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비교수준

Search Result 1,09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conomic development, Social Condition, and Social Welfare Development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경제수준, 사회수준, 그리고 사회복지수준 : 국제간 사회복지수준 비교)

  • Kim, Chul-S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5
    • /
    • pp.155-179
    • /
    • 2003
  • This paper compares two indicators,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condition, to find a better way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condition is more adequate indicator than economic development. The social condition has high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 all the 78 countries as well as in five groups of countries when the economic development is controlled. The comparison of two indicators reveals important findings. Among other thing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condition compared with economic development, the larger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This tendency is particularly strong among the western European countries and former socialist countries.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acro-level policy of social redistribution is also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welfare in addition to micro-level policy of income redistribution. As we expec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Korean social welfare development is very low. Considering our level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social condition, predicted social welfare expenditure from regression model is at least 17% of GDP, but we are spending only 30% of this predicted expenditure. Another serious problem in Korean social welfare is unbalanced expenditure between social insurance and public assistanc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ree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to improve Korean social welfare: First of all, the gap between predicted and actual expenditures should be closed to improve the minimum level of social welfare. Secondly, the level of social condition itself should be improved to increase the public awareness of social welfare. Finally, the wide difference in expenditure between universal and selective social welfare programs should also be removed to decrease the relative deprivation of the poor.

  • PDF

Does Social Enterprise Provide a Decent Work to Women? (사회적기업은 괜찮은 여성일자리인가?)

  • Kwag, Seon-Hwa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4
    • /
    • pp.53-79
    • /
    • 2013
  • Social enterprises can be identified roughly as social purpose-oriented business ventures. They often fill the gaps left by governmental and commercial ventures in providing for certain vulnerable sectors of society. Though social enterprises often adopt market mechanisms in their organizational structures, their emphasis on particular social outcomes means that they intentionally pursue double/triple-bottom lines, thus distinguishing them from many traditional for-profit businesses. Among the Korean laborers, women have been hardest hit by the global economic crisis. As the movements have substantially been taken to strengthen women's economic activities in the recent years, many policies are formulated with these trends, connecting women's employment with social enterprise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social enterprises to be friendly and to provide decent work to women. Data were collected from 491 social enterprises and 830 worker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men's employment in social enterprises has accounted for a relatively high rate and the women's wage also is similar to men's one. Second, as for work conditions and types, most women have preferred irregular and non-managerial work. Thus, social enterprises have showed a positive response for the women's job opportunities, while social enterprises have had a negative one for enhancing the women's status at the labor market. In conclusion, social enterprises should institutionalize how to provide more stable working condition to women and to improve their's capacity.

  • PDF

IMF 외환위기와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변화

  • Kim, Du-Seop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30 no.1
    • /
    • pp.67-95
    • /
    • 2007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IMF 외환위기를 계기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3년 전국출산력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49세 기혼 여자의 총출생아수와 1998년 이후의 출생아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대상을 1997년 이전에 결혼하였거나 재혼한 부인들과 1997년 이후 처음 결혼한 부인들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여 출산력 수준과 출산행태를 비교함으로써 IMF 외환우기 이전과 이후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총출생아수에 대한 분석 결과. 부부의 사회경제적인 조건과 출산수준은 대체로 뒤집어진 J 자형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출산수준이 낮아지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장 높은 집단은 바로 밑의 집단 보다 출산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런데, 최근의 출산수준은 이러한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과는 뚜렷하게 대조적인 양상을 나타냈다. IMF 외환위기 이후 출산수준 감소의 폭은 기존의 출산수준과 정비례하는 방식으로 미루어졌다. 출산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급속한 출산력 저하가 이루어졌으며 출산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상대적으로 변화가 완만하였다. 그 결과, 최근의 출산수준은 중상층에 해당하는 사회경제적 지위를 지닌 집단이 가장 높고, 다음이 최상위 집단, 그리고 하위 집단의 순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경향은 부부의 교육수준, 직업, 종사상 지위, 주관적 계층에 따른 최근 출산력의 변화양상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났다.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in Jeju Province, South Korea (제주지역 성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 Park, Eun-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6 no.1
    • /
    • pp.25-35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Methods: This study analyzed raw data from a project funded by Jeju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home visit interview with 750 households selected by using a randomized cluster sampling method. CES-D was used to measure depression, and the Medical Outcomes Study Social Support Survey was used to measure social support. The data of 1,155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and regression. Results: The mean was 11.35 for depression and 75.53 for social support. Women showed a higher depression score and a lower social support score than men did. Older people; the divorced or the bereaved; and those in groups comprising people with lower education, lower social class, poor health, or high stress presented higher depression and lower social support. The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showed that social support was one of the predictive variables of depression, and 22% of variance was explained by social support in this study. Conclusions: Social support was a powerful predictive variable of depression, and it was suggested that to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strategies that enhance social support should be developed and evaluated.

Comparison of Corporate Security Control Level with Social Trust Index (사회 신뢰수준에 따른 기업의 보안통제 수준 비교)

  • Na, Husung;Lee, Kyu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7 no.3
    • /
    • pp.673-685
    • /
    • 2017
  • STI(Social Trust Index) indicates levels of trustworthiness, honesty and reliability among people in a society. Since the STI varies in countries, security control on cyber space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TI so that companies can protect their asset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We compare STIs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using the Diamond Model and investigate how the STIs affect corporate security controls in those two countries. We finally present a formula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measure levels of corporate security controls in different countries.

국민생활수준(國民生活水準)의 국제비교분석(國際比較分析)

  • Gwon, Sun-Won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3 no.3
    • /
    • pp.113-133
    • /
    • 1991
  • 본고(本稿)는 국민생활수준(國民生活水準)에 영향을 주는 주요 거시(巨視) 및 미시지표(微視指標)의 국제비교를 통하여 우리나라가 추구해 온 개발전략(開發戰略)을 재조명(再照明)하고 우리의 현재좌표(現在座標)를 검토코자 집필되었다. 자료(資料)의 제한(制限), 국제비교(國際比較)에서 흔히 제기되는 평가(評價)의 문제 등에도 불구하고 국제비교분석(國際比較分析)은 유용한 수단(手段)이었으며 다음과 같은 정책적(政策的) 함의(含意)를 얻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 한국(韓國)이 추구한 개발정책(開發政策)의 역점(力點)은 대체적으로 경제성장(經濟成長)에 두어져 왔었다고 분석되고 있다. 이는 높은 경제성장률(經濟成長率)이나 1인당(人當) 소득(所得)의 지속적인 증가를 통하여 소비수준(消費水準)의 제고와 소비구조(消費構造)의 개선 등 국민생활수준(國民生活水準)의 향상으로 연결되고 있다. 더불어 소득분배(消費分配)를 위시하여 보건(保健), 영양지표(營養指標) 등 사회지표(社會指標) 측면에서도 개선되는 추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와 같은 개발정책(開發政策)의 성공적(成功的) 결실(結實)은 국민복지증진(國民福祉增進)에 크게 이바지한 것임에 틀림없으나 사회복지향상(社會福祉向上)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은 미흡하였다. 지속적인 고도성장(高度成長)의 결과 국민생활향상(國民生活向上)을 위한 기본요건(基本要件)인 1인당(人當) 소득(所得)이 크게 증가되어 빈곤인구(貧困人口)가 꾸준히 줄어들고 있으나 생활(生活)을 둘러싸고 있는 경제(經濟) 사회적(社會的) 환경은 상대적으로 열악(劣惡)해지게 되었다. 앞으로도 산업화(産業化)와 도시화(都市化)가 계속될 전망임에 비추어 국민생활(國民生活)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생활여건(生活與件)의 개선(改善)에 대한 각별한 정책적(政策的) 배려(配慮)가 요청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경제(經濟)의 안정적인 운영과 함께 국민생활수준(國民生活水準)의 내실(內實) 있는 향상을 기해 나가자면 고도성장(高度成長)이 준 부작용(副作用)을 극소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삶의 질(質)에 대한 수용할 만한 국민적(國民的) 욕구(慾求)를 과감히 받아들여 사회개발(社會開發)에 돌려지는 공적지출(公的支出)을 꾸준히 늘려나가되 일본(日本)의 경험이 시사하는 것처럼 비용효과적(費用效果的)인 지출이 되도록 제도적 장치가 강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국민생활수준(國民生活水準)의 개선은 장기적(長期的)인 시각(視角)에서 비전과 일관성을 지니고 추진되어야 할 성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 PDF

Special theme 1 - 2013년 북한 GDP 추정과 남북한 경제.사회상 비교

  • 한국시멘트협회
    • Cement
    • /
    • s.202
    • /
    • pp.4-8
    • /
    • 2014
  • 현대경제연구원은 북한의 경제수준을 평가하고 국제비교를 위해 보건지표와 곡물생산량을 활용하여 'HRI 북한 GDP 추정모형'을 개발하고 북한의 1인당 명목 GDP를 산출하여 이를 매년 발표하고 있다. 여기서는 현대경제연구원의 '2013년 북한 GDP 추정과 남북한의 경제 사회상 비교' 보고서를 통해 2013년 북한의 1인당 명목 GDP를 추정하고 남북한 산업구조와 경제적 사회적 차이점에 대해 살펴본다.

  • PDF

Exploratory Study of Generational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세대별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 세대의 탐색적 비교연구)

  • Kim, Yojin;Choi, Youse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727-736
    • /
    • 2021
  •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different generations, this study assesses the subjective well-being(SWB) from eudaemonic perspective. Data was drawn from a survey of 1,214 adults in Korea. This research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even assessed from eudaemonic approach, material factors are still essential in explaining the variation of SWB. People in industrialization generation are less happy than other generations. Satisfaction with family and different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re related to SWB. This study suggests needs for focused attention on the factors affecting SWB in each generation.

한국 성인의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 및 이와 관련된 변인 분석

  • Lee, Min-Jun;Min, Sung-Hee;Lee, Yang-Ja;Yoon, Sun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03.2-404
    • /
    • 2004
  • 최근 대두섭취가 극히 제한되어 있는 서구사회에서 전립선암, 유방암, 골다공증과 같은 호르몬 관련 질환과 심혈관질환의 유병률이 대두식문화권 있는 아시아인에 비해 현저히 높음이 몇몇 역학연구에서 보고 되고, 대두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의 생리적 활성이 밝혀지면서 대두 및 이소플라본 섭취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인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에 관한 자료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을 평가하고 생태학적 변인에 따른 대두/이소플라본의 섭취 수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중략)

  • PDF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Digital Literacy for Learning

  • Jang, Mun-Gyeong;Aavakare, Milla;Kim, Seong-Cheol;Nikou, Shahrokh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65-67
    • /
    • 2020
  • 우리사회의 지속적인 ICT 발달과 함께 코로나19 창궐 등의 예상치 못한 사회적 상황이 발생하면서 비대면(untact) 교육을 위한 디지털 기술 사용이 우리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높아졌다. 이와 같은 상황에 적응하는 양상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 수준에 따라 사람들 간에 많은 차이를 보인다. 이와 같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 수준은 디지털 기술 활용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과거에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 수준이 연령, 성별 등의 인구통계학적 요소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 인식 되었으나, 최근 연구에서 인구통계학적 요소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ICT 기술이 발달하였음에도 어떠한 요소들이 ICT기술이 학습에 사용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실정과 다른 나라와의 비교를 위해 핀란드와 우리나라 20-30대를 대상으로 설문한 내용을 분석하여 학습을 위한 디지털 기술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기술 사용의도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