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 속 과학

Search Result 37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Way to Realize the Concept of Science in Society: the Applicability of Societal Participatory Evaluation on Science (사회 속 과학의 실현 방안: 과학에 대한 사회 참여 평가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Kim, Tae Hee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7 no.2
    • /
    • pp.173-208
    • /
    • 2017
  • Along with its expertise and yearning for freedom, Science has been seduced from Society. Coupled with societal uncertainty and complexity, the Science has faced the difficulty of solving societal issues and recognized its limitation on the control of quality it has kept. This leads to yield its way for opening up the societal participation. With this situation in mind,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of societal participation on science based on previous studies but limited to evaluation. While the classical evaluation on science is conducted by only experts and not opened to the public, both the participatory and deliberative evaluation on science are open to the public and fitted to this research subject. Both evaluations are in common to expand its involvement to the broader stakeholder than classical one, but have discrepancy in the perspective of evaluands, evaluation methology applied, scope of participants and role of mediators. Along with the main obstacles such as political acceptance, representative of participants, competency of mediators, epistemic limitation and institutional path-dependency, this paper articulates the ways to implement both evaluations. Last but not least, this paper puts an importance on various and consequent research activities on this domain, reorganizing societal system and weighting efforts.

과학의 사회적 역할 1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2 no.8 s.123
    • /
    • pp.43-50
    • /
    • 1979
  • 교양이란 지성의 양식이다. 그리고 지성인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와 사회가 어디에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가에 대해 관심을 갖고 나아가서는 어디로 가야 할 것인가를 제시까지 할 수 있는 사람을 뜻한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의 원동력인 과학을 사회적 테두리 속에서 이해한다는 것은 지성인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교양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지는 과학시대를 만든 과학을 이해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박성래 박사(외대교수ㆍ과학사)의 「과학의 사회적 역할」을 8월호부터 특별연재한다.

  • PDF

뉴턴의 기계론적 절대주의 세계관

  • Park, Dong-S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10 s.317
    • /
    • pp.14-15
    • /
    • 1995
  • 현대인들은 3백년 전 뉴턴이 축성한 기계론적 절대결정주의 세계관 속에서 살고있다. 과정보다 결론을 중시하는 사회는 뉴턴의 물질만능주의적 세계관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는 뉴턴의 세계관으로부터 서서히 탈피해야 한다.

  • PDF

21세기 대비 교육정책의 방향

  • 신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7-7
    • /
    • 1998
  • 새로운 밀레니엄을 불과 몇 년 앞둔 지금 우리는 정치.경제.사회.문화.과학기술 등 전 분야에 걸쳐 전개되고 있는 역동적인 변화를 몸소 체험하고 있다. 냉전시대의 종식 이후 세계의 정치 구도는 경제패권을 둘러싼 지역화.블럭화의 경향을 보여주고, 플랜트와 하드웨어 중심의 규모의 경제가 기술중심의 소규모화 된 현장중심의 범인의 경제로 전환되는 와중에 있다. 사회.문화적 측면에도 오늘날 우리는 국제화, 다원화, 지방화의 무드 속에서 조직구조의 변화는 물론 이에 따른 인간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의 변화를 때로는 능동적으로 혹은 피동적으로 체험하고 있다. 한편, 과학 기술 분야의 변화는 거대 에너지와 물자를 활용하는 ‘힘-중심적’ 방향에서 새 사고와 아이디어를 요구하는 ‘지식-중심적’ 방향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과학과 기술에 있어서도 에너지, 재료, 기계 등 대대적으로 활용하는 거시적 과학과 기술로부터 지식, 정보, 통신을 중심에 두는 정밀과학, 정밀기술 쪽으로의 변화가 진행중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의 변화와 관련된 교육적 대응의 원리는 두 가지 형태로 집약될 수 있다. 교육은 본질적으로 순응(accommodation)과 적응(adaptation)이라는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순응의 원리는 교육의 탄생이래 교육목적의 본질에 해당되는 것으로 기존 사회질서의 유지와 체제 존속을 위해 교육은 과거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의미 있는 문화내용을 엄선하여 미성숙한 학생들에게 전수하고 그들로 하여금 문화와 전통을 계승하도록 하는 사회화에 그 일차적인 목적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순응의 원리를 강조하는 교육은 과거 지향적이며 외부의 변화에 대해 수동적인 자세를 견지한다. 한편, 적응의 원리에 입각한 교육은 문화와 전통에 대한 피동적 전승을 넘어서 사회의 변화에 따라 교육체제와 내용을 바꾸는 등 적극적으로 변화에 대응하고, 이러한 변화를 주도할 인간육성에 힘을 기울이는 교육방식을 취한다. 시대적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교육은 이제 기왕의 많은 교육적 신화들을 타파하고 뉴 밀레니엄을 준비해야할 기로에 서 있다. 현재의 변화를 슬기롭게 대처하고 미래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오늘날 교육의 사명은 우선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수립하는 일이다. 교육정책은 국가의 교육방침으로서 현실 교육문제의 해결도 중요하지만 미래의 발전을 기약할 수 있는 장기적인 비젼과 목표 속에서 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의도하에 본 연구는 21세기를 대비한 교육정책의 방향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본고는 \circled1 과거 우리 나라의 교육정책을 반성적으로 회고하고, \circled2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과 교육적 시사점을 분석하며, \circled3 마지막으로 21세기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내용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의 인문.사회과학:그 위기와 극복방안

  • Lee, Jong-Su
    • 대학교육
    • /
    • s.92
    • /
    • pp.70-83
    • /
    • 1998
  • 대학이나 학술연구의 진흥을 통하여 우리나라의 고유한 학술문화가 발전되고, 세계속의 우리 위상이 제고될 것이다. 21세기 한국의 학술문화를 선진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학문의 균형적 발전이 필요한 바, 종합적인 학술진흥 정책 추진이 요구된다. 경제가 아무리 어려워도 과학기술 우선정책으로 인하여 인문.사회과학을 홀대하거나 침체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 PDF

문화속의 과학 - 생물공학과 새로운 과학문화

  • Kim, Dong-Gwang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6 s.373
    • /
    • pp.14-15
    • /
    • 2000
  • 생물공학은 21세기를 주도할 핵심기술로 주식시세를 들먹거리고 벤처열풍의 중심적인 기술로 부각되면서 어느덧 우리들의 생활 한가운데로 들어왔다. 과학기술이 사회 속에서 상호작용을 하면서 형태와 내용이 꼴지워지는 것은 '문화로서의 과학'이라는 개념이 바탕에 깔려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상업적 입김에 좌지우지되면서 자칫 무고한 시민들에게 엄청난 피해를 입힐수도 있는 생명공학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균형잡힌 과학문화를 이루어야 하겠다.

  • PD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Analytical Framework Design for the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s in Group Argumenta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사회 속 과학 쟁점에 대한 소집단 논변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방법론 고찰)

  • Park, Jee-Young;Kim, Heui-Ba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2 no.4
    • /
    • pp.604-624
    • /
    • 2012
  • This study aims to design a framework for analyzing group argumentation in terms of participants' interaction. Regarding the current group argumentation setting as argumenta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within participants who have had limited experience on group argumentation,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designed to explain (1) what was each participant's role on group argumentation, (2) how these roles were changed within each time of argumentation, and (3) how the patterns of interaction were changed through seven times of a series of argumentat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analytical framework of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including the works on the structure of argumentation, the discourse formation through interaction, and the linguistic approach on participants' interaction, the current research framework was built. Showing the results of applying the designed framework on group argumentation as an example, strength of using the current designed framework was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