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불안/회피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6초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진로미결정수준과의 관계: 사회비교경향성, 자기비난, 부정적 평가두려움의 다중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of Anxious Attachment, Avoidant Attachment and Career Indecision: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Self-Criticism,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 손영미;박정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3호
    • /
    • pp.145-166
    • /
    • 2020
  • 본 연구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가 사회비교경향성, 자기비난, 부정적 평가두려움을 매개하여 진로미결정수준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4학년 재학 이상의 취업경험이 없는 20대 미취업자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불안이 높을수록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며, 사회비교를 하는 경향성이 있고, 자기비난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착회피가 높을수록 부정적 평가를 두려워하며, 자기비난을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사회비교의 경향성은 낮았다. 둘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진로미결정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애착불안, 애착회피, 진로미결정수준과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 자기비난, 부정적 평가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애착유형에 따라 진로미결정수준으로 이어지는 매개효과의 양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애착불안은 자기비난과 사회비교경향성을 부분매개하여 진로미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애착회피는 자기비난과 사회비교경향성을 완전매개하여 진로미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Psychological Adaptation)

  • 박수애;송관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2호
    • /
    • pp.1-2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불안이 개인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회적 불안을 더 많이 느끼는 사람들이 적게 느끼는 사람들에 비하여 걱정증상과 신경증 수준이 높았고 삶의 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수준은 낮았다. 사회적 불안의 하위 영역과 하위 차원 중 심리적 적응도를 예언하는 영역이나 차원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부정적 적응은 주로 개인불안에 의해 유발되는 반면, 긍정적인 적응은 개인불안과 함께, 공정성불안과 미래불안에 의해 예측되었다. 또한 사회적 불안 하위 차원 중에서는 상황을 염려하여 사람들이 느끼는 불안인 예견불안이 긍정적, 부정적 적응도를 유의하게 예언하였다. 사회적 불안과 최근 발생한 응답자들의 행동이나 생각 변화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불안이 높은 응답자일수록 최근 공격반응이나 포기반응을 더 자주 하였다. 특히 공격반응의 경우 개인불안이 유의한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며, 포기반응의 경우에는 정치불안과 사회문제불안이 유의한 예언변수로 나타났다. 사회적 불안차원 중에서 공격과 포기반응을 예측하는 변인은 예견불안이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불안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살펴본 결과, 응답자들은 전반적으로 문제해결적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 불안 수준이 높은 사람들이 사회적 불안이 낮은 사람들에 비하여 소망적 사고를 많이 하고 있었고, 특히, 안전불안과 정치불안을 많이 느끼는 사람일수록 소망적 사고를 많이 하였다. 반면에 반응불안이 높은 사람은 문제 회피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Relational Aggression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Girls)

  • 이화목;김현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352-361
    • /
    • 2019
  • 본 연구에는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이 매개하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 초등학교 4, 5, 6학년 여학생 177명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척도, 정서조절능력척도, 관계적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사회불안은 관계적 공격성과 정적 상관을, 정서조절능력 전체 및 하위요인인 문제 중심적 대처 지지추구의 긍정적 절서조절과는 부적 상관을 감정발산, 공격적 표현, 회피와 같은 부정적 절서조절과는 정적 상관을, 정서조절능력은 관계적 공격성과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이 완전매개 하였다. 셋째, 사회불안이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문제 중심적 대처 지지 추구와 같은 긍정적 정서조절은 부분 매개를, 감정발산, 공격적 표현과 회피와 같은 부정적 정서조절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와 초등상담의 실천적 함의 및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집중산만 전략을 활용한 건강염려증의 해소 방안 -인지치료적 접근- (Solution Method of Hypochondriasis through Focused Distraction)

  • 전요섭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229-239
    • /
    • 2023
  • 이 연구는 집중산만 전략을 활용한 건강염려증의 해소 방안을 모색하는 문헌연구이다. 건강염려증은 우리말로 건강기우증, 건강불안, 질병공포, 질병불안장애, 건강염려성 신경증, 건강염려성 성격장애, 신체 증상장애 등의 용어로 불리워지나 이 연구에서는 건강염려증으로 명명한다. 이는 기본적으로 염려, 두려움, 불안 더 나아가 공포를 야기하여 가정, 직장 및 사회에서 삶의 질을 저하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건강염려증은 주로 중년기 성인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로서 자기자신에게 집중, 몰두하다가 이에 노출된다. 이 증상은 건강에 대한 지나친 염려로 인해 빈번한 건강검진 등 병원을 전전하면서 상당한 사회적 비용이 소비되고, 개인의 삶의 질이 저하되어 상담심리, 심리상담 분야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해주고, 심리적 평안을 회복하도록 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건강염려증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인지 전략 가운데 집중산만 전략을 활용하여 그 증상 해소를 모색해보려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집중산만 전략은 일종의 인지적 '회피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자신의 건강에 대하여 지나치게 집중하는 인식, 주의를 회피, 다른 방향으로 '분산'시키거나 '산만'하게 하는 것으로 건강염려를 약화시키는 것이다.

또래 괴롭힘 참여자의 사회적 지위 및 사회적 정서에 관한 연구 : 성별을 중심으로 (Bullying Situations :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and Social Emotions of Participant Roles)

  • 심희옥
    • 아동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91-205
    • /
    • 2008
  • This study explored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tatus, acceptance/rejection, perceived popularity, social emotions, avoidance and anxiety by participant roles in bullying situations. Subjects were 215 6th grade children. Instruments were the Participant Roles (Sutton & Smith, 1999), Peer Nomination (Coie & Dodge, 1983 Cillessen & Mayeux, 2004), Social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Franke & Hymel, 1984) scales. Results showed that more boys than girls were in pro-bullying participant role groups; more girls than boys were in outsider groups. Boy pro-bullies were high in social rejection. Boy defenders were high in popularity and low in social avoidance. Boy outsiders had high social anxiety. Girl victims had low social status, low social acceptance and lowest perceived popularity; they were high in social avoidance and social rejection.

  • PDF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through SNS on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 백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66-475
    • /
    • 2015
  • 본 연구는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교사들의 성인애착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03부의 응답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성인애착에서는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도구적지지가 애착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회피에서는 정서적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NS를 통해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스트레스

  • 한창수;전현두
    • 건강소식
    • /
    • 제30권10호통권335호
    • /
    • pp.6-11
    • /
    • 2006
  •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각종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 불안한 미래와 과다한 업무, 가족 간의 불화, 각종 사회적 위험요소가 팽배한 현실에서 현대인들이 받은 스트레스는 회피할 수도, 저항할 수도 없는 삶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것이다. 심한 스트레스는 우리의 정신적인 안정을 깨뜨리고 불안감과 긴장감을 유발한다.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을 해치는 주범이 되기도 하지만 그렇다고 스트레스가 모두 다 해로운 것만은 아니다. 스트레스는 어려움을 극복하게 하고, 목표를 성취하도록 힘을 주며, 동기를 유발시키고 삶의 활력을 불어넣기도 한다. 따라서 건설적일 수도 있고, 파괴적일 수도 있는 스트레스를 어떻게 다루는가에 따라 우리의 건강과 행복을 크게 영향을 받게 된다. 이번 10월호에서는 고디 안산병원 한창수 교수와 한국 심리적성센터 전현두 원장의 도움말로 스트레스에 관해 자세히 알아본다.

  • PDF

의인화 수준에 따른 스마트 스피커 이용자의 고독감, 사회적 단절, 애착 및 이용행태의 차이 (Differences in Loneliness, Social Disconnection, Attachment, and Usage Behavior of Smart Speaker Users Depending on Anthropomorphism Level)

  • 장예빛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93-102
    • /
    • 2022
  • 의인화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들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이나, 의인화를 경험하는 이용자의 특성 및 이들의 이용행태에 관해서는 탐색이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스마트 스피커 이용자의 의인화 수준에 따른 이용자의 외로움, 사회적 단절, 애착 및 스피커 이용행태의 차이에 관해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스마트스피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총 320명의 이용자들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의인화 수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이용자의 외로움, 사회적 단절, 애착불안, 하루 평균 스피커 이용 빈도 및 의인화 행동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애착회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스피커와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인터랙션 설계에 관한 주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동의 컴퓨터게임 몰두성향과 심리사회 및 행동적 특성에 관한 연구 (Computer Game Immersion and Children's Psychosocial/Behavioral Characteristics)

  • 송숙자;심희옥
    • 아동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7-41
    • /
    • 2003
  • Data for this study on computer game immersion were collected from 538 1st through 6th grade students with the use of questionnaires. Instruments included the computer immersion scale, and the self-concept, social avoidance and anxiety, aggression, and impulsiveness scales. Results showed that boys were more involved in computer games than girls, and 6th graders were more immersed than 1st through 5th graders. Self-concept, social anxiety, aggression, and impulsivity differed by degree of computer game immersion. Aggression was the most powerful explanation of computer game immersion. Children higher in impulsivity and social anxiety were more involved in computer games. Children higher in self-concept were less involved in computer games.

  • PDF

연령주의(Ageism) 척도의 개발 및 타당성 연구 (Ageism Survey : A Report on Instrument Development)

  • 김주현
    • 한국인구학
    • /
    • 제35권1호
    • /
    • pp.53-7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연령주의(Ageism)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노인집단에 대한 인식 및 태도와 관련된 측정도구들을 평가하고 이에 기초하여 노화불안, 노인에 대한 인식(편견, 고정관념, 기피), 차별행동 등 연령주의에 대한 다차원적인 내용이 포함되도록 문항을 개발했으며 이에 대한 검증작업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연령주의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다차원적 문항을 정리하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예비문항 44개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사전조사 분석을 통하여 31개의 예비문항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8세 이상 1,535명을 대상으로 문항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적신뢰도 분석을 통해 8문항을 정리하여 23개 문항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7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21개 문항이 구성되었다. 하위 요인으로는, 노화에 대한 인식으로서 노화에 대한 불안, 외모변화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요인과 한편 노년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내는 요인도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에 대한 편견, 기피/회피를 나타내고 극단적으로 노인집단과의 분리를 나타내는 요인, 연령(고령)에 대한 차별 행동이 주요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연령주의 척도는 사회구성원으로서 노인집단의 위치와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이 결과는 노인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노인관련 업무를 실천하는 현장에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태도에 대해 재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