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후적 관리

Search Result 73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Case Study on the post-monitoring programs under the energy efficiency labeling program (주요국의 에너지효율등급제 사후관리 사례 분석)

  • Lim, Ki Ch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3 no.3
    • /
    • pp.58-65
    • /
    • 2014
  • The study examined the post-monitoring programs under the energy efficiency labeling program in developed countries. This study suggests a few solutions to improve the post-monitoring activities under the program. First, samples should be selected from each category for the post-monitoring activities, taking account of the consumer's continuous buying behavior. Second, it is necessary to check of detailed label contents and to perform the frequent monitoring the reinforcement of the measurement of items which have violated labeling more than once over the past few years. Las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ntire post-monitoring process should be disclosed and be posted on the websites on the internet in general.

Development of the improved Ex-post management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Infrastructure projects in korea (국내 사회기반시설 민간투자사업의 사후적 관리 개선 방안 개발)

  • Yoon, Ho-Jun;Choi, Jae-Ho;Oh,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8.11a
    • /
    • pp.601-605
    • /
    • 2008
  • In the current Public-Private Partnership, Applying Ex-post management is rising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So, Advanced countries of construction are getting additional profit from Re-financing while repairing system about Re-financing. But within the our country positive introduction is difficult because of insufficient of social sympathy about Re-financing, shortage of support from government and imperfection of detail regulation. So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Ex-post management Which are applied to Public-Private Partnership that is adopted by project financing in domestic and overseas field and considers plans which can apply more efficiently in Public-Private Partnership. We anticipat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materials that can help people who want to understand hereafter introduction of Ex-post management in domestic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expect that the materials can be used for data developing system of Ex-post management.

  • PDF

A Study on Policy Recommendations for Post-Monitoring System of the Energy Efficiency Labeling Program (에너지소비효율등급제 사후관리 개선방안 연구)

  • Lim, Ki Choo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4 no.2
    • /
    • pp.179-186
    • /
    • 2015
  • This study suggests a few solutions to improve the post-monitoring activities under the Energy Efficiency Labeling Program. First, samples should be selected from each category for the post-monitoring activities, taking account of the consumer's continuous buying behavior, while it is also important to form and operate a deliberation committee. Second,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checking process of the label content of 9 items which have never been violated the labeling regulation since 2005. This study suggests the detailed checking of label contents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measurement of 17 items which have violated labeling more than once over the past few years.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ntire post-monitoring process should be disclosed and be posted on the websites of related agencies and on the Internet in general.

화제의 ESCO현장 그 이후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23
    • /
    • pp.18-21
    • /
    • 2003
  • ESCO사업은 진단에서부터 출발하지만 그 종착역은 사후관리에 있다. 우리가 만난 많은 에너지사용자들은 ESCO사업 추진동기를 ''사후관리''때문이라고 말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 그만큼 다른 일반 사업에 비해 ESCO사업에 있어서 사후관리는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지난해 ESCO편집부에서 취재한 ''화제의 ESCO현장''중에는 당시 사업이 완료된 곳도 있었지만 진행중인 곳도 있었다. 이번 호에는 사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자는 취지에서 사업의 후기를 들어본다. 대부분의 현장은 ESCO사업 실시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원활한 메인티넌스가 확보되어 만족한다는 답을 해왔다. ESCO사업의 긍정적인 측면을 보는 것 같아 안심이다.

  • PDF

한국(韓國) 주가지수(株價指數)옵션시장(市場) 내에서의 가격불균형(價格不均衡)과 차익거래(差益去來) 기회(機會)에 관한 연구(硏究)

  • Tae, Seok-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6 no.1
    • /
    • pp.249-26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가지수옵션시장 내에서 KOSPI 200 옵션들 사이의 가격불균형을 이용한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와 수익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기간 중 한국증권거래소 비회원사의 경우에는 전체 관측도수 중 11.1%의 경우에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으며, 사후적 박스 스프레드 매도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3468, 사후적 박스 스프레드 매입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3462이었다.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인 증권회사들에게는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가 자주 발생하였다.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의 경우에는 전체 관측도수 중 61.4%의 경우에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으며, 사후적 박스 스프레드 매도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1677, 사후적 박스 스프레드 매입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1815이었다. 사전적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수익성 분석 결과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전략을 실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는 경우에도 증권거래소 회원사와 비회원사 모두에게 수익성 있는 박스 스프레드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다.

  • PDF

A Study on Future Direction and Practical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llow-Up (환경영향평가 사후관리의 발전방향 설정과 실천전략 모색)

  • Park, Ji Hyeon;Choi, Joon Gyu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3
    • /
    • pp.165-174
    • /
    • 2016
  •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follow-up is integral phase of the EIA system. The EIA is complemented and completed by the EIA follow-up and the experience and data accumulated during the process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the EIA system. In Korea, institutional foundation of EIA is acknowledged as having been settled. Therefore, eyes are now on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EIA system including the normalization of the EIA follow-up management. In relevant prior studies there are many suggestions to make advancement of the EIA system.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eal system because most suggestions need prior preparation. Given the context, we propose a practical step-by-step strategies for the vitalization and advancement of the EIA follow-up system while recommending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in this study.

A Recording Strategy Proposal for the Post-Manag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평창동계올림픽 사후관리를 위한 기록화전략 제안)

  • Cheon, hojun;Yang, Wol-Oun;Choi, Tae-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8 no.4
    • /
    • pp.205-22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collect records for the post-management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hich was held in February 2018.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value and types of records of the 2018 Winter Olympics follow-up records were identified, and the cases of mega sports event follow-up we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the following three measures were presented to collect record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irst,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collection methods over time. Secon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the object and subject of recording. Third, records were collected based on subjects related to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The study's result can be used to establish a Pyeongchang Winter Olympics memorial hall and to prepare a collection plan for follow-up management after holding a domestic mega sports event.

KOSPI 200 옵션시장(市場)과 선물시장(先物市場) 사이의 일중 가격관계(價格關係)와 차익거래(差益去來) 전략(戰略)

  • Tae, Seok-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7 no.1
    • /
    • pp.133-15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KOSPI 200 옵션과 KOSPI 200 선물의 상대적 가격 형성이 적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검증하였으며, KOSPI 200 옵션시장과 KOSPI 200 선물시장 사이의 상대적인 가격불균형을 이용한 차익거래(arbitrage) 기회 빈도 및 차익거래 수익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고, 사후적(ex-post) 차익거래 수익성, 사전적(ex-ante) 차익거래 수익성, 동태적 차익거래 수익성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기간 중 KOSPI 200 옵션시장과 선물시장 사이의 가격불균형을 이용한 차익거래 기회가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에게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한국증권거래소 비회원사의 경우에는 전체 관측도수 중 14.8%의 경우에만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고 사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229이었으며,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의 경우에는 61.8%의 경우에 차익거래 기회가 존재하였고 사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140이었다. 사전적 차익거래 수익성 분석 결과 한국증권거래소 비회원사의 경우에는 사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149이었으며,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의 경우에는 사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이 0.121로 나타나 사후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에 비하여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동태적 차익거래 수익성 분석 결과 한국증권거래소 비회원사의 경우에는 동태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561이었으며, 한국증권거래소 회원사의 경우에는 동태적 차익거래 이익 평균은 0.265로 나타나 동태적 차익거래 전략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차익거래 전략임을 보여주었다.

  • PDF

항공교통분야의 안전관리시스템(ASMS) 구축현황 및 안전평가 개념 소개

  • Choe, Yeong-Jae;Sin, Dae-Won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7 no.4
    • /
    • pp.42-50
    • /
    • 2007
  • 데이터에 입각한 과학적 안전관리시스템(Safety Management System, SMS)의 도입은 사후적 차원에 머물던 그간의 안전관리활동의 한계를 극복하고, 예방적 안전관리를 통하여 국가 항공안전증진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기고에서는 항공교통분야에 있어서 안전관리시스템(SMS)의 도입 현황과 함께 SMS의 핵심요소인 위험관리에 있어서, 평가된 위험이 시스템에서 정상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안전평가(Safery Assessment) 개념에 대하여 국제민간항공기기(ICAO)에서 제시하는 개념들을 소개한다.

  • PDF

매출채권관리의 국내 연구동향과 연구방향

  • Lee, Jong-Gap;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04a
    • /
    • pp.167-171
    • /
    • 2018
  • 본 연구는 지난 50여 년 동안 국내 학위논문과 주요 학술지에 등재된 총 34편의 국내 매출채권관리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매출채권관리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며, 다음과 같이 국내 매출채권관리 관련 연구의 동향을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연구의 대상에서 규모의 측면을 살펴볼 때 대부분 중소기업 이상이다. 이는 매출채권관리의 전, 후 결과를 비교적 단기간에 명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연구결과의 활용이 비교적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현실적인 매출채권관리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의 인식은 중소기업이 더욱 절실하다. 둘째, 매출채권관리 관련 연구는 매출채권관리의 성과를 제고시키기기 위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는데, 내용은 사전적 채권관리와 사후적 채권관리로 나눌 수 있었다. 기업의 특성을 감안하여 사전적 채권관리는 신용판매관리와 신용통제관리, 사후적 채권관리는 회수관리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는 매출채권관리의 주요변수로 간주되고 있다. 셋째, 연구 분석방법의 양에 있어 질적 연구와 실증 연구는 질적 연구위주의 편협된 비율로 이루고 있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가 있다. 매출채권관리가 1969년대부터 1990년대 까지는 질적 연구로만 이루어져 있고, 2000년대부터 실증연구가 시작된 이후 2010년부터는 매출채권관리 연구는 실증 연구위주로만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질적 연구에 비해 실증 연구가 매출채권관리 성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에 더 용이하기 때문이라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연구주제에 있어 실증 연구보다 질적 연구가 연구주제의 다양성이 높은 반면 실증 연구는 연구대상이나 연구에 사용된 변수가 한정적이어서 향후 매출채권관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의 탐색이 요구된다. 질적 연구의 경우 사례연구 등을 통해 매출채권관리의 과정과 방법, 문제점,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지만, 실증 연구의 경우 대부분의 연구가 매출채권관리의 성과 검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사용된 변수가 한정적이고 유사한 변수를 반복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