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치위생학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9초

캡스톤 디자인 지역사회치위생학 수업이 치과위생사 역량 및 자기 주도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 (Increase in dental hygienists' competency and self-directed capacity after capstone design course on community dental hygiene)

  • Seon-Ju Sim;Sun-Mi Lee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9-108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설계 지역사회 치위생학 수업 후 학생들의 역량과 자기주도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C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서 지역사회 치위생학 수업을 이수한는 치위생 전공 34명이었다. 설문도구는 치과위생사 역량 52문항과 자기주도력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캡스톤 디자인 수업 후 전반적인 치과위생사의 역량이 증가하였고(p<0.05), 임상치위생 및 지역사회 건강증진 역량도 높은 증가를 보였다(p<0.001). 자기주도력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역량 증가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력이 낮은 집단일수록 임상 치위생 역량과 지역사회 건강증진 역량이 높은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캡스톤 디자인 설계지역사회 치위생학 수업이 학생들의 치과위생사 역량과 자기주도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고, 캡스톤 디자인 수업법은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배양하는데 탁월한 교수법임을 시사하였다.

지역사회치위생학 교육의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about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Education)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67-7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치위생학 교과목의 현장실습과 연계한 프로젝트기반 수업을 적용하여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강생 30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학습을 경험하기 전과 후에 대한 동일한 검사지를 이용하여 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결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PSS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프로젝트 학습법이 지역사회치위생학 수업에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위해 지역사회치위생학 교과목뿐만 아니라 다른 전공교과목에도 자기주도적이며 능동적인 학습법을 활성화하여 융합역량을 개발할 필요가 있겠다.

사회치위생학의 학습목표 제안: 구강보건행정 영역 (Suggestion of Learning Objectives in Social Dental Hygiene: Oral Health Administration Area)

  • 박수경;이가영;장영은;유상희;김연주;이수향;김한나;조혜원;김명희;김희경;류다영;김민지;신선정;김남희;윤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5-96
    • /
    • 2018
  • 본 연구는 공중구강보건학 구강보건행정 영역의 국가시험 A항목 학습목표 48개의 '치위생 직무관련성', '치위생역량관련성', '교육목표 설정의 가치판별성', '시의성'을 검토하여, 최종으로 제안한 사회치위생학 구강보건행정 영역의 국가시험 A항목 학습목표는 총 75개였다. 전체 학습목표 중 18개를 삭제하였고, 15개를 수정보완하였으며, 기존 학습목표 15개를 유지하였고, 새로운 학습목표 45개를 추가하였다. 학습목표 주제는 I. 사회보장과 의료보장, II. 구강보건진료제도, III. 구강보건행정, IV. 구강보건정책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최근 건강보험 및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확대 등 의료보장제도는 국가정책의 변화 등을 반영한 의료보장과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내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이 필요하며 더 나아가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옹호자'로서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사회보장과 의료보장 분야의 학습목표를 개선할 것을 제안하였다. 구강보건진료제도와 구강보건행정 분야의 기존 학습목표는 치과위생사로서 현장의 직무와 관련성이 높은 개념과 내용으로 수정보완이 필요함을 제시하였고, 구강보건정책 분야는 치과위생사로서 정책에 참여하고 치위생 정책의제를 발굴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하여 변화주도자, 옹호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국내 보건의료정책, 치위생 관련 정책 이슈의 변화, 정책과정, 정책참여, 정책평가 등의 내용을 중점으로 학습목표를 신설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 변화하는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여 사회치위생학 분야의 학습목표를 개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교육내용을 개편함에 있어 우선순위를 두어 개선하여야 한다는 것에 의견이 모아졌다. 첫째, 사회치위생학 학습목표를 개정하고, 실제 직무와 관련성이 높은 역량을 개발해야 할것이다. 둘째, 사회치위생학 학습내용은 지식, 태도,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목표를 적극 개발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개정된 학습목표와 역량을 기준으로 사회치위생학 교재와 교육자료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개정된 사회치위생학 학습목표를 바탕으로 치과위생사 국가시험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변화를 통하여 치위생(학)계는 학습내용이 지식중심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통해 다양한 활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치과위생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치위생학 학문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에 진출 한 후 임상과 지역사회 현장에서 치과위생사로서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할 수 있는 내실 있는 교육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치위생학의 학문적 정의와 위상에 따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Academic Defini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Dental Hygiene Science in Korea)

  • 한양금;한만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3-249
    • /
    • 2007
  • 우리나라 치위생학이 도입되지 약 4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치위생학 전공자들의 학문적 정의와 위상에 대하여 치위생(학)과 학생과 보건의료분야의 임상치과위생사 및 교직관련 분야의 대상자에게 설문을 통해 전공분야에 대한 학문적 정의와 위상에 대한 조사롤 실시한 결과 치위생학의 학문적 범위는 학생과 보건/의료분야 임상치과위생사와 대학교수간의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통일된 학문적 범위를 설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현재 치위생학의 위상은 다른 학문에 비해 뒤쳐져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매우 높게 조사되었으므로, 치과위생사의 발전을 위해 사회적 위상제고를 위한 민,관,학회 공동의 전문연구를 지원하고 또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적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연구가 조속히 이루어져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프로젝트 기반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수업적용 사례 (Application of a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1-41
    • /
    • 2018
  • 본 연구는 G시 S대학교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의 수업방법으로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18년 4학년 3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3월12일부터 6월27일까지이며,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조장의 팀 수행능력이 높은팀이 점수 결과도 높게 나타났으며($3.91{\pm}0.82$), 학생들은 실습은 꼭 필요하다($4.10{\pm}0.88$)하였고, 전공담당교수의 피드백($3.73{\pm}0.86$)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에서의 프로젝트기반 학습 수업적용에 의의가 있으며 수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임상치위생학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모듈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module in clinical dental hygiene)

  • Choi, Jin-Sun;Bae, Soo-Myoung;Shin, Sun-Jung;Shin, Bo-Mi;Lee, Hyo-Ji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92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수업 모듈을 개발하여 임상치위생학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문제중심학습을 운영하는 것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와 치위생학의 역량 수준, 성찰일지를 통한 학습자 의견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20년 2학기에 수행되었고, 연구대상은 4학년 2학기 과정의 임상치위생학(특수환자구강건강관리) 교과목 수강생 31명이었다. 개발된 PBL 학습모듈을 15주간 수업에 적용하였고, 모든 PBL 수업이 종료된 후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학생 역량 수준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PBL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고, 자가역량 수준도 수업 전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더불어, PBL 학습활동 후 성찰일지를 통해 상위주제 3개는 PBL 학습을 통해 얻은 역량, PBL 학습을 통해 배운 인문사회학적 요소, PBL 학습에서의 장애 요인이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PBL 학습모듈은 학생들이 문제를 파악하여 통합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역량뿐만 아니라 인문사회학적 역량 제고를 견인할 수 있는 수업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사회구강보건실습의 질 향상을 위한 일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보건소실습 만족도 조사 (A survey of the satisfaction of a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 for quality improvement of community oral health practice)

  • 김명희
    • 대한치과의료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8-44
    • /
    • 2017
  • 치위생(학)과 간 지역사회치위생학의 교육과정 개발 및 표준화를 위한 근거 마련 등의 연구 활동이 시급하다고 판단되는 바,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첫 단계로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지역사회구강보건 교과목의 현장 실습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학문체계 확립과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보건소 실습 만족도를 파악하고 둘째,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조사하여 교과목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보건소 실습 기간의 적절성을 파악하여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한다. 수도권에 위치한 일개 치위생학과 학부생 105명을 대상으로, 경기지역에 위치한 11개 현장실습 보건소에 대하여 실습 후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11개 보건소의 만족도 분석결과, 7점 만점에 전체 평균 5.3점으로 나타났으며 최저 3.7점, 최고 6.8점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영향을 준 긍정적인 요인은, '편한 실습환경'이 55.2%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며, '접근성(46.7%)', '많이 배울 수 있음 (31.4%)', '기타(6.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만족도의 요인은 학년별로 다른 분포를 보였다. 교육의 수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지역사회 구강보건실습 현황 및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은, 사회치위생 학문의 발전과 지역사회현장실습의 표준화를 위한 초기 근거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보건소)실습 실태 (Current education status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 김연주;한양금;김영경;임현주;권양옥;김한미;박정란;김남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7-146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obtained to identify current education status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Methods: It was designed cross section and self-reported on-line questionnaire(Survey monkey). It was performed probability sampling by targeting 82 dental hygiene schools(each one faculty member) in charge of community dental hygiene curriculum and 254 community health centers's community dental hygienists whom was working at oral health section. The response rate was 60% and 53%, respectivel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ime, duration, practice group, evaluation method, and practice contents including 63 learning objectives of dental hygiene. Results: Nearly half of these schools conduct such community field work practice in the spring semester of the junior year. This practice was mainly progressed based on average 4 students as one team per each one school for 7-8 hours a day during the period of more than 5 weeks(p<0.05). However, in case of both school and community health center, almost half of feedback after practice was not achieved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needs for practice educ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health center. Conclusions: We should be considered that a sufficient consultation for the practice environment and its content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health centers. It was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practice manual reflecting such requirement.

지역사회 치위생관리과정에 기반한 지역사회치위생학 실습 학습목표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learning goals of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um based on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 유상희;배수명;신보미;신선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9-153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and to develop competency-based learning goals applying the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Methods: Based on 12 references, the concept of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was defined, and 393 learning objectives were derived to carry out the first and second categorization process. The 57 learning goa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15-week learning subject (once a week) for project learning.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learning subjects and goals, 80 community dental hygiene professors were surveyed. The final learning subjects and goals were created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opinions from the 35 validity evaluation results received as responses, and opinions from 10 community dental hygiene professors. Results: The first and second validity surveys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showed 4.32 points and 4.60 point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the learning subjects and goals for 1~15 weeks, the average validity of the learning subjects was 4.44 points, and of learning goals was 4.32 points. Conclusions: The learning subjects and goals developed by appl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community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def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learning guideline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theory of community dental hygiene area and to derive the standards of competence in the field of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