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요소

검색결과 3,726건 처리시간 0.032초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시각과 청각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 of Visual/Auditory Factors in Video Communication.)

  • 함기훈;정성환;조동민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1-114
    • /
    • 2009
  • 멀티미디어(Multimedia) 시대에 있어 메시지(Message)를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 즉 커뮤니케이션 (Communication)은 시각적인 요소, 색채, 형태, 시간, 움직임 뿐 만 아니라 청각적인 요소도 메시지를 전달하는 표현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왜냐하면 시각이나 청각 어느 하나만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때보다 시 청각을 조화시켜 메시지를 전달 할 경우에 인지도가 훨씬 높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영상 커뮤니케이션이 가지고 있는 시 청각적 요소들의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오늘날 TV 이나 영화 인터넷 등등의 멀티미디어에서 우리는 정보전달과 설득의 영상 메시지들을 쉽게 접할 수 있다. 그 중에 특히 영상메시지의 역할을 극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광고영상에 속한 시각적 요소 타이포그래피와 청각적 요소 사운드를 통해서 시 청각적 요소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먼저 다양한 광고영상을 소구방법과 내용에 따른 분류를 통해 분야별로 나누고 그 분야에 따른 시 청각요소의 사용 빈도와 유형을 조사하였다. 타이포그래피는 전달방법에 따라, 사운드는 사용 유형에 따라 나누어 빈도와 유형을 조사하였다. 영상의 시각요소와 청각요소의 적절한 사용이 수용자로 하여금 선호도 및 인지도에 높은 효과가 있다는 분석 결과를 가지고 국내와 국외 광고영상의 시 청각요소의 분포도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향후 효과적인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하기 위해 시 청각요소의 연관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광고영상 제작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사용자 감정의 사회적 의미 조사 모델 제안 -대화형 에이전트와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Suggestion of a Social Significance Research Model for User Emotion -Focused on Conversational Agent and Communication-)

  • 한상욱;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67-176
    • /
    • 2019
  • 4차 산업의 선두에 있는 대화형 에이전트는 앞으로 사용자 중심의 개인화를 목표로 하며, 다양한 IoT와 연결할 수 있는 허브 역할을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개인화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정을 인지하고 올바른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것은 대화형 에이전트가 풀어야 할 숙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감정의 정의와 과학적 공학적 접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감정이 가진 사회적인 기능이 무엇이며 어떤 요소가 있는지 사회적 관점을 통해서 알아보고 이를 이용하여 감정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지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커뮤니케이션에서 감정의 사회적 요소들을 어떻게 발견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사용자 발화에서 사회적 요소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를 감정이 가지는 사회적 의미와 연결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에서 사회적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화형 에이전트를 디자인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상호작용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사회적 기업 이해: 선교적 교회를 중심으로 (The Understanding of a Social Enterprise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Focused on a Missional Church)

  • 봉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87-40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선교적 교회를 중심으로 한 기독교적 입장에서 어떻게 사회적 기업을 활용하고 또 지역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었다. 사회적 기업은 고도의 산업화로 인해 발생한 도시화, 실업, 경제적 양극화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을 정부나 비영리기업들이 해결하기에는 한계를 느끼던 과정에서 그 해결책으로 생겨났다. 사회적 기업은 나라마다 사회적 기업의 유형이 다를 뿐 아니라, 심지어는 같은 나라 안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사회적 기업이 존재하기 때문에 한 마디로 정의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지만 그것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가치는 분명히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기업이 등장했던 시기와 때를 같이하여 기독교계에서는 선교적 교회(론)이 등장하였다. 사회적 기업과 선교적 교회을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출현시기, 출현배경, 사업가치, 활동의 초점, 기본요소 등에서 공통적 요소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가 공동체적 차원에서 사회적 기업과 협력하여 보다 건강한 지역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적용점들을 제안하였다.

지역역량 강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민참여 요소 분석 (Exploring Key Facts of Residents' Participation for Local Capacity Building)

  • 이영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61-272
    • /
    • 2009
  • 본 논문은 지역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요소 중 하나인 지역사회 활동에의 '참여 요소'를 검토하고자 한다. 지역활동에 참여하지 않던 주민이 어떤 경로를 통해 참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고, 지속적으로 참여를 하게 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역량 강화를 위해서 주민참여의 수준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참여를 끌어내고 지속시키기 위한 3가지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신이 한 일에 대한 지역사회로부터의 인정, 즉 사회적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지역사회에서의 작은 참여, 둘째, 자신의 문제를 공유할 수 있다는 신뢰 관계의 구축, 셋째, 개인적인 이해(관심)를 지역 수준의 현안으로 확대시키는 노력이다.

  • PDF

수학 학습에서 학생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도구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Checklists for Students' Interaction with Others in Learning Mathematics)

  • Koh Sang Sook;Koh Ho Kyung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4호
    • /
    • pp.443-455
    • /
    • 2002
  • 정보화시대를 맞아 어느 때보다도 활발히 전교과에 걸쳐 학생의 의사소통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학교현장의 수학교육자는 수학교수-학습에서 어떤 상호작용이 일어났는지, 특히 다루기 쉬운 도구로써 계산기가 주어졌을 때 어떻게 학생의 지식 발달이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지를 알아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생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때 필요한 분석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예비연구와 본 연구를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의 구성요소가 세 영역, 즉, 지식구성 진술, 사회적 상호작용 진술, 그리고 교사의 교육어 진술에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료를 이용하여 특히 학생의 지식 구성 발달에 따른 상호작용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에 필요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가능하다.

  • PDF

웹 2.0 환경에서 사회적 영향이 사용자의 인지적 평가와 몰입, 사용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Influence on Users' Cognition, Flow, and Actual Usage in Web 2.0)

  • 문윤지;김민선;김우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4752-4759
    • /
    • 2010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과 몰입 이론에 근거해서 웹 2.0 환경에서 사회적 영향요소가 개인의 인지와 몰입, 그리고 실제 사용성에 미치는 상호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혁신적인 정보기술을 수용함에 있어 사용자는 정보 기술을 특별한 추가 노력 없이 사용방법을 습득하여 자신의 업무나 목적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지 그 용이성과 유용성을 인지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또한 웹 2.0의 대표적 형태 가운데 하나인 UCC(user-created-contents)와 같은 정보기술에 있어서는 업무의 유용성과 더불어 사용자가 얼마만큼 즐겁게 웹 사이트를 활용할 수 있는지 그 몰입(flow) 역시 사용자의 향후 활용 수준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UCC 영역에서 사용자의 활용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용이성, 유용성과 같은 인지적 평가 요소와 몰입의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고자 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생산되는 컨텐츠가 주류를 이루는 롱테일 현상으로 일컬어지는 웹 2.0 환경에서는 이러한 사용자의 인지와 몰입이 사회적 영향에 민감할 수 있는 바, 사회적 영향을 요소 역시 연구모형에 포함시켜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영향은 인지된 유용성과 용이성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몰입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개인의 인지적 평가와 몰입이 UCC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유의성과 용이성, 몰입이 모두 긍정적으로 사용자의 사용수준을 높이고 있음이 밝혀졌다.

BtoB 기업간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식흡수역량의 매개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on the Firm's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Knowledge Absorption Capacity -)

  • 엄성원;임병학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5호
    • /
    • pp.175-193
    • /
    • 2017
  • 본 연구는 BtoB 기업 간 거래에서 형성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지식흡수역량의 매개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즉, 사회적 자본의 각각의 차원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기존선행연구에서 제시하지 않은 사회적 자본의 각 차원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사회적 자본 중 어떠한 요소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지식흡수능력에 따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회적 자본을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즉, 구조적 차원, 관계적 차원 그리고 인지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각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먼저 구조적 차원이 관계적 차원에 영향을 미쳤으며, 관계적 차원이 인지적 차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구조적 차원 또한 인지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던 것을 검증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두 번째, 사회적 자본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지식흡수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식흡수역량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식흡수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한 결과 사회적 자본과 기업성과 사이에서의 매개된 조절 효과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BtoB 거래에서 축적된 사회적 자본을 어느 정도 흡수하는가에 따라 두 기업의 성과는 분명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미 지리교육의 내용과 조직 비교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Geographic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urriculum-A Comparative Case Study of U.S. and Korea)

  • 박선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1-210
    • /
    • 2001
  •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우리나라 제 7차 사회과 규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지리교육의 방향, 내용 및 조직을 분석하고 뉴욕주의 2000년 에 제시된 그것과 비교하였다. 우리나라와 미국의 지리교육의 내용과 조직에 대한 연구는 양국의 교육과정 개발 관점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현대 사회에서 교과로써 경쟁력을 갖춘 지리교육의 방향 및 지리적 지식의 성격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다. 뉴욕주의 지리교육은 <기본으로의 복귀> 분위기 속에서 지리교육에서 학습해야 할 6가지 핵심 요소를 추출하고 그에 따라 내용을 체계화한 반면 우리 나라의 경우 한국과 세계의 지역지리, 계통 지리의 내용을 나열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백과사전식 내용 구성은 정보화 사회에서 지리교육의 역할을 스스로 축소시키고 지리교육에 대한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미국 뉴욕주의 지리 내용과 조직은 우리나라 지리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방향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지리교육의 생장력을 키우기 위한 지리 내용은 현대 사회 및 학습자의 요구와 지리학의 경향과 쟁점에 근거하여 그 핵심 요소가 선정되어야 하고, 지역적 방법과 계통적 방법을 적절하게 결함시켜 역동적이고 흥미있게 조직되어야 한다.되어야 한다.

  • PDF

과학교과의 사회정서학습(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적용 가능성 탐색: 과학 교과서의 과학과 사회정서학습 요소 분석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to Science Subjects: Analysis of Social Emotional Learning Contents in Science Textbooks)

  • 박현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3호
    • /
    • pp.297-317
    • /
    • 2017
  • 본 논문은 과학과에서 사회정서학습(Scienc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SEL)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과학과 사회정학습 요소를 제안하고, 그에 따라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물질 분야 및 고등학교 화학I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과학과 사회정서학습의 가능성과 필요성은 과학교육의 목표인 과학적 소양과 과학의 본성에서 찾을 수 있었다. 과학과 사회정서학습의 요소는 '수리(Numeracy),' '정보통신활용(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 '창의적 사고(Creative Thinking),' '사회적 기술(Personal and Social Capability),' '윤리적 이해(Ethical Understanding),' '문화적 이해(Intercultural Understanding)'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고, 그에 따라 과학 교과서 중 물질의 분야 및 화학I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과학과 물질분야의 교과서 내용 및 화학I 교과서의 내용에 수리, 정보통신활용,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가 60~70% 이상 포함되어 있으나, 사회적 기술능력, 윤리적 이해 능력, 문화적 이해 능력 등은 제한적으로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의 부족한 요소들에 대해서는 추후 교과서의 내용의 수정 또는 교사의 수업을 통한 보완 등이 필요하다. 또한 과학 교과에서 얻고자 하는 과학적 탐구 능력과 사회정서적 역량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과학과 활동이나 실험 활동 등 구체적인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회적 거리분석: 선거자료와 결혼선호도자료에서 나타난 지역주의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ocial Distance using Election and Marriage Preference Data)

  • 이명진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2권1호
    • /
    • pp.37-57
    • /
    • 2001
  • 본 연구는 최근의 사회조사와 선거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사회의 지역주의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최근의 선거결과에 보이는 지역주의적 투표는 지역간 사회적 거리를 잘 보여주고 있다. 둘째. 이러한 사회적 거리는 ‘편견과 차별’의 형태로 다양한 일상생활에서 존재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편견을 믿고 있으며, 편견에 의한 지역적 차별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경험은 특정지역(호남)과 관련되어 있다. 셋째, 이러한 정치적 측면(지역주의적 투표)과 사회적 측면(지역간 편견)을 선거제도와 연결하여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한국사회의 정치제도의 변화에 대한 전망을 할 수 있다. 연구의 잠재적인 가정은 선거에 있어서 지역적인 투표가 무조건 ‘나쁜’것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한국 정치에서 나타나는 지도자나 이데올로기의 편향은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투표나 선거에서 출신지를 중요한 요소로 삼게 하였다. 이러한 요소는 쉽게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며. 앞으로 선거제도의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예측은 세 가지 중요한 요소에 근거하고 있다. 첫째, 유권자들의 지역주의에 대한 믿음과 예측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둘째. 정치지도자들은 지역주의를 선거와 관련한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최대한 이용할 것이다. 셋째, 지역주의에 근거한 유권자들의 성향은 최근 선거와 투표에서 더욱 강화되고 있다. 정치엘리트들이 지역적인 기반을 중심으로 결합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이들 정치엘리트 사이의 내각중심제에 대한 선호도와 지역당의 출현 가능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