeds with Superfemale (성전환 및 염색체 공학 기법을 이용한 초수컷(YY) 및 초암컷(${\Delta}$YY)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생산 -IV. 초암컷을 이용한 수컷 자손 집단의 대량 생산)

  • 노충환;남윤권;김동수
    • Journal of Aquaculture
    • /
    • v.13 no.4
    • /
    • pp.331-338
    • /
    • 2000
  • To establish an alternate technology for all male seed produc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at hatchery scale, the performance of progenies produced by crossing superfemale with sex reversed male was evaluated. Free crossings between 21 superfemales and 7 sex reversed males stocked in an aquarium for 60 day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93.5 % male progenies, compared to 53.2 % males produced by an equal number of normal females and normal males. Spawning frequency was lower (19 times) in the experimental cross including superfemales than that (24 times) in the control including normal females. Seed production in the experimental aquarium was (3,085)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3,797) of the control. Both in terms of seeds per female per day or seeds per g female per day, seed productivit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these groups. The alternate technology involving crossing between superfemale and sex reversed male has proven to be an efficient alternate technology for mass production of all male seeds at the hatchery scale.

  • PDF

Ultrastructural Study of Germ Cel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Hen Clam, Mactra chinens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산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의 생식세포발달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생식주기)

  • Chung, Ee-Yung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 no.2
    • /
    • pp.141-156
    • /
    • 1997
  • 199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에 걸쳐 전북 군산, 선연리 조하애에서 채집된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Philippi를 대상으로 생식세포 발달과 생식소 발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토과형 전자현미경으로 미세구조 변활르 관찰하였고, 정확한 산란기를 규명하기 위해 조직학적으로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개량조개는 장웅이체이다. 난황형성과정은 난모세포의 발달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난황형성기 난모세포질 내에서는 핵주변 구여게 골지장치와 수많은 공포들 및 미토콘드리아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들은 차후, 지방적 형성에 관여한다. 난황형성전기 난모세포에서는 지방적 및 지질과립들이 핵막 근처에서 출현하여 피질층쪽으로 분산되는 반면, 같은 발달단계의 난모세포질의 피질구역에서는 피질과립들 (단백질성 난황과립)이 처음으로 생성되어 난황막 근처의 피질층에서 핵주변 구역쪽으로 분산 분포된다. 난황형성후기 난모세포에서는 세포질 내의 골지장치, 공포, 미토콘드리아, 그리고 조면소포체들이 자율합성에 의해 난황과립 형성에 관영하고 있다. 반면, 외인성 물질들인 지질형태의 과립들, 단백질성 물질 및 다량의 글리코겐 입자들이 생식상피 낸에서 출현하고 있는데, 이들 물질이 생식상피에서 난황막 구조물인 미세융모를 통해 난황형성 후기 난모세포의 난질 내로 통과해 들어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난황성성이 일어날 때에 hterosynthesis가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완숙난모세포의 난경은 약 50-60 \mu m이고, 완숙정자 두부의 길이는 대략 3 \mu m이며, 미부의 길이는 약 30 \mu m정도이다. 정자 미부편모의 axoneme은 중앙의 2개의 미세소관(microtubule)과 주변에 위치한 9개의 2중 미세소관 (microtubule)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종의 산란기는 5월에서 9월 중순에 걸쳐 일어나는데, 주산란시기는 해수수온이 22 \circ C 이상으로 상승하는 6, 7월이다. 따라서 1년에 산란 (번식)시기가 한번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생식 주기는 초기활성기 (1-2월), 후기활성기 (2-4월), 완숙기 (4-9월), 산란기 (5-9월) 그리고 퇴화 및 비솰성기 (6-12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재생산에 가담할 수 있는 암, 수개체들의 군성숙도(%)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각장 3.5-3.9cm 범위의 개체는 55.5%이었고, 5cm 이사인 개체들은 재생산에 100% 참여하였다. 본 종의 암, 수개체들은 만 1년부터 재생산에 가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Experimental Studios on the Mechanism of Reproductive Cycle in the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HILGENDORF) (점망둑, Chasmichthys dolichognathus의 생식기구에 관한 실험적 연구)

  • BAEK Hea Ja;LEE Taek Yui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18 no.3
    • /
    • pp.243-252
    • /
    • 1985
  • The mechanism of reproductive cycle of longchin goby Chasmichthys dolichognathus was investigated for the annual variations of gonadosomatic index(GSI), histological changes of gonad, reproductive cycle, and initiating and terminating factors of the breeding season. The experimental fish were captured in the tide pool of Tongbaeksom, Pusan, Korea from February 1983 to September 1984. Experimental fish for the study of initiating and terminating factors of the breeding season were maintained in filtered recirculating aquariums and exposed to various temperature and photoperiod regimes. The ovary is a pair of sac-shaped organ, and the testicular structure is tubular and it is connected to the seminal vesicle which is located at the posterior end of the testis. GSI began to increase from February when the water temperature began to increase and reached peak in April. It began to decrease from August, the top water temperature season, and maintained relatively low values until January.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includes successive six developmental stages : early growing from December to February, late growing from January to March, early mature from February to May, late mature and ripe from March to August, spawning from April to July, degeneration and resting stage from May to December. An experimental study based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this species indicated that rising temperature under long photoperiod during spring stimulated gonadal maturation, whereas terminating factor of the breeding season with recrudescence of the gonads was demonstrated as high water temperature during summer regardless of photoperiod.

  • PDF

Reproductive Cycle of the Female Grey Mullet, Mugil cephalus, on the Coast of Jeju Island, Korea (제주 연안 숭어, Mugil cephalus 암컷의 생식주기)

  • Kim, Sung-Jun;Lee, Young-Don;Yeo, In-Kyo;Baek, Hea-Ja;Kim, Hyung-Bae;Nagae, Masaki;Soyano, Kiyoshi;Hara, Akihiko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19 no.1
    • /
    • pp.73-80
    • /
    • 2004
  • 숭어의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해 2002년 2월부터 2003년 3월까지 제주도 동남부 연안에서 채집하였고,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을 조직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은 GSI변화와 밀접하였다. GSI는 9월에 급격히 증가하여 12월에 최고 값을 나타내었다. 난소의 조직학적 관찰결과,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는 연중 관찰되었으며,8월에는 일부에서 난황을 포함하는 난모세포가 관찰되었다. 대부분의 난모세포가 10월과 12월에는 난황구기 단계의 난모세포로 발달했다. 10월과 12월에 난황구기 난모세포들을 가진 개체의 출현이 가장 높았으며, 잔존여포와 퇴화 난모세포는 2월부터 관찰되었다. 숭어의 주 산란기는 11월에서 1월이고, 난군동기발달형의 난소를 가지며 외양으로 이동하여 산란하는 어류에 속한다.

Acoustic Scattering from Circular Cylinder by Periodic Sources (주기적인 음원에 의한 원형 실린더의 음향 산란)

  • Lee, Duck-Joo;Kim, Yong-Se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7 no.1 s.118
    • /
    • pp.41-47
    • /
    • 2007
  • Scattering fields of two dimensional acoustic waves by a circular cylinder are investigated. The present numerical approach for the acoustic scattering problem has difficulties of numerical robustness, long-time stability and suitability of far-field boundary treatments. The time-dependent periodic acoustic source is used to analyze Interference patterns between incident waves and waves reflected by the cylinder. Characteristic boundary algorithms coupled with 4th order Modified-Flux-Approach ENO(essentially non-oscillatory) schemes are employed in generalized coordinate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wane frequency on the interference patterns. Non-reflecting boundary conditions, which is crustal for accurate computations of aeroacoustic problems, are used not to contaminate scattering fields by reflected waves at the outer boundary. Computed scattering fields show the circumferential acoustic modes generated by interacting between acoustic sources and scattered waves. At a lower frequency, the wave passes almost straight through the cylinder without Interacting with circular cylinder. Simulation results are presented and compared with the analytic solution. Computed RMS-pressure distribution on the cylinder wall is good agreement with exact solution.

Reproductive cycle and Maturation Induction of Oocytes in Rana rugosa (옴개구리의 생식주기와 난자의 성숙유도)

  • 유명식;나철호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1
    • /
    • pp.96-105
    • /
    • 1995
  • 본 연구는 옴개구리(Rana rugosa)의 생식주기를 파악하고 이들 난자들의 체외 성숙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개구리들의 gonadosomatic index(G51)는 4월에서 8월사이에는 비교적 낮았고 9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는 높았다 여포들의 성장은 주로 6월에서 9월 사이에 이루어지는데 난소내에서도 여포들의 성장 속도는 일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야외 관찰에서 이 개구리들은 서식지의 온도에 따라 4월에서 7월 사이에 산란을 한다는 것과 10월에서 이듬해 3월까지 동면을 한다는 것을 말았다. 산란기에 취한 여포 난자들은 생체외 배양에서 progesterone에 성숙반응(germinal vesicle breakdown(GVBD))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러나 protein klnase C(PKC)의 촉진제인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TPA) 혹은 Na+/K+ ATPase의 저해제인 ouabain을 progesterone과 동시에 처리했을 때에는 성숙반응을 일으켰다(각각 86%와 80%). TPA 로 핵붕괴를 일으킨 난자의 세포질을 미성숙 난자에 주입하면 미성숙 난자의 핵붕괴를 유도하였으며 성숙된 다른 종의 난자들의 세포질도 이와 같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TPA의 성숙유도 효과는 5분의 노출 기간으로도 충분하였으며 PKC의 저해제인 H-7을 처리하면 그 효과가 없어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옴개구리의 난자는 호르몬에 성숙반응을 일으킨지 않으나 PKC 활성화 이후 단계는 정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