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외모 불안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대학생의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shion Competence on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and Appearance Anxiety)

  • 이애우;이윤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99-115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235명의 대학생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6.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패션 유능감의 하위 요인으로는 패션 관여도, 패션 혁신성, 패션 코디 자신감이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을 통하여 매개모형을 분석한 결과, 패션 관여도는 대인관계능력을 통해 사회불안을 간접적으로 낮추는 반면, 외모 불안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패션 혁신성은 외모 불안을 통해 사회불안에 간접 영향을 미치지만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패션 코디 자신감은 대인관계능력과 외모 불안 모두를 통해 사회불안에 간접적 영향 미쳤으며, 직접 효과도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패션 유능감이 사회불안에 대해 양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대학생들의 사회불안 해결을 위해 패션 테라피 프로그램을 통해 패션 코디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유용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에서 패션 혁신성의 과도한 추구는 외모 불안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지양하여야 하며, 자신의 외모에 대한 자신감 증진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다.

한국판 사회적 외모불안 척도(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ppearance Anxiety Scale, K-SAAS) 타당화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ppearance Anxiety Scale)

  • 이민지;김미리혜;김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
    • /
    • 2023
  • Objective : To translate and adapt the Social Appearance Anxiety Scale into Korean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ppearance anxiety scale, which measures the fear and anxiety about being negatively evaluated by others based on one's overall appearance, including body shape. Methods : For item translation and adaptation, six bilingual translator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forward-adaptation and back-adapt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The sample size is 105 for Study 1 and 212 for Study 2. Classical item discrimination and difficulty analys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 A unidimensional structure was found with a high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0.95) and a high test-retest reliability (r=0.918). In addition, the concurrent validity was examined by correlations of the scale and several other scales measuring constructs related to social appearance anxiety. Conclusion : K-SAAS appears to be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screening and assessing social appearance anxiety.

사회적 외모 불안과 부정적 신체 이미지 및 외모 중시도가 외모관리행동 및 미용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nd Appearance Importa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 김준희;정명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25-636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ppearance importanc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428 female college students in Gwangju City, Ko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o analysis the data, the SPSS 20.0 was used, and frequenc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cial appearance anxiety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Second, negative body image had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Third, appearance importance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osmetic surgery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suggest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seek for measures to reduce individual's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nd appearance importance. Especially, People should get the realization of the beautiful on the inside that includes personality is more important than having external beaut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requirements of the social effort and education through a school and a media as well as a family for reducing the individual's appearance anxiety, negative body image, and the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appearance as rejecting the discrimination based on appearance.

노인접촉,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죽음불안이 대학생의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lderly Contact, Attitudes Toward Elderly and Death Anxiety on Aging Anxiety of College Students)

  • 김민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9권3호
    • /
    • pp.435-45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서울과 경기 지역 소재 대학의 학부생 3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노화불안의 하위 차원 중 노인에 대한 두려움 차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노인접촉 질과 노인에 대한 태도였으며 심리적 불안정 차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노인접촉 질, 노인에 대한 태도, 죽음불안이었다. 신체/외모에 대한 걱정 차원의 경우, 노인접촉 질, 죽음불안, 성별이 영향을 주었고 상실의 공포 차원에는 노인에 대한 태도와 죽음불안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전반적으로 죽음불안이 낮을수록, 접촉의 질이 긍정적일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노화불안이 낮았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노화에 따른 신체/외모에 대한 걱정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노인접촉 빈도와 노화에 대한 지식은 노화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의의,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연령주의(Ageism)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연구 (Ageism Survey : A Report on Instrument Development)

  • 김주현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53-7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연령주의(Ageism)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노인집단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관련된 측정도구들을 평가하고 이에 기초하여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인식(편견, 고정관념, 기피), 차별행동 등 연령주의에 대한 다차원적인 내용이 포함되도록 문항을 개발했으며 이에 대한 검증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연령주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다차원적 문항을 정리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예비문항 44개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사전조사 분석을 통하여 31개의 예비문항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8세 이상 1,535명을 대상으로 문항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적신뢰도 분석을 통해 8문항을 정리하여 23개 문항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7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21개 문항이 구성되었다. 하위 요인으로는, 노화에 대한 인식으로서 노화에 대한 불안, 외모변화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요인과 한편 노년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내는 요인도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에 대한 편견, 기피/회피를 나타내고 극단적으로 노인집단과의 분리를 나타내는 요인, 연령(고령)에 대한 차별 행동이 주요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연령주의 척도는 사회구성원으로서 노인집단의 위치와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이 결과는 노인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노인관련 업무를 실천하는 현장에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태도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PDF

노년 여성의 자아의식과 외모관리행동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Older Women)

  • 류현혜;유태순
    • 복식
    • /
    • 제57권9호
    • /
    • pp.97-109
    • /
    • 2007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o grasp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depending on self-consciousness which older women feel personally; to understand their needs more deeply; and to give support in planning and conducting marketing strategies effectively in the beauty and fashion marke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ged women ranging 55 to 69 in age, living in Daegu and Geongsangbukdo.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97 questionnaires out of 440 returned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through statistic analyses are following: 1. Among older women, the higher social self-consciousness group appeared to pursue six types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i.e., weight body-shape care, skin care, cosmetic behavior, hair care, cosmetic surgery, and clothing behavior) much more than the lower social self-consciousness group. 2. Compared with the lower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the higher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appeared to care for not only weight body-shape care but also skin care, cosmetic care, and cosmetic surgery, clothing behavior with more interest in ordinary times. In terms of hair care,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and the lower private self-consciousness group.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social anxiety group and the lower social anxiety group in weight body-shape care, skin care, cosmetic behavior, hair care, cosmetic surgery, and cloth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