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

Search Result 1,30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ffect of Network Variety and Strength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Enterprise (네트워크 다양성과 강도가 사회적 기업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 Chung, Dae-Yong;Kim, Min-Su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03-806
    • /
    • 2010
  • 저고용을 통한 고효율로 기업생산성을 추구하는 결과, 야기되는 고용의 불균형을 타개하기 위해 2007년 정부는 사회적 기업 육성법을 통해 사회적 기업을 장려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전 세계적 으로도 사회적 기업에 관련된 연구를 미국의 로버츠 재단, 영국의 Social Firms, EMES European Research Network 등이 중심이 되어 사회적 기업의 생존 전략과 사회적 자본 활용을 통한 발전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사회적 기업 발전에 필요한 기업생존, 고용증대, 매출증대, 권한위임을 종속변수로 Granovetter Mark, Burt Ronald, Coleman James, Peter Witt, Andreas Schroeter, Christin Merz, Helen Haugh 등의 연구를 참고하여 독립변수인 네트워크다양성과 강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먼저 실증 분석하고 나아가 네트워크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하여 사회적 기업 발전을 극대화시키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연구의 대상은 2009년 현재 국내의 295개 사회적 기업 가운데 전문가의 추천을 받은 25개 회사로 이루어졌으며 SPSS 12.0으로 요인분석, 타당성, 신뢰성, 상관관계 등의 분석을 거쳐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의 결과 기업생존, 고용증대, 매출증대, 권한위임 전 과정에 네트워크가 필요하며 특히, 기업생존을 위해서는 네트워크강도에 관련된 요인을 매출증대를 위해서는 네트워크다양성에 관련된 요인을 잘 관리하고 유지 발전시켜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사회적 기업 창업을 준비 중인 국내의 많은 회사나 비영리법인, 사회단체가 계속기업으로 발전해 가기위한 사회적 자본 활용 전략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The Effect of SNS Use on the Social Network: Moderating Effect of the Gender (SNS 이용이 사회적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an, Su-Young;Choi, Moon-Hyeong;Park, Mi-Kyung;Lee, Ho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3
    • /
    • pp.133-156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on SNS us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SNS use, (2) to analyze effect of SNS use on bonding network and bridging network, (3) to consider moderating effect of the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Social network. We conducted a survey for 20-30's SNS user.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represent that attitude on SNS us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the SNS use. SNS use affects bonding network and bridging network. An interesting result was observed that the gender ha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use and social network.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Seo, A-Yeong;Sin, Gyeo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312-325
    • /
    • 2008
  • 지식 네트워크 (knowledge network) 구축은 지식의 재사용을 통하여 조식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지식 레버리지를 통하여 혁신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지식관리의 핵심적 요소이다. 본 연구는 (1) 개인이 집단 내 외에서 맺고 있는 지식 네트워크가 팀의 객관적,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2)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어떻게 조절하는 가에 대해서 실증 함으로써, (3) 지식 네트워크 구축, IT 활용, 그리고 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집단 내부 결속과 외부 매개성을 통합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내 5개 컨설팅 업체의 172명의 컨설턴트와 42개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네트워크의 밀도)과 팀 성과의 선형적인 관계를 지지하였으며, 외부 매개성은 직접적으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수준의 IT 활용 (공동체적인 컴퓨터 매체의 활용)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팀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Seo, A-Yeong;Sin, Gyeo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571-584
    • /
    • 2008
  • 지식 네트워크 (knowledge network) 구축은 지식의 재사용을 통하여 조식의 효율성을 개선시키고 지식 레버리지를 통하여 혁신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지식관리의 핵심적 요소이다. 본 연구는 (1) 개인이 집단 내 외에서 맺고 있는 지식 네트워크가 팀의 객관적, 주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2) IT 활용이 지식 네트워크의 효과성을 어떻게 조절하는 가에 대해서 실증함으로써, (3) 지식 네트워크 구축, IT 활용, 그리고 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하여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지식 네트워크의 집단 내부 결속과 외부 매개성을 통합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국내 5개 컨설팅 업체의 172명의 컨설턴트와 42개 프로젝트 팀을 대상으로 사회 네트워크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지식 네트워크의 내부 결속(네트워크의 밀도)과 팀 성과의 선형적인 관계를 지지하였으며, 외부 매개성은 직접적으로 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팀 수준의 IT 활용 (공동체적인 컴퓨터 매체의 활용)과 상호작용을 통해서 팀의 성과를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hole Network Effectiveness from Multiple Stakeholders Perspectives - Based on a Community Networking Enhancement Project - (다중이해관계자 관점에 근거한 지역사회 전체네트워크 효과성 분석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역사회네트워크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 Choi, Jae-Sung;Lee, Jun-Young;Kim, Shin-Yeol;Park, So-Jung;Lee, Su-Youn;Ahn, Eun-Yo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3 no.1
    • /
    • pp.57-84
    • /
    • 201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a whole network effectiveness by expanding the unit of analysis beyond individual organizations in a network into network-level collaborative relations. Data for the analysis were drawn from the evaluation reports and surveys of leaders, mid-level managers, and staff members of the organizations participating in 'Community Network Building' project which was funded by Community Chest of Korea and carried out by the Academy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from November 2006 to November 2009. For the analysis, three out of the 10 networks established in diverse local communit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conducted on the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the center organization of each network, we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t a network-level. Second, to analyze effectiveness of the whole network, we employed a multiple stakeholders perspective and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the whole network's structure and its effectivenes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whole network effectiveness is higher when the network is more centralized around the hub organization and more stabl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s provided and tested a new framework for network effectiveness evaluation by combining the two network effectiveness evaluation framework of Provan and Milward's with evolutionary organizational theory.

  • PDF

A Exploratory Comparison Study of Social Network and Absorptive Capacity on Technological Alliance (사회적 네트워크와 흡수역량이 기술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비교분석 연구)

  • Kim, Hwan-Jin;Kim, Byung-Keu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629-650
    • /
    • 2014
  •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comparative impact of social networks and firm's absorptive capacity on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alliance such as technological alliance partner selection, governance structure and performance. Firms not only need to develop internal absorptive capacity but also need to cooperate with outside innovating entities. Increasing networks with other firms and enhancing firm's internal absorptive capacity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to enter into new market, increase network effects and develop firm's core capacities. In the view of firm's motivation for technological alliance such as expanding social networks and enhancing absorptive capacity, we develop hypotheses and tested comparative impact of those two constructs using 215 survey data of Korean venture companies. The results showed that absorptive capacity showed more impacts on the technological partner selection criteria than social networks. No impact was found between social network and alliance performance. Only absorptive capacity showed positive impact on the technological alliance success. Both constructs showed no impact on the choice of governance structure. In the conclusion section, we discussed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가상 커뮤니티에서 사회 관계 추론을 위한 시맨틱 웹 접근 방법

  • Lee, Seung-Hun;Kim, Ji-Hyeok;Kim, Heung-Nam;Jo, Ge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343-352
    • /
    • 2007
  • 최근 Web 2.0 발달과 더불어 블로그나 온라인 카페 등 웹 상의 사용자가 개인적인 정보를 자유롭게 개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넷서비스가 증가하면서, 이 사용자들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소셜 네트워크 분양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많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정보자원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의미적인 정보로 표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도메인 간에 공유와 재사용이 어렵고, 사회적 개체들 간의 관계가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아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커뮤니티 사용자들이 업로드 한 사진 데이터를 이용한 시맨틱 웹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분석 시스템을 제안한다.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사진에서 추출된 얼굴 개체와의 관계와 이미 인맥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사람들의 정보적 연결성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도메인 규칙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사회적 연결 관계를 추론한다. 이를 그래프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상에서 형성된 커뮤니티 내에서 효율적인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도모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한다.

  • PDF

The Effect of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창업가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Park, Joo Y.;Sung, Chang S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1 no.3
    • /
    • pp.87-9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on entrepreneurial performance and the moderate effe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using survey questionnaires for entrepreneurs an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LS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ie strength of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was related to productivity but creativity while network divers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ity but productivity. The moderate effe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was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ie strength of social network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is study implies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and experience and suggests an effective social network structure for entrepreneurial success.

  • PDF

The Influence of the Founder's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Capital on Access to Funding Sources (창업자의 사회적 역량과 사회적 자본이 투자유치 시도방식에 미치는 영향)

  • Park, Gyehyun;Kim, Dohye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1
    • /
    • pp.21-35
    • /
    • 2021
  •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start-up founder's social competence on the start-up's access to funding sources and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the type of social network.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wo types of social networks empirically (i.e., personal networks and business networks) as social capital i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founder's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capital on the method of accessing funding source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52 South Korean start-up founders whose businesses are based in South Korea. Path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STATA 16.1. This study examine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the founder's social competence on his/her personal and business networks, respectively, and how the effect leads to different methods to approach funding sources. This is the first study in South Korea to analyze empirically how social competence has contrasting effects on personal and business networks as well as how each type of network varies in its influence on the method founders use to attract investment.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 new methodology by utilizing the position generator as the measure of personal and business networks to analyze social networks in detail. The analyses of 252 survey data collected over a period of six months will be a valuable resource that may provide researchers, founders, investors, and other stakeholders in the start-up ecosystem with meaningful implications.

Mission of Social Enterprises in South Korea -A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토픽모델링과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사회적기업의 미션 연구)

  • Lee, Sae-Mi;Byeon, Jang-Seop;Choi, Ji-Hye;Brown, Alan Dix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4
    • /
    • pp.31-38
    • /
    • 2022
  • The study explores social enterprises' social goals by analysing their mission so as to better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social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reconsiders the mission of the current era of the Korean social economy. Accordingly, self-disclosed social enterpri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LDA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Seven mission topics were extracted, and the network centering on key keywords was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largely divided the social purposes of social enterprises into three categories: 'social purpose that social enterprises want to achieve', 'activities to achieve the purpose', and 'operation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social goal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ocial economy as well as realizing the economic value of social enterprises by analyzing their mission.