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가

Search Result 34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가정용 냉각쌀통을 이용한 쌀의 저온저장특성

  • Kim, Eui-Woong;Kim, Hoon;Kim, Dong-Chul;Lee, Se-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05.2-205
    • /
    • 2003
  • 가정에서는 쌀을 소비할 때 외기 조건 특히, 하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높을 경우 함수율 감소, 지방산가 증가 및 해충발생 등 품질 손상이 급격히 발생한다. 따라서, 가정에서 쌀을 소비할 때 쌀의 품온을 가능한 낮춰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가정용 냉각쌀통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쌀을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품질변화를 측정하여 저온저장특성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정용 냉각쌀통은 매직 쌀장고(MRH-2501, Tongyang)를 이용하였으며, 대조구로 상온($25^{\circ}C$)에서 쌀을 14주간 저장하면서 1주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함수율, 지방산가, 색도 및 표면변화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쌀의 함수율은 냉각쌀통의 경우 1.5%(w.b.), 상온저장의 경우 2.1%(w.b.)가 감소하였다. 지방산가는 냉각쌀통에서 저장 14주 후15.1(mg KOH/100g)로 나타났고, 상온저장에서는 8주 후 24.2, 14주 후에는 40.9(mg KOH/100g)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쌀의 색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상온저장이 냉각쌀통에 비해 현저히 높게 증가하였으며, 저장 8주 후부터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쌀의 표면에 세포벽은 냉각쌀통에 비해 상온저장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하게 나타났다.

  • PDF

Effects of Thermooxidation of Soybean Oil in Association with Fried Foods on Quantity Food Production (다량조리 튀김식품 종류에 따른 대두유의 가열산화)

  • Choi, Eun-Soo;Gil, Bog-Im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21 no.5
    • /
    • pp.723-730
    • /
    • 2011
  • Soybean oil used to fry French fries, chicken nuggets, and donuts was exposed to high temperature at $180^{\circ}C$ for 72 h. The effects of frying foods on the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were evaluated by determining the contents of free fatty acids, peroxides, total polar compounds, and conjugated dienoic acids, and by analyzing dielectric constant, refractive index, iodine value, smoke poi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The contents of free fatty acids, total polar compounds, conjugated dienoic acids, dielectric constant, and refractive index increased, whereas iodine value, smoke point, and U/S ratio of fatty acids composition decreased with frying time. All samples of frying oils after 72 h presented free fatty acid contents of below 2.0% and total polar compounds of below 25%, which were within the legal limits. However, peroxide values of frying oils were not directly correlated with frying time. The type of fried food affected the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the frying oils, with chicken nuggets being more stable in thermooxidation than French fries and donust. Among physiochemical indicators of frying oil quality, a rapid method including dielectric constant and refractive index can be used in quantity food production.

Changes in Quality of Pine Nuts (Pinus koraiensis) and Walnuts (Juglans regia) Coated with Protein Film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during Storage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단백질 필름으로 코팅한 잣(Pinus koraiensis)과 호두(Juglans regia)의 저장 중 품질 변화)

  • Lee, Myoung-Suk;Lee, Se-Hee;Park, Sang-Kyu;Bae, Dong-Ho;Ha, Sang-Do;Song, Kyung-Bi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5
    • /
    • pp.842-846
    • /
    • 2004
  • To elucidate quality changes of pine nuts and walnuts coated with green tea extract-containing protein film during storage, pine nuts and walnuts were coated with soy protein isolate (SPI) and zein film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and stored at $35^{\circ}C$ for 4 weeks. During storage, peroxide, acid, and 2-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regardless of treatments. Degrees of lipid oxidation were lowest in protein coating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followed by protein coating and control. After 4 weeks, for pine nuts, 40, 32, and 21% of peroxide, acid, and TBA values respectively decreased by treatment of zein film coating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compared with control. For walnuts, 29, 24, and 21% of peroxide, acid, and TBA values respectively decreased. With SPI film coating, 41, 36, and 8% of peroxide, acid, and TBA values of pine nuts respectively decreased. For walnuts, 26, 28, and 5% of peroxide, acid, and TBA values respectively decreased by treatment of SPI film coating containing green tea extract.

Life Time Estimation of Biodiesel and Biodiesel Blend Fuel from the Oxidation Stability Analysis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디젤 혼합연료의 산화특성 연구에 의한 사용 수명 예측)

  • Jung, Chung-Sub;Dong, Jong-In;Lee, Young-J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79-584
    • /
    • 2007
  • 대두유로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과 바이오디젤 혼합 연료유를 대상으로 지방산메틸에스터 함량과 화학적 분석을 통해 산화 특성과 오일의 수명 예측 연구를 수행하였다. 바이오디젤, 경유, BD5, BD20은 산화가 진행될수록 산가(Acid number), 동점도(Kinematic Viscosity) 및 밀도(Density)는 증가하였다. 산가 측정결과의 활용에 의해 임의의 온도조건에서 정확한 사용수명을 예측하기 위하여 화학속도론에 의거하여 각각의 연료에 대한 사용수명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사용수명식으로부터 바이오디젤이 가장 빠르게 산화가 진행되었고 바이오디젤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development of biodiesel production technology for additional improvement of Rapeseed (유채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 개발)

  • Lu, Jeong-Woo;Park, Gi-Don;Kwon, En-Suk;Ko, Jeong-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537-540
    • /
    • 2006
  • 국제 유가의 상승으로 대체 에너지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지금 수송연료인 디젤의 대체 원료로 바이오디젤이 부각되었다. 차세대 대체연료인 바이오디젤의 합성 원료의 국산화로 수급의 안정성과 농가소득향상을 위해서 국내산 유채 착유기의 개발 및 유지의 함량을 측정하고 바이디젤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며 유박에서의 유지 추출 Biomass활용방안을 도출한다 국내산 유채 착유기 및 착유기술 평가를 통해 중소형 유채 착유기의 제작과 기본 조건을 도출을 위해 유채 착유실험을 진행하였다. 유채유의 착유온도에 따른 물성변화와 산가, 수분, 착유율의 변화와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roaster의 온도를 고온과 저온으로 나누어 착유하여 각각의 물성 실험과 산가, 수분, 착유율을 측정 비교하였다. 유채유는 저온보다 고온에서 착유량이 높으나 많은 검질과 높은 산가로 인해 바이오디젤 합성과정에 많은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유채의 유박을 바이오디젤과 에탄올로 각각 Extraction.한 결과 바이오디젤보다는 에탄올이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 PDF

Life Time Estimation of Biodiesel and Biodiesel Blend Fuel from the Oxidation Stability Analysis (바이오디젤 및 바이오디젤 혼합연료의 산화특성 연구에 의한 사용 수명 예측)

  • Jung, Chung-Sub;Lee, Young-Jae;Dong, Jong-In
    • New & Renewable Energy
    • /
    • v.3 no.2 s.10
    • /
    • pp.17-23
    • /
    • 2007
  • 대두유로부터 생산된 바이오디젤과 바이오디젤 혼합 연료유를 대상으로 지방산메틸에스터 함량과 화학적 분석을 통해 산화 특성과 오일의 수명 예측 연구를 수행하였다. 바이오디젤, 경유, BD5, BD20은 산화가 진행될수록 산가(Acid number), 동점도(Kinematic Viscosity) 및 밀도(Density)는 증가하였다. 산가 측정결과의 활용에 의해 임의의 온도조건에서 정확한 사용수명을 예측하기 위하여 화학속도론에 의거하여 각각의 연료에 대한 사용수명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사용수명식으로부터 바이오디젤이 가장 빠르게 산화가 진행되었고 바이오디젤 혼합량이 증가할수록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ancidity Estimation of Perilla Seed Oil using NIR Spectroscopy and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s (근적외선 분광기법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식용유지의 산패 분석)

  • Lee, Ah-Yeong;Hong, Suk-Ju;Rho, Shin-Jung;Park, Heesoo;Kim, Yong-Ro;Kim, Ghi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98-98
    • /
    • 2017
  • 대부분의 가정과 요식업체, 식품가공업계에서 이용하고 있는 식용유지는 저장 및 가공과정 중에 산패가 빈번하게 일어나게 된다. 기존에는 유지 산패를 측정하기 위해 산가, 과산화물가 등을 측정하는 이화학적인 적정방법을 이용하였는데 실험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과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고, 반복실험으로 인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등 여러 제약사항을 포함하고 있어 식용유지의 산패를 실시간 비파괴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용유지의 저장조건에 따른 산패정도를 비파괴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근적외선 분광분석과 인공신경망 분석기술을 개발하여 그 실효성을 평가하였다. 식물성 식용유지인 들기름을 특정 온도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적정방법을 통해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시료의 근적외선 투과스펙트럼을 획득하였다.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유지 산패 예측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기법 (주성분 회귀분석, 최소자승 회귀분석과 인공신경망 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신경망 분석모델이 산가 ($R^2_{tra}:0.9037$, $R^2_{val}:0.8175$, $R^2_{test}:0.8555$)와 과산화물가 ($R^2_{tra}:0.9210$, $R^2_{val}:0.9341$, $R^2_{test}:0.8286$)의 예측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농산물과 식품의 성분 측정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분야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Vegetable Oils (가열산화에 의한 대두유와 면실유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와 상관관계)

  • 이근태;박성민;황영길;강옥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3 no.4
    • /
    • pp.654-659
    • /
    • 1994
  •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rying vegetable oils, soybean oil and cottonseed oil were heated in air temperatures from $160^{\circ}C\;to\;220^{\circ}C$ for 60 hours. Acid value, carbonyl value, iodine value, viscosity and content of polymer were remarkably changed as higher heating temperature and/or longer heating time. Correlation coefficient of viscosity to acid value was 0.9843 for soybean oil and 0.9819 for cottonseed oil. In case of viscosity and carbonyl value, viscosity also showed good relationship to carbonyl value as 0.9779 for soybean oil and 0.9797 for cottonseed oil. And correlation coefficient of viscosity to iodine value of soybean oil was 0.9852 and cottonseed oil was 0.9948.

  • PDF

Biodiesel Production Using Castor Oil and Quality Analysis (피마자유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물성 분석)

  • Kim, Deogkeun;Lee, Joonpyo;Park, Soonchul;Lee, Jins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76.2-176.2
    • /
    • 2011
  • 피마자유(Castor oil)는 합성수지, 그리스, 유압용 오일, 윤활기유 등의 다양한 용도로 쓰이는 오일로서 점도가 높고 무색에서 황갈색을 띈다. 피마자유 추출은 압착 착유 또는 용매 추출로 얻게 되며 본 실험에 사용된 오일은 압착 착유한 것으로 매우 진한 갈색을 띄는 정제전 오일을 이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피마자유의 초기 산가는 1mgKOH/g 이하로 낮은 유리지방산 함량을 보였으며 수분은 0.3%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위해서는 수분 증발이 필요했다. 피마자유의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해 진행된 물성 분석 항목은 산가, 수분, 인함량, 황함량, 점도, 고형물이며 원료유와 그 바이오디젤에 대해 각각 물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피마자유의 가장 큰 특징은 다른 식물성 오일과는 다르게 오일이 알코올에 녹는 특성이 있으며 이런 이유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 후 바이오디젤과 글리세롤이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피마자유를 이용해 제조한 바이오디젤, 즉 지방산메틸에스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약 90%의 메틸에스터화 반응 전환율을 나타내었으나 국내외 품질규격상의 탄소수 C14~C24:0의 지방산 에스터(fatty acid methyl esters)로 검출되는 바이오디젤의 함량은 10%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90%는 라이신올레익산메틸에스터(ricinoleic acid methyl ester)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대두유, 유채유, 팜유, 폐식용유로부터 제조한 바이오디젤과 물성이 매우 상이하고 특히 끊는점(boiling point)과 점도가 높아 경유 대체연료로는 활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기존의 다양한 용도의 오일로 사용하기 위해 정제하는 과정에서 전체 착유 오일중의 약 10%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바이오디젤 원료로 활용하는 방안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afe Storage Period of Padd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Conditions (벼의 안전저장기간)

  • 김의웅;김동철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2
    • /
    • pp.257-26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moisture contents and storage temperatures of paddy, and to predict safe storage period for paddy. Germination rate, fat acidity and appearance of paddy samples with different moisture contents of 16.1%, 17.7%, 20.6%, and 22.2%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 rooms of 10$^{\circ}C$, 20$^{\circ}C$, and 30$^{\circ}C$ were measured as factors of safe storage period. Germination rate of paddy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storag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And both fatty acidity of paddy and the ratios of colored and contaminated kernel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storag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Safe storage period was determined based on germination rate, fat acidity and appearance depending on storage time,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f paddy. Paddy with 16% moisture content could be safely stored for 1.5 years at least at 10$^{\cir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